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락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락~ 기능, 작용, 12경맥, 기경팔맥, 15락맥

3. 경혈~ 경락의 시작과 끝의 혈, 오행혈과 주치, 특수혈

4. 결론

본문내용

)’은 틈이라는 뜻이며, 경맥기혈이 곡절(曲折)하여 회취공극(匯聚孔隙), 즉 각 경기(經氣)가 심집(深集)하는 곳이다. 장부에 병이 있을 때에는 해당한 경맥의 극혈에 반응이 나타나며, 각 경이 순행하는 부위와 소속된 내장의 급성병, 일례를 들면, 급성위통(위경련)에 양구(梁丘)를 응용할 수 있는 것처럼 해당 경맥과 장부의 급성병, 특히 동통을 수반한 경우에 효과가 좋다. 또한 극혈은 경락, 장부의 출혈을 치료할 수 있으며, 12경맥과 기경팔맥의 양교맥, 양유맥, 음유맥에 각 1개씩 모두 16개의 극혈이 존재한다.
16극혈
경락 극혈
경락 극혈
경락 극혈
경락 극혈
페 경
孔 最
심 경

심포경

양교맥

대장경
溫 溜
소장경
養 老
삼초경
會 宗
음교맥
交 信
위 경
梁 丘
방광경
金 門
담 경
外 丘
양유맥
陽 交
비 경
地 機
신 경
水 泉
간 경
中 部
음유맥
築 賓
4) 배유혈(背兪穴)
장부의 경기(經氣)가 배부(背部)의 유혈(兪穴)로 수주(輸注)하는 곳으로 척주(脊柱)의 양쪽으로 내려간 방광경 일 측선에 위치하면서 오장육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유혈(兪穴)이다. 배유혈은 오장육부의 경기(經氣)가 잔등에 주입되는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기(氣)를 옮기는 양(陽)의 작용, 즉 장부기능(陽 )의 조정과 장부와 관계가 잇는 주신(周身)과 기관 질환을 치료하므로 주로 기병(氣病)에 진단점, 치료점으로 많이 사용된다.
12경 배유혈
폐 경
대장경
위 경
비 경
심 경
소장경
방광경
신 경
심포경
삼초경
담 경
간 경
肺 兪
大腸兪
胃 兪
脾 兪
心 兪
小腸兪
膀胱兪
腎 兪
厥陰兪
三焦兪
膽 兪
肝 兪
5) 모혈(募穴)
장부의 경기(經氣)가 흉복부 유혈(兪穴)로 결취(結聚)하는 곳으로 배유혈과 비교하여 기(氣)를 모집해 들이는 음(陰)의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장부의 음양편성(陰)을 조정하는 작용이 있다. 즉 모혈은 해당 장부의 만성질병과 혈병(血病)에 진단점과 치료점으로 많이 이용되어 진다. 12장부에 한 개씩 모두 12개가 있으며, 해당 장부가 위치부위의 흉복부 체표면상 근접부위에 있다.
12 모혈
폐 경
대장경
위 경
비 경
심 경
소장경
방광경
신 경
심포경
삼초경
담 경
간 경
中 府
天 樞
中 脘
章 門
巨 闕
關 元
中 極
京 門

石 門
日 月
期 門
6) 회혈(會血)
회혈이란 한 개의 경혈에 수개의 경락이 동시에 속해 잇어서 경락을 서로 연결시키는 경혈이다. 즉 하나의 경혈이 자경(自經)뿐 아니라 타 경락과도 서로 교회관계를 맺고 있는 경혈을 말하며 그 종류와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팔맥교회혈 ~ 기경팔맥과 사지부위의 혈과 서로 통하는 혈위로 비록 기경팔맥이 사지에 흐르지는 않지만 팔맥교회혈을 통해서 기경의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本 經
八 穴
通 穴 脈
主 治
족태음
公 孫
충 맥
心, 胸, 胃
수궐음
內 關
음 유 맥
수태양
後 谿
독 맥
目內, 頸項, 耳, 肩膊, 小腸. 膀胱
족태양
申 脈
양 교 맥
족소양
足 臨 泣
대 맥
目外, 耳後, 頰, 頸, 肩
수소양
外 關
양 유 맥
수소음
列 缺
임 맥
肺系, 咽喉, 胸膈
족소음
照 海
음 교 맥
(2) 팔회혈(八會穴)
팔회혈은 장(臟), 부(腑), 기(氣), 혈(血), 근(筋), 맥(脈), 골(骨), 수(髓) 팔자(八者)의 회합혈을 가리킨다. 팔자(八字)에 질병이 발생할 경우, ‘난경(難經)’에서는 “熱病在內者 取其會之氣穴也”라 하여 열병을 위주로 치료할 수 있는 여덟 개 혈을 가리키며 임상상 극혈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8회혈
구 분
穴 名
치 료 범 위
臟 會
章 門
五臟病(肺, 心, 肝, 腎, 脾)
腑 會
中 脘
六腑病(胃, 大腸, 小腸, 膽, 膀胱, 三焦)
氣 會

氣病(氣滯, 氣鬱, 氣虛...)
血 會
膈 留
모든 혈병(瘀血, 出血, 血虛...)
骨 會

모든 골병(骨, 附骨疽...)
髓 會
縣 鍾
모든 髓病(惱髓, 脊髓, 骨髓...)
筋 會
陽 陵 泉
모든 근병(痙攣, 筋麻차, 관절통...)
脈 會
太 淵
모든 혈맥의 병(出血...)
7) 아시혈(阿是穴)
천응혈(天應穴), 통응혈(通應穴), 부정혈(不定穴)이라고도 한다. 즉 아픈 부위에 혈을 정하고 침과 뜸을 실시하는 곳을 아시혈이라고 한다. 이것은 고정된 혈 위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아픈 부위가 있는 곳을 혈위로 하는 것이다.
8) 사관(四關)
경외기혈(經外奇穴)이라고 한다. 대장경의 합곡혈(合谷穴)과 간경의 태충혈(太衝穴)을 합한 네 개의 혈을 사관(四關)이라 하며, 소아경풍, 의식을 잃었을 때, 경련, 팔다리 짖전 등에 쓴다. 주로 이기활열(理氣活熱), 청열진경(淸熱鎭驚) 작용이 있으므로 기체어혈(氣滯瘀血), 열증(熱症), 경련 등이 있는 모든 증상에 쓴다.
Ⅳ. 결 론
살펴본 바와 같이 경락은 인체를 통일된 하나의 유기체(有機體)로서 설명하는 요체이다. 경락은 인체의 생명력인 기(氣)가 흐르는 통로이고 각 경락으로 흐르는 기의 흐름은 마치 우주에서 각 은하와 태양계 등에서와 같이 일정한 질서를 유지하며, 생명의 활동과 유지가 원활하도록 끊임없이 활동하는 생명유지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각 경락별로 인체의 주요 대사기관인 장(臟) 부(腑)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시 다른 장부와 연결된 경락과 연결되어 있고, 각 경락은 음양과 오행으로 구별되어 음양의 조화를 유지하며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를 유지하여 각 경락에 해당되는 장부(臟腑)가 서로 돕고 적당히 견제하여 인체의 생명력이 원활히 유지되도록 끊임없이 기를 공급하고, 탁기를 방출하는 통로이다. 국가와 사회에 있어서 각각의 도시와 그들을 잇는 도로가 매우 중요한 것처럼 인체 내에서 이에 해당하는 경락과 경혈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수(1995) 편작보감 성한 서울
김홍경(2003) 잊혀진 건강원리 식물추장 서울
손민철외(2003) 알기쉬운 경혈학 도서출판 의성당 서울
오관열(1991) 오상기혈론 도서출판 동서춘추 서울
허일웅(20050 동방선학 명지대학교 출판부 서울
홍원식(1972) 황제내경 소문 영추 고문사 서울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2001) 한의학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서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4.0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