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에 대한 조사분석및 견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미에 대한 조사분석및 견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의 미

1. 단청
◎단청의 종류
가칭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얼금단청
금단청
고색단청

2. 기둥
배흘림기둥
도랑주
누상주, 누하주

3. 지붕
맞배지붕
우진각 지붕
팔작지붕
모임지붕

본문내용

로 이러한 지붕의 집을 뱃집이라 부르기도 한다. 집의 앞뒤로 평면에 따라 길쭉하게 지붕 물매가 구성되어 가늘고 긴 지붕이 된다. 기와지붕으로는 가장 간결한 구성이며 고급집에서는 주로 주심포(柱心包) 계통의 집에 보편적으로 채택된다. 맞배지붕으로 가장 아름다운 구성은 창녕(昌寧) 관룡사(觀龍寺) 약사전을 들 수 있다. 다포계(多包系) 양식의 집에는 맞배지붕이 채택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조선 초기에는 맞배지붕인 건물이 있다. 예천(醴泉) 용문사(龍門寺) 대장전이나 서산(瑞山) 개심사(開心寺) 대웅전이 그러한 예이다
우진각 지붕 자료출처 : http://blog.naver.com/jeongks11?Redirect=Log&logNo=20013161667
지붕 모서리의 추녀마루가 처마 끝에서부터 경사지게 오르면서 용마루에서 합쳐지는 지붕이다. 앞뒤에서 지붕면을 보면 사다리꼴 모양이고, 옆면에서는 삼각형 모양으로 보인다. 내림마루가 없고 용마루와 추녀마루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
팔작지붕
우진각지붕의 윗부분을 잘라 내고 맞배지붕을 얹어 놓은 것 같은 지붕이다. 지붕면의 정면은 사다리꼴과 직사각형을 합친 모양이고, 옆면은 사다리꼴에 삼각형을 올려놓은 모양이다.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모두 갖춘 지붕이다.
모임지붕
지붕의 추녀마루가 처마 끝에서부터 경사지게 오르면서 지붕 중앙의 한 점에서 합쳐지는 지붕이다. 지붕의 평면 모양에 따라서 사각형인 경우 사모지붕, 육각형인 경우 육모지붕, 팔각형인 경우 팔모지붕이라고 한다. 용마루와 내림마루가 없고 추녀마루만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선조들의 사찰 문화는, 소박하면서도 친 환경적이며, 색채를 잘 표현함으로써 우리의 색깔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문화는 인간의 모든 생활, 의·식·주생활 모든 면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데, 그들이 만든 모든 과거의 것들이 모두 그 나름대로 기능에 충실하면서 의미를 갖고 있기에 생활의 질을 풍요롭게 하였을 것이다. 인간적인 스케일과 자연에 순응하여 세워진 조화로운 건축구조물을 조사해 보면서, 비록 현대 건축공학에 밀려서 도심에서는 볼 수 없는 전유물이 되었지만, 내부적으로 보았을 때 세계 어느 나라에 내세워도 손색없는 우리의 건축술에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현대의 새로운 미를 창조해 가되, 우리만의 전통미를 살려서 유지시키고, 더욱 발전 시켜 세계에서 더욱 인정받는 우리의 전통예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2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