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언자의 말과 예언서
2. 예언문학의 주요 양식
3. 현재 예언서 연구에서 나타나는 논쟁점들
4.문서 예언자의 선구자들
2. 예언문학의 주요 양식
3. 현재 예언서 연구에서 나타나는 논쟁점들
4.문서 예언자의 선구자들
본문내용
예언자의 메시지 출발점은 제의나 율법 혹은 지혜문학 등 그 무엇이든 간에, 어느 정도 이스라엘의 초기 전승들로부터 “유래하고” 있는가?
2) 예언자들은 미래에 대한 통찰이나 사용하고 있는 연설양식, 주제들에 있어서 나타나는 공통점들은 어떻게 형성 되었을까? 예언자의 제자들을 통해 중재된 (사 8:16)구두 전승들 때문에 서로 결합된 것은 아닐까?
3) 미래에 대한 예감은 백성의 현재 상태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기인한 것일까? 혹은 그 반대로 미래 확신의 결과를 통해서 예언자는 죄를 지적하게 되었을까?
4) 미래와 관련된 말들의 선포 의도는 무엇인가?
5) 예언자는 다양한 시대에 그리고 변화하는 청중을 향해 여러 가지 상반되는 것을 말했기 때문에 예언자의 메시지는 모순적인 것일까? 아니면 심판 선포와 구원 선포는 내용상 관계가 있는 것일까?
4.문서 예언자의 선구자들
문서 이전 예언자들은 야웨를 위해 전력을 다해 위협과 약속을 가지고 왕과 대면하였고 문서예언자들은 이 메시지를 민족 전체로 확장시켰다.
1) 발람 : 이방인으로서 본래 이스라엘의 예언자 대열에 속하지 않는다. 그는 초기 시대에 아마도 강력한 예언을 이스라엘에게 선포했었다.
2) 사무엘 : 가장 오래된 보고에 따르면 그는 이른바 소사사로 나타난다. 사무엘은 선견자로, 황홀경 무리의 지도자로, 카리스마적 군대 지휘관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확실히 후대의 것으로 보이는 유년시절의 이야기에서는 “예언자”명칭으로 등장한다.
역사적으로 사사의 지도권과 카리스마는 분리되기 시작한다. 예언을 통해 왕권을 비판, 교정하려는 예언자들이 등장한다.
3) 갓, 나단 : 다윗시대에는 인구 조사 이후 왕과 맞섰던 “선견자” 갓과 “예언자”나단이 나타났다.
나단은 다윗 자신의 죄를 스스로 판결하도록 유도하고 왕위 계승에 깊이 관여한다.
4) 엘리야 : 왕의 구체적인 죄악에 맞서고, 신앙의 정절을 지킨 칠천명을 제외한 모든 이스라엘에 대해 심판으로 위협했다.
5) 엘리사 : 엘리야의 외투를 통해 즉각적으로 그리고 무조건적으로 “후계자”로 부름 받은 엘리사는 엘리야로부터 카리스마적인 장자의 몫을 받는다. 때로는 엘리사 자신이 적어도 제자 공동체의 지도자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쟁에서의 정치적인 활동과 하사엘 즉위에 관계 하였다.
6) 미가야 : 구원을 약속 했던 직업 예언자들과는 반대로 심판을 선포하며 첨예하게 대립 하였다. 문서 예언자들이 등장하기 바로 전에 언급.
2) 예언자들은 미래에 대한 통찰이나 사용하고 있는 연설양식, 주제들에 있어서 나타나는 공통점들은 어떻게 형성 되었을까? 예언자의 제자들을 통해 중재된 (사 8:16)구두 전승들 때문에 서로 결합된 것은 아닐까?
3) 미래에 대한 예감은 백성의 현재 상태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기인한 것일까? 혹은 그 반대로 미래 확신의 결과를 통해서 예언자는 죄를 지적하게 되었을까?
4) 미래와 관련된 말들의 선포 의도는 무엇인가?
5) 예언자는 다양한 시대에 그리고 변화하는 청중을 향해 여러 가지 상반되는 것을 말했기 때문에 예언자의 메시지는 모순적인 것일까? 아니면 심판 선포와 구원 선포는 내용상 관계가 있는 것일까?
4.문서 예언자의 선구자들
문서 이전 예언자들은 야웨를 위해 전력을 다해 위협과 약속을 가지고 왕과 대면하였고 문서예언자들은 이 메시지를 민족 전체로 확장시켰다.
1) 발람 : 이방인으로서 본래 이스라엘의 예언자 대열에 속하지 않는다. 그는 초기 시대에 아마도 강력한 예언을 이스라엘에게 선포했었다.
2) 사무엘 : 가장 오래된 보고에 따르면 그는 이른바 소사사로 나타난다. 사무엘은 선견자로, 황홀경 무리의 지도자로, 카리스마적 군대 지휘관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확실히 후대의 것으로 보이는 유년시절의 이야기에서는 “예언자”명칭으로 등장한다.
역사적으로 사사의 지도권과 카리스마는 분리되기 시작한다. 예언을 통해 왕권을 비판, 교정하려는 예언자들이 등장한다.
3) 갓, 나단 : 다윗시대에는 인구 조사 이후 왕과 맞섰던 “선견자” 갓과 “예언자”나단이 나타났다.
나단은 다윗 자신의 죄를 스스로 판결하도록 유도하고 왕위 계승에 깊이 관여한다.
4) 엘리야 : 왕의 구체적인 죄악에 맞서고, 신앙의 정절을 지킨 칠천명을 제외한 모든 이스라엘에 대해 심판으로 위협했다.
5) 엘리사 : 엘리야의 외투를 통해 즉각적으로 그리고 무조건적으로 “후계자”로 부름 받은 엘리사는 엘리야로부터 카리스마적인 장자의 몫을 받는다. 때로는 엘리사 자신이 적어도 제자 공동체의 지도자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쟁에서의 정치적인 활동과 하사엘 즉위에 관계 하였다.
6) 미가야 : 구원을 약속 했던 직업 예언자들과는 반대로 심판을 선포하며 첨예하게 대립 하였다. 문서 예언자들이 등장하기 바로 전에 언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