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과 역사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I. 들어가며..

II. 유득공에 대해
1. 생애
2. 역사서
①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② 발해고(渤海考)
③ 사군지(四郡志)

III. 마치며..

본문내용

후에는 발해가 고구려를 이어서 낙랑군과 현도군의 땅을 점거하였으며, 낙랑군 땅이 고려에 들어갔으나 현도군 땅은 여진에게 잃고 말았다고 하는 것이 유득공의 주장이다. 이것은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 판도의 변화를 설명한 것이고, 한강 이남은 한4군에 포함되지 않은 한(韓)의 땅으로서 따로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보면 한국사 체계에 관한 유득공의 인식은 고조선→한4군→2군→3군→삼국시대→남북국시대→고려→조선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은 삼국 이후의 역사를 신라와 발해로 이루어진 남북국시대로 본 『발해고』에 나타난 주장과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정진헌, <실학자 유득공의 고대사 인식>,1998, p.317
그 이유는 그가 남북국시대가 지나고 고려가 들어설 때 발해의 대다수 영토를 거두어 들이지 못했음을 애석히 여겼고, 결국 그는 우리의 역사 무대였던 만주대륙을 고려 이후에 잃었다고 말했으며, 그가 생존해 있던 조선시대에도 옛 발해의 영토를 수복하지 못한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우리가 완전히 통일되지 못한 상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③ 사학사적 의의
유득공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서 받은 치욕과 우리 민족의 역사활동의 무대이었던 북방지역을 상실한 데 대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재인식을 통하여 한국사를 새롭게 이해하고 북방도 역시 우리 역사의 주무대였음을 강조하여 우리 민족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려하였다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의는 충분하다고 본다.
III. 마치며
유득공의 일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서얼의 자식으로 태어나고 부친마저 일찍 죽었기 때문에 우울한 시기를 보내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과거에 급제하기 전까지의 전기, 과거에 급제하여 규장각검서관으로부터 20여년간의 공직생활에 의해 정조의 신임을 등에 업고 서얼로서는 파격적인 종3품의 청요직(淸要職)에까지 오르게 된 후기로 나뉜다. 과거에 급제하고 관직에 들어가기 전 한백겸의 『동국지리지』를 모태로 하여 역사를 7언 절구로 읊은 『이십일도회고시』와 규장각검서관으로 재직 시 넓은 지식과 견문으로 인해 우리에게 선조의 역사인 발해사가 없음을 한탄하고 『발해고』를 저술하게 된다. 그리고 말년엔 고대사의 한 부분인 한4군에 대해 연구하여 삼국이 생겨나게 된 배경을 논리적으로 서술하게 된 『사군지』를 저술함으로써 유득공은 우리의 주체적 정당성과 북방역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최고의 학자로 등용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이십일도회고시』에서 역사지리에 대한 기초를 확립했고, 『발해고』를 남겨 역사지리에 대한 토대를 다졌으며, 『사군지』를 저술함으로써 발해고의 오류된 부분을 고치고 다듬어 북방영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총화한 것이다.
이러한 유득공의 인식은 현재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고구려사가 통째로 중국의 변방민족사로 전락해버릴지도 모르는 상황에 중요한 귀감이 되고 앞으로 우리가 해야할 일에 대한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정진헌, <실학자 유득공의 고대사 인식>,1998
신영식, <韓國史學史>,1999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上>,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