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신정변의 정치외교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끝나고 말았다. 그리하여 ①수구파정권이 재수립되고 개화당은 몰락과 숙청을 당했다. ②갑신정변의 실패로 개화사상이 일반국민의 불신을 받게 되었으며 고종과 집권층 내부의 개화의지를 쇠퇴시켜 근대사의 중요시기에 개화운동이 10여년 정도의 퇴행기를 가져왔다. ③정변실패 후 일본측은 오히려 공사관이 불타고 직원과 거류민이 희생된 것에 대한 책임을 조선정부에 물었고 1885년 조선의 일본에 대한 사의 표명, 배상금 10만원 지불, 일본 공사관 신축비 부담 등을 내용으로 하는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조선은 일본과 부당한 굴욕외교를 맺었고, 이를 계기로 일본은 제국주의적 침략성을 강화하게 되었다. ④한성조약이후 청일 양측은 천진조약(天津條約)을 맺었다. 이는 조선에 변란이나 중대사건이 있을 때 주인인 조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청국과 일본이 ‘균등하게 간섭과 파병의 권리’를 갖는다는 침략적 국제조약이었다. 최필승, p.68
이후 청국과 일본은 조선에 대한 정치적 간섭과 경제적 침략의 강화에 치열하게 대립 경쟁하면서 조선에 심대한 피해를 주었다. 또한 청의 내정간섭이 강화되었고 천진조약으로 청일 양국의 대립이 심각하자 민씨 정권은 제3세력을 통해 양국의 조선침투를 견제하고자 러시아와 접촉하게 된다. 박영수, p.96
이에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견제한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하게 되고 이에 청의 이홍장이 이를 중재하면서 조선은 결국 1894년 청일전쟁이 발생하기 전까지 청의 간섭 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갑신정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는 우리 역사에 큰 의미를 가진다. 비록 일본에 의존해서 개혁을 도모했지만 청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여 조선의 자주주권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또한 민중으로부터의 지지를 결여한 ‘위로부터의 운동’이었지만 갑신정강은 사회적으로 신분제철폐를 통한 인간평등의 사상을 실현하였고 이는 민중을 위한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갑신정강의 주요내용들은 이전의 중세적봉건적 체제에서 벗어나 근대화를 추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의 정강들은 1894년 농민전쟁과 갑오개혁에 계승되어 급변하는 사회의 모습에 적합한 체제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갑신정변의 급진적 성격과 민중의지지 결여, 민중의식의 한계, 대외정세의 오판으로 일본군의 차용 등으로 급진개혁파의 정변은 실패하였으나 조선사회에서 최초의 근대성을 보여준 획기적 사건이었다는 점에서 갑신정변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신용하 (2000), 『초기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1988), 『조선근대사』, 서울: 논장
최필승 (1998), 『조선근대혁명운동사』, 서울: 한마당
박영수 (1998), 『운명의 순간들』, 서울: 바다출판사
김현철 (2004), 『역사와 사회』 제3권 29집
최덕수 (2004), 『내일을 여는 역사』 여름호
박은숙 (2004), 『역사와 현실51』, 3월호
한국근현대사회연구회 (1998), 『한국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서울: 신서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0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