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의 의의와 한계,원인 그리고 6월 혁명의 의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419혁명이란?
2.419혁명의 원인
1)간접원인
2)직접원인
3)도화선(전국적인 시민혁명으로 전개)
3.4월 혁명의 정치 경제적 배경
1)문제제기
2)4월 혁명의 정치적 상황
3)4월 혁명의 경제적 상황
4)4월 혁명의 정치 경제적 의미
4 419혁명의 진행과정
5 4월혁명의 한계
1)계층적 한계
2) 사상적 한계
3)조직적 한계
4)사회 경제적 한계
5)구심체의 결여
6.6월 혁명의 의의
7.419혁명의 계승
1) 시민 혁명 으로서의 의미
2) 평화 통일적 의미

본문내용

경제적 한계
4.19는 보편사적 역사발전의 전환단계로서의 혁명이 아니라, 일정한 역사의 사회경제적 동일 단계에서의 혁명이다. 4.19의 독재항거는, 이 동일 틀 위에서의 정치적 향상만을 지향한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사회경제적 단계전환으로서의 혁명이라는 관점에서는 그 한계성을 갖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식민지적 반봉건 사회가 온존되고 있는 나라에서는 경제구조의 변동보다는 정치·사회구조의 변동이 극심하게 되므로 정치적 혁명이 우선하게 된다. 58년도 이후의 미국의 원조 삭감과 단절이 불러일으킨 경제침체와 거기에 따른 정치적 문제의 격화에 의해서 일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한계가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일반을 포괄할 수 있는 전면적 혁명이 아닌 정치적 혁명에만 국한되어 나타나게 한 가장 큰 요인이 되는 것이다.
5) 구심체의 결여
4.19를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그 이념을 정치제도화 시킬 수 있는 담당 구심체가 필수적으로 학생층과 직접 연간을 갖는다 해도, 학생층의 주장을 대변하고 이끌 수 있는 정당과 같은 구심체가 없었고, 이를 순수한 학생들이 조직하고 결성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이것은 학생층의 이념 이 구체성과 현실성을 결여했다는 점과 기존정당의 부패와 이념 결핍, 그리고 4.19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려고 한 계층도 없었던 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6. 4월 혁명의 의의
4 ·19혁명은 처음부터 정권탈취를 목적으로 한 투쟁이나, 어떤 정치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체제변혁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어떤 정치적 주도세력(主導勢力)이 개입된 것도 아니며, 조직적 투쟁 계획이나 목표가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다만 정의감에 불타는 청년학생들이 불의에 항거한 의분(義憤)이 집단행동을 취하는 과정에서 사태가 변전(變轉)하고 발전되어 나타난 하나의 결과적 현상이었다. 4 ·19혁명은 한국의 정치발전사에 하나의 획기적인 전기(轉機)를 기록한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는 일대사건(一大事件)이었다.
첫째, 한국 국민의 민주의식(民主意識)의 발전을 의미하며 민주주의 토착화를 위한 불가피한 진통과 자기투쟁을 의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국민은 해방과 더불어 도입되기 시작한 서구(西歐)민주주의가 그 제도와 운영절차를 그대로 모방하거나 이식만 하면 그대로 민주주의가 정착되는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건국 이후 직접 국정(國政)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는 제도의 이식이나 운영절차의 모방만으로 자기의 것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과 투쟁을 통해서 많은 고통을 겪어야 한다는 것을 통감하게 되었다. 그러한 국민적 각성에 따른 투쟁이 바로 4 ·19혁명으로 나타난 점이다. 4 ·19혁명을 한국 민주투쟁사의 제일보(第一步)로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둘째, 4 ·19혁명은 공권력의 횡포에 대한 민권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권재민(主權在民)의 민주주의 원리를 그대로 입증하였다. 국민의 지지와 신망을 받지 못하는 정권은 결코 존립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20세기 후반 전세계적으로 일기 시작한 이른바 '스튜던트 파워(student power)'의 한국적 표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한국 학생들은 1919년 3 ·1 독립운동과 1926년 6.10 만세 사건, 그리고 1929년 광주학생사건을 통해서 강한 저항의식과 열렬한 애족애국심을 발휘한 빛나는 전통을 지니고 있다. 4 ·19혁명은 그러한 전통적 저항의식이나 애국심의 발로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넷째, 4 ·19혁명의 민주이념은 그 후의 정권담당세력의 무능과 경제 ·사회적 기반의 취약성(脆弱性)으로 미완(未完)의 상태로 좌절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국민에게 또 하나의 귀중한 각성과 교훈을 안겨준 계기가 되었다. 4 ·19혁명의 고귀한 피의 희생이 바탕이 되어 가장 민주적이며 국민적 신망을 받는 국정이 이루어지고 참다운 민주주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허약하고 무능한 정부나 경제 ·사회적 기반의 취약성은 민주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의 하나가 된다는 것을 경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이러한 국민적 각성이 결국 5.16 군사 정변 을 초래한 결과가 되었지만, 4 ·19혁명이 5.16 군사 정변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으로 4 ·19혁명의 역사적 의의가 감소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4 ·19혁명에서 촉구되고 추구된 민주이념과 사회정의의 실현은 한국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최고가치(最高價値)임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는 점만으로도 4 ·19혁명은 한국 헌정발전사에 있어 영원불멸의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7. 4.19혁명의 계승
1) 시민혁명으로서의 의미
4.19묘지를 국립묘지로 만드는 준공식에서 대통령은, "시민들이 즐겨 찾는 이곳이 독재와 불의에 항거하는 민주주의 정신을 배우는 산 교육장이 될 수 있도록 정성껏 가꾸어 주기 바란다."는 연설을 하였다. 4.19 혁명은 정치적으로 민주시민 혁명으로서 독재정권을 시민의 힘으로 무너뜨린 쾌거였다. 이를 계승하여 사회 여러 부분을 지속적으로 민주화해 나가는 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2) 평화 통일의 의미
국토와 민족의 분단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엄청난 분단 비용을 감수해 왔다. 분단 현실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사람도 생겨났고, 젊은 세대들은 통일에 점점 무관심함 성향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1961년 4.19혁명 1주년 기념대회부터 본격화된 통일 열망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4.19는 이승만 독재에 저항하는 민주주의 운동으로 출발했으나 민주당 정권이 수립된 후에는 "오라 남으로! 가자 북으로! 만나자 판문점 에서!"를 외치며 우리 민족의 최대의 고통인 분단을 극복하는 통일 운동으로 나아간 것이다. 분단이라는 걸림돌을 제거하고 민족의 평화적 통일을 달성하는 것은 아직도 우리 시대의 과제이다.
-참고 서적-
-『20세기 우리역사』 창작과비평사 강만길
-『한국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인물과사상사 강준만
-인터넷사이트-
≪http://www.419revolution.org/≫
≪http://library.419revolution.org/≫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1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