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복지] 영국의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보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 복지] 영국의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영국의 고령화 현황과 장기요양보호
1. 영국의 고령화 현황
2. 영국의 장기요양 보호에 대한 수요
Ⅲ. 영국의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보호 현황
1.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2. 시설보호 서비스
3.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현황
Ⅳ.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감(accountability)을 높여주었다는 점일 것이다.
IV. 요약 및 결론
영국의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보호는 고령인구의 증가와 가족에 의한 보호가 보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재가보호, 가정봉사 서비스, 양로주택, 데이케어, 요양 홈 등 다양한 주체와 시설들이 공식 및 비공식적으로 노인을 위한 장기요양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보호의 비중이 커짐으로서 가족, 친지 등의 비공식적 보호제공자와 민간 및 자원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 및 간호 서비스 제공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해서 비의료적인 각종 요양보호 및 사회서비스의 제공이 조정(coordinating)되어야 할 필요성도 점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도 시사점이 큰 영국 장기요양보호의 향후 과제라고 한다면, 케어 매니저의 역할이 중대하다는 점일 것이다. 즉 노인의 필요와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시설과 제공자에 의해 공급되는 서비스를 조정해서 만족스런 서비스 알선(arrangement)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급선무일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보건의료 및 사회서비스 전문직의 서비스 제공을 조정할 임무를 가진 케어 매니저의 역할이 그 중요성을 더하게 될 것이다. 케어 매니저의 역할이 없이는 보건의료 제공자, 사회보장 혹은 건강보험 담당부서, 지방정부나 복지기관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주체간 재정적 책임의 분담 역시 용이치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기요양보호에 있어서 민간 및 자원부문의 역할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정부는 민간부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자원봉사자 및 친지,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보호 제공자에 대한 원조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영국은 이미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장기요양보호의 이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재정적 원조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민간 및 자원의 장기요양 서비스제공자가 증가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 역시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표준화(standardisation)하여, 이용자가 예상가능하고 선택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서비스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결국 고령인구의 증가가 가져올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명백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그리 자명하지 않은 듯이 보인다. 지역사회와 민간 및 자원부문의 역할을 확대하고 정부가 비공식 부문에 대해 재정적 뒷받침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노인이 자율성과 복지를 보장받을 수 있는 방향의 추구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01
2. 전경희외,"전국노인생활실태및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3.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연구"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2001
4.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2
5. 황경성외, " 일본의 고령자 보건복지", 학지사, 2001
6. 허정무,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협신사, 2000
7. 최혜경외, "노인과 실버산업", 동인,2001
8. 이혜영, "케어 복지론", 양서원, 2000
9. 현외성외, " 한국노인복지학강론" 유풍출판사, 1998
10. 박재간외,"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나남출판,1995.
□ 외국문헌
1. Age Concern (2001) Older People in the United Kingdom: Some Basic Facts, 2001, London: Age Concern.
2. CareAware (2000) The Facts of Long Term Care, Manchester: CareAware.
3. The Care Funding Bureau (2002) Your long term care guide, London: The Care Funding Bureau.
4. Department of Health (2001) National Strategy for Carers, London: HMSO.
5. Evers, A., M. Piji, C. Ungerson (1994) (eds.) Payments for Care: A Comparative Overview, Aldershot: Avebury.
6. Hill, Michael (2000) (eds.) Local Authority Social Services: An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7. Shinoda-Tagawa, Tomoko and Soichi Koike (2002) Long-Term Care: Lessons from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Harvard Health Policy Review, Spring 2002, 3(1).
8. Sinclair, Ian, Roy Parker, Diana Leat and Jenny Williams (1990) The Kaleidoscope of Care: A Review of Research on Welfare Provision for Elderly People, London: HMSO.
9. Social and Health Care Workforce Group (2002) Social Services Workforce Survey 2001, Report No. 29, Social Services Workforce Series.
10. Training Organisation for the Personal Social Services (2000) Modernising the Social Care Workforce - the first national training strategy for England, Leeds: TOPPS England.
  • 가격1,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