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1. head
2. Cervical
3. Lumbar
4. shoulder
5. hip
6. knee
7. S-I joint
8. 물리치료기의 (1) 적용범위, (2) 적응증, (3) 금기증에 정의 하시오.
2. Cervical
3. Lumbar
4. shoulder
5. hip
6. knee
7. S-I joint
8. 물리치료기의 (1) 적용범위, (2) 적응증, (3) 금기증에 정의 하시오.
본문내용
수 있을 만큼 유지한다.
-환자를 테이블 위쪽 가장자리에 오게 해서 제일 볼록한 부분에 수건을 말아 넣고 반대쪽 팔을 머리 위로 오게 하고 머리를 아래로 떨어뜨린 자세를 견딜 수 있을 때까지 유지한다. b.몸체를 늘리기 위한 운동
자세1.환자는 벽을 가까이 마주보고 서서 발꿈치는 땅에 대고 양팔을 쭉 뻗어 벽에 손바닥을 댄다.
자세2.철봉에 매달려 발을 땅에서 떨어뜨린 상태로 유지한다.
c.단단해진 목, 어깨, 엉덩이 근육을 늘리기 위한 운동
부위1.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또는 사각근(scalenes)
-환자는 단단해진 반대쪽으로 고개를 구부리고 단단해진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다. 치료사는 머리와 상지를 고정시키고 어깨 부분에 저항을 준다
부위2.흉근(pectoralis)
-환자는 앉아서 양손을 머리 뒤에 가져가고 환자가 숨을 내쉴 때 치료사는 환자의 양 팔꿈치 끝을 잡아당긴다.
-환자는 방의 코너 부분에 서서 팔꿈치는 90도 정도 구부리고 양팔을 어깨 높이 만큼 올려(T자형) 벽에 짚고 몸을 앞으로 민다.(쇄골 부분을 늘리기 위한 운동)
-구석 부분에 서서 양팔을 올려 V자가 되게 해서 몸을 앞으로 민다.(흉골 부분을 늘리기 위한 운동)
부위3.척추 기립근(erector spinae)
-Hook lying자세. 환자는 한 다리씩 가슴으로 가져와 그의 손으로 허벅지를 잡아 가슴 쪽으로 잡아당긴다. 천골은 바닥에서 떨어져 올라간다.
-양반 다리 자세.(cross sitting) 환자는 그의 양손을 목뒤로 가져가 견갑골 내전. 흉곽 신전 시킨 후, 골반을 향해 가슴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치료사는 상전장골능(anterior superior iliac crest)부분을 잡아 고정시킨다.
부위4.엉덩 굴곡근
-서서 fencer`s squatlike posture를 위해 양손은 앞으로 나온 다리 허벅지위에 올리고 앞쪽으로 체중을 이동한다. 환자는 뒤로 간 다리의 엉덩이 앞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느껴야 한다.
2.자세 조절과 몸체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체근의 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
a.배측 근육의 강화를 위한 운동
자세1.바로 누운 자세
-무릎을 굽힌 상태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무릎을 편 상태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환자의 팔을 양옆으로 두고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 상태로 일어나기 동작을 한다.
자세2.선 자세
-벽에 등을 대고 서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그냥 서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b.흉추와 요추의 신전근 강화
자세1.엎드린 자세(chin tucked)
처음 환자는 만곡의 감소를 위해 볼록한 쪽으로 이동한 다음, 다음 운동을 실시한다.
-팔을 옆에 붙이고 몸을 신전시킨다.
-팔을 T자로 벌린 상태로 몸을 신전시킨다
-머리 뒤에 깍지를 끼고 몸을 신전시킨다.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몸을 신전시킨다.
자세2.바로 누운 자세
-환자는 바로 누워 등을 올려 등부분을 둥그렇게 만든다.
c.엉덩이 신전근 강화를 위한 운동
-엎드려서 양다리를 교대로 올린다.
-양다리를 동시에 올린다.
d.엉덩이와 등의 신전근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
-양옆에 팔을 붙이고 다리와 몸체를 동시에 올린다.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다리, 몸통, 팔을 동시에 올린다.
3.볼록한 부분의 체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오목한 부분으로 옆으로 누워 누운 쪽 팔은 가슴을 가로지르게 하고 다른 팔은 밑을 향하게 하여 머리와 어깨 부분을 올린다. 치료사는 장골능 부분을 고정시켜 준다.
-오목한 부분에 수건을 말아 넣어 주고 그 부분으로 테이블 위쪽 가장자리에 옆으로 누워 손은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볼록한 부분으로 몸을 옆으로 구부린다.
㉤ Relaxation Ex
지체나 체간을 받치거나 안락하게 함으로써 근의 긴장도를 감소시키는 동작이나 근이완을 목적으로 특별히 치료사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치료기법을 말한다. 정상적인 반사와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경련을 감소시키는 동작으로서 과도한 근육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적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과 자기 스스로 구축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완운동은 가능한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범위내에서 유연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움직임의 횟수를 정확하게 알아두어야 하고 빈도는 운동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한다. 이때는 근육이완의 상태를 전제조건으로 하며 현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관절의 운동범위 내에서 통증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시행한다. 운동은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며 운동하는 부분에 대한 풍부한 해부학적 지식이 있어야 한다.
㉥ Low back problem
*굴곡운동
1. 골반 기울이기
-바로우눠 양손을 배위에 올린다
-무릎을 구부리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등이 바닥에 편평하게 닿도록 배에 힘을준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2. 몸통들기
-바로 누운후 턱을 가슴에 대고 팔을 앞으로 뻗고 어깨가 바닥에서 떨어질 때까지 상체를 들어올린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허리에 통증이 오면 이 운동은 하지 않는다
3.무릎 가슴에 닿기
-바로 누워 다리를 구부린 후 무릎 뒤에서 양손으로 다리를 잡고 무릎을 가슴쪽으로 당긴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후 다른 다리도 시행한다
4.양무릎 가슴에 닿기
-바로누워 다리를 구부린 후 양손으로 오른쪽 무릎의 뒤쪽을 잡고 무릎을 가슴쪽으로 당긴다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채로 왼쪽 무릎도 같은 운동을 시행한다.
-5초가 유지후 먼저 오른쪽 다리를 내리고 다음에 왼쪽 다리를 내린다
5.서서 벽타기
-한발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벽에 등을 대고 선다
-약간 다리를 벌릴고 벽에 등을 기댄다
-가능한한 않는 자세를 취하고 등을 벽에 반듯이 댄다
-최대한 이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한다
*신전운동
1.서서 신전하기
-약간 다리를 벌리고 똑바로 선다
-양손을 허리에 댄다
-최대한 뒤쪽으로 구부린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2.벽을이용한 신전
-한발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벽을보고 선다
-약간 다리를 벌린다
-양손을 벽에 대고 등을 아치모양으로 하면서 상체로 벽을 민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3. 엎드려 신전
-단단한 바닥에 엎드린다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어깨
-환자를 테이블 위쪽 가장자리에 오게 해서 제일 볼록한 부분에 수건을 말아 넣고 반대쪽 팔을 머리 위로 오게 하고 머리를 아래로 떨어뜨린 자세를 견딜 수 있을 때까지 유지한다. b.몸체를 늘리기 위한 운동
자세1.환자는 벽을 가까이 마주보고 서서 발꿈치는 땅에 대고 양팔을 쭉 뻗어 벽에 손바닥을 댄다.
자세2.철봉에 매달려 발을 땅에서 떨어뜨린 상태로 유지한다.
c.단단해진 목, 어깨, 엉덩이 근육을 늘리기 위한 운동
부위1.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또는 사각근(scalenes)
-환자는 단단해진 반대쪽으로 고개를 구부리고 단단해진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다. 치료사는 머리와 상지를 고정시키고 어깨 부분에 저항을 준다
부위2.흉근(pectoralis)
-환자는 앉아서 양손을 머리 뒤에 가져가고 환자가 숨을 내쉴 때 치료사는 환자의 양 팔꿈치 끝을 잡아당긴다.
-환자는 방의 코너 부분에 서서 팔꿈치는 90도 정도 구부리고 양팔을 어깨 높이 만큼 올려(T자형) 벽에 짚고 몸을 앞으로 민다.(쇄골 부분을 늘리기 위한 운동)
-구석 부분에 서서 양팔을 올려 V자가 되게 해서 몸을 앞으로 민다.(흉골 부분을 늘리기 위한 운동)
부위3.척추 기립근(erector spinae)
-Hook lying자세. 환자는 한 다리씩 가슴으로 가져와 그의 손으로 허벅지를 잡아 가슴 쪽으로 잡아당긴다. 천골은 바닥에서 떨어져 올라간다.
-양반 다리 자세.(cross sitting) 환자는 그의 양손을 목뒤로 가져가 견갑골 내전. 흉곽 신전 시킨 후, 골반을 향해 가슴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치료사는 상전장골능(anterior superior iliac crest)부분을 잡아 고정시킨다.
부위4.엉덩 굴곡근
-서서 fencer`s squatlike posture를 위해 양손은 앞으로 나온 다리 허벅지위에 올리고 앞쪽으로 체중을 이동한다. 환자는 뒤로 간 다리의 엉덩이 앞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느껴야 한다.
2.자세 조절과 몸체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체근의 근력 강화를 위한 운동
a.배측 근육의 강화를 위한 운동
자세1.바로 누운 자세
-무릎을 굽힌 상태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무릎을 편 상태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환자의 팔을 양옆으로 두고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 상태로 일어나기 동작을 한다.
자세2.선 자세
-벽에 등을 대고 서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그냥 서서 뒤쪽으로 골반을 올린다.
b.흉추와 요추의 신전근 강화
자세1.엎드린 자세(chin tucked)
처음 환자는 만곡의 감소를 위해 볼록한 쪽으로 이동한 다음, 다음 운동을 실시한다.
-팔을 옆에 붙이고 몸을 신전시킨다.
-팔을 T자로 벌린 상태로 몸을 신전시킨다
-머리 뒤에 깍지를 끼고 몸을 신전시킨다.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몸을 신전시킨다.
자세2.바로 누운 자세
-환자는 바로 누워 등을 올려 등부분을 둥그렇게 만든다.
c.엉덩이 신전근 강화를 위한 운동
-엎드려서 양다리를 교대로 올린다.
-양다리를 동시에 올린다.
d.엉덩이와 등의 신전근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
-양옆에 팔을 붙이고 다리와 몸체를 동시에 올린다.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어 다리, 몸통, 팔을 동시에 올린다.
3.볼록한 부분의 체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오목한 부분으로 옆으로 누워 누운 쪽 팔은 가슴을 가로지르게 하고 다른 팔은 밑을 향하게 하여 머리와 어깨 부분을 올린다. 치료사는 장골능 부분을 고정시켜 준다.
-오목한 부분에 수건을 말아 넣어 주고 그 부분으로 테이블 위쪽 가장자리에 옆으로 누워 손은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볼록한 부분으로 몸을 옆으로 구부린다.
㉤ Relaxation Ex
지체나 체간을 받치거나 안락하게 함으로써 근의 긴장도를 감소시키는 동작이나 근이완을 목적으로 특별히 치료사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치료기법을 말한다. 정상적인 반사와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경련을 감소시키는 동작으로서 과도한 근육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적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과 자기 스스로 구축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완운동은 가능한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범위내에서 유연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움직임의 횟수를 정확하게 알아두어야 하고 빈도는 운동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한다. 이때는 근육이완의 상태를 전제조건으로 하며 현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관절의 운동범위 내에서 통증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시행한다. 운동은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며 운동하는 부분에 대한 풍부한 해부학적 지식이 있어야 한다.
㉥ Low back problem
*굴곡운동
1. 골반 기울이기
-바로우눠 양손을 배위에 올린다
-무릎을 구부리고 발바닥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등이 바닥에 편평하게 닿도록 배에 힘을준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2. 몸통들기
-바로 누운후 턱을 가슴에 대고 팔을 앞으로 뻗고 어깨가 바닥에서 떨어질 때까지 상체를 들어올린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허리에 통증이 오면 이 운동은 하지 않는다
3.무릎 가슴에 닿기
-바로 누워 다리를 구부린 후 무릎 뒤에서 양손으로 다리를 잡고 무릎을 가슴쪽으로 당긴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후 다른 다리도 시행한다
4.양무릎 가슴에 닿기
-바로누워 다리를 구부린 후 양손으로 오른쪽 무릎의 뒤쪽을 잡고 무릎을 가슴쪽으로 당긴다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채로 왼쪽 무릎도 같은 운동을 시행한다.
-5초가 유지후 먼저 오른쪽 다리를 내리고 다음에 왼쪽 다리를 내린다
5.서서 벽타기
-한발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벽에 등을 대고 선다
-약간 다리를 벌릴고 벽에 등을 기댄다
-가능한한 않는 자세를 취하고 등을 벽에 반듯이 댄다
-최대한 이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한다
*신전운동
1.서서 신전하기
-약간 다리를 벌리고 똑바로 선다
-양손을 허리에 댄다
-최대한 뒤쪽으로 구부린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2.벽을이용한 신전
-한발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벽을보고 선다
-약간 다리를 벌린다
-양손을 벽에 대고 등을 아치모양으로 하면서 상체로 벽을 민다
-5초간 유지후 힘을 뺀다
3. 엎드려 신전
-단단한 바닥에 엎드린다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어깨
추천자료
근골격계 질환[물리치료]
대퇴골절시 물리치료 프로토콜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소아물리치료] 아동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물리치료] 편마비의 정상적 움직임 패턴
[심폐물리치료] 폐 기능의 검사
[물리치료] 척주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에 관해서
[KANUDA] 기능성 물리치료 베개의 블루오션을 개척한 가누다(Kanuda) 브랜드 발표.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