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스 오즈의『 나의 미카엘 』에 나타난 꿈과 현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1. 꿈과 현실의 반복
2.2. 한나의 꿈
2.3. 작품과 시대상황
2.3.1. 중동 -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2.3.2.『나의 미카엘』속 이스라엘
2.3.3. 오즈의 삶과 이상

3. 결론

본문내용

작가의 개인적 체험들은 작품에 변형된 모습으로 반영 투사되어 나타난다고 한다. 즉 작가의 체험과 개성이 그의 문체, 주제의 선택, 인물 혹은 성격 묘사를 어떻게 진행시키는가를 알 수 있고, 무엇이 작가로 하여금 그러한 특정 작품을 창조하도록 자극하였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명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삶과 현실이 어떻게 예술로 표현되었는가 하는 다양한 양상을 재구성하여 볼 수 있다. 김혜니,『외재적 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푸른사상, 2005, 131-132쪽 참조.
아모스 오즈는 초기 키부츠의 본래 이상이 퇴색해 가고 있는 현실을 경험했던 사람이다. 그러한 현실 속에서 실패한 키부츠, 실패한 이스라엘을 역설하고, 급기야 80년대 중엽 키부츠를 떠나, 마치 자신의 작품『완전한 평화』의 주인공처럼 유다 광야의 한복판에 위치한 도시 아라드(Arad)에서 오늘까지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삶은 현실 도피적인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기보다는 오늘날 이스라엘이 처한 정치 현실에 대한 회의, 특히 아랍 팔레스타인과의 갈등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는 힘의 우위만을 통하여 지켜오고 있는 중동 평화가 얼마나 허약한 기반 위에 서 있는 위험한 일인가를 갈파하면서, 유대 역사에서 자신들이 지켜오고자 했던 진정한 가치는 그런 허구적 현실이 아니라, 상호 정의롭게 공존하며 이상과 현실이 조화를 이루는 나라임을 재확인하고자 보여준 작가의 결단이라 말할 수 있다. 아모스 오즈, 최창모 역, 『나의 미카엘』, 민음사, 1998, 295-296쪽 참조.
앞서 말했듯이, 오즈는 <팔마흐 세대에 속한 작가로서 이스라엘 민족의 실존에 감추어진 꿈과 현실 사이의 정서적 심연을 끊임없이 탐구하고자 하는> 아모스 오즈, 앞의 책, 296-297쪽.
가치관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작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한나와 미카엘, 꿈과 현실의 이중적 설화 구조(narrative fabric) 아모스 오즈, 앞의 책, 298쪽.
속에서 풀어가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즉 한나와 미카엘, 꿈과 현실, 독립과 전쟁이라는 대립구도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남성다움의 환상을 꿈꾸는 한나와 새 아파트를 얻고, 지질학과 교수가 되고, 아이를 키우는 소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미카엘의 결혼 생활은 끝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한나를 오랫동안 물고 늘어졌던 어린 시절과 단치히의 꿈은 그녀가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현실에 충실한 평범한 남자인 미카엘은 부인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살펴본다면 오즈가 바라는 이상과 현실의 조화가 성취되지 못한 상태로 이야기는 끝이 난 것이다. 여기서 작가의 현재 이스라엘을 바라보는 비판적이며 냉소적인 시선을 살펴볼 수 있다.
3. 결론
『나의 미카엘』은 어떻게 보면 아주 단순한 스토리를 가진 소설로 보여 진다. 남녀가 만나 사랑하고 결혼을 하고, 그 과정에서 각자의 독특한 성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해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한다는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단순한 관점만을 가지고 이 작품을 바라보기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그것은 작품의 배경 배경은 소설에 있어서 인물과 사건이 활동하고 발생하는 모든 시간적·공간적 영역과 기타 상징적 상관물 objective correlative로서의 자연환경, 소도구 등을 의미한다. 배경은 단순히 인물과 사건의 물질적 배경이나 장소의 요소로서만 임무를 다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배경은 때로는 은유나 상징으로 작용하고 이것이 심화·상승될 때 배경의 효과를 분위기 atomosphere라고 일컫는데 이 배경은 모든 분위기를 형성하는 요소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Werren과 Brooks는 배경의 효과가 인물과 사건에 대한 신빙성을 주며 소설의 분위기를 형성해 주며 이 외에도 소설의 주제를 구체화시키는 데에도 배경의 효용이 있다고 설명함으로써 배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윤병로, 조건상, 강우식 공저, 『문학개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220-222쪽.)
이 되고 있는 ‘이스라엘’이라는 나라 때문이다. 50년대 이스라엘의 시대 상황을 끌어오고 거기에서 인물들과 사건을 풀어나가는 작가의 의도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이스라엘은 1948년에 생겨난 신생 국가이다. 이 나라는 오랫동안 나라 없이 여러 곳에 흩어져 살면서 박해 받았던 유대인들, 그리고 시오니즘의 결정체인 유대국가인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인들의 꿈은 현실화 되었지만 거기에는 전쟁이라는 시련이 뒤따라왔다. 이스라엘과 중동 사이의 끊임없는 크고 작은 전쟁들 속에서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는 여러 차례의 존망의 위기를 겪었지만 지금까지 건재해 오고 있다. 유대국가 수립이라는 꿈은 실현되었지만 전쟁이 끊이지 않는 건강하지 못한 사회적 상황이라는 현실을 바라볼 때 어느 것이 진정으로 그들이 추구하고자 한 가치인지를 묻게 한다.
종합해 볼 때, 오즈의 초기 작품인『나의 미카엘』은 작가가 살아왔던 실생활(키부츠)에서의 결단과 현재 이스라엘을 바라보는 회의가 녹아든 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그의 작품은 현재 이스라엘, 그리고 더 나아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고문헌>
Oz, Amos, 최창모 역, 『나의 미카엘』, 민음사, 1998.
최창모, 「아모스 오즈의 서술구조 - ≪여자를 안다는 것≫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 2002.
윤병로, 조건상, 강우식 공저, 『문학개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박형규 외, 『러시아 문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나병철, 『문학의 이해』, 文藝出版社, 1994.
Blanchat, Maurice, 박혜영 역, 『문학의 공간』, 책세상, 1990.
장 벨맹-노엘, 최애영·심재중 역,『문학 텍스트의 정신분석』, 東文選, 2001.
Maslow, Abraham H., 조대봉 역,『人間의 動機와 性格』, 敎育科學社, 1992.
김현, 『文學社會學』, 민음사, 1983.
버나드 루이스, 이희수 역, 『중동의 역사』, 까치글방, 1998.
마이클 하워드·로저 루이스, 차하순 외 역, 『20세기의 역사』, 가지않은길,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5.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