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군인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제2장 제대군인 지원의 의의 및 제대군인 취업지원정책의 분석 틀
제1절 제대군인 지원의 의의
제2절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분석 틀

제3장 제대군인 지원정책 현황 및 분석
제1절 제대군인 지원정책 현황
제2절 제대군인 지원정책 분석

제4장 각국의 제대군인 지원제도의 특성 및 비교
제1절 각국의 제대군인 지원제도의 특성
제2절 각국의 제대군인 지원제도의 비교

제5장 제대군인 지원정책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1절 제대군인 지원정책 문제점
제2절 제대군인 지원정책 개선방안

제6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인한 취업 등 불이익에 대한 보완책을 요구하고 있는 바, 의무복무자에 대한 검토없이 직업군인 복지만 추진할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6장 결론
제1절 논문의 요약
본 연구에서는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전역이후 취업 및 사회적응이 어려운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여 우리나라 제대군인의 현황과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이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다시 사회에 복귀하는 제대군인을 위하여 좀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적 분석을 위하여 제대군인 지원정책을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정책수립 분석틀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선진외국의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하여 좀 더 발전적인 제도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캐나다, 호주, 프랑스, 독일, 대만, 일본 등 각국의 다양한 제대군인 지원제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한 결과 독립형, 종속형, 사회주의형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대군인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은 첫째, 취업요구조건과 고용조건간의 차이로 인한 취업여건 악화, 둘째, 대부지원 한계 등으로 제대군인의 사회정착 집중지원이 현실적인 어려움, 셋째, 군인연금 비대상으로 생계지원이 긴요한 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미흡, 넷째, 제대군인 지원에 대한 부처간 협조 미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대군인 지원제도 개선안으로 첫째,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일원화, 둘째, 맞춤식 사회정착지원의 제도화, 셋째, 공단, 국·공영기업체에서 제대군인 우선고용 확대와 고용이행수단 확보방안을 마련, 넷째, 제대군인 취업지원 전담법인 설립, 다섯째 객관적 지원긴요도 기준에서 수혜범위 확대와 장기저리를 위한 기금 조성, 여섯째 고용장려 등을 통한 자율적 고용 유도, 일곱째, 제대군인 지원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국민과 관련 부처의 인식 전환 및 국가보훈처를‘ 부 ’로 격상, 여덟째 국가·사회봉사자 공직 우선임용제도의 부활을 제언하였다.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서론에서 견지한 바와 같이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전역이후 취업 및 사회적응이 어려운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여 우리나라 제대군인의 현황과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이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다시 사회에 복귀하는 제대군인을 위하여 좀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연구자료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실증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이론적인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제대군인에 대하여 인터뷰 및 직접적으로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분석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고휘주, "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지원 연구", 보훈연수원, 1996. 12
국가보훈처(1986), "외국의 보훈제도 소개(중화민국·서독·태국)"
---------(1988), "일본의 보훈제도 동향"
---------(1989), "영국 보훈제도의 소개"
---------(1992), "보훈 30년사"
---------(2000), "보훈정책 중장기발전방안", 2000. 6.
---------(2001), "보훈연감 2000"
---------(2002), "보훈연감 2001"
---------(2002), "국가와 보훈"
---------(2002), "심사평가 결과보고서"
---------(2002), "2002년도 국정감사업무보고", 2002. 9. 30
---------(2002), "보훈대상자를 위한 보훈수혜안내", 2002. 11
국가보훈처심사평가위원회, "2002년도 종합 - 자체심사평가 결과보고서", 2003. 1. 6
국무조정실, "국무총리 주재 호국보훈관계장관회의", 자체보고서, 2002. 6. 4
국방백서, "10년 이상 근속 직업군인의 전역후 취업현황", 2000
김종철, "제대군인 취업지원 정책의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류진석, "사회복지 공급의 정치 : 가족, 시장, 국가", 『사회복지연구』 제8호,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1997
민재성 김용하, "국가 보훈보상제도의 개편방안", 한국개발연구원, 1989
박상범, "올바른 보훈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 우리나라 국가보훈 정책 방향", 『군사세계』, Vol. 27, 1997. 6
보훈연수원, "각국별 전역군인 지원제도 비교연구", 1995
유영옥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훈학회 2003
정선구, "전역군인의 국가적 지원방향," 한국군사 제3호, 한국군사문제연구소, 1996. 8
조영갑, "한국 직업군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응",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채재병, "세계화시대의 국가보훈", 『사회과학』, 제40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 사회과 학연구소, 2001
이덕희, "제대군인 취업지원 정책의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택휘, "보훈문화 확산을 통한 공동체의식 제고 방안", "국난극복정신과 국가보훈 정책",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1995
배경화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창업보육지원정책 방안 연 구", 중소기업진흥공단, 2003
한국국방연구원, "군인연금정책개선연구", 1993
------------, "직업군인 전역 후 생활안정 방안 연구", 1991
한국법제연구원, "보훈법령체계 개편에 대한 법제기술적 검토", 2000
한상배, "제대군인 취업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호국보훈정책기획단, "호국보훈정책Workshop 자료집", 자체보고서, 2003. 1
-------------, "호국보훈정책기획단 구성·운영계획", 자체보고서, 2002. 12
-------------, "호국보훈정책기획단실무팀 합동회의자료", 자체보고서, 2003. 2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5.10.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