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요'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동설화의 개괄적 내용
1.1 설화 내용
1.2 설화 분석
1.3 서동요에 대한 이설

2. 설화 원문 해석

3. 향가 원문 해독

4. 서동요 연구 동향
4.1 서동요 관련 논문 연도별 정리
4.2 서동요 관련 논문 분류 - 내용을 중심으로
4.3 서동요 관련 논문

본문내용

그것이 극적이기에 이야기로 된 것이라고 함.
3) 원효설
김선기: 서동은 곧 원효이며, 서동요 자자 역시 원효라 주장. 학계에 많은 의문 던지고 있음.
4) 무령왕설
사재동: ‘무왕’조의 기록은 설화가 역사화된 것 서동설화의 주인공으로 분장된 역사적 인물은, 무왕동성왕보다는 오히려 무령왕에 맞대어질 것이라고 봄.
서동- 설화의 원래적 주인공이요 무령왕은 변장된 안면으로서의 역사적 주인공일 수 있으므로 서동요는 무령왕이 제작할 수 없고, 또한 서동이 창작할 수도 없기에 작자미상으로 봄
5) 법왕의 사자설
김영태정명호: 서동이 왕의 아들이므로 백제 법왕의 아들이 된다는 것
- 서동을 첩의 자식이나 서자로 파악해 서동의 父를 법왕으로 보고, 왕의 혈통이지만 정치적 사건으로 가문이 몰락해 마를 캐어 살아갔다고 봄.
2. 설화적인 측면으로 보는 입장
1) 불교적 관점
김종우: 영웅에 흔히 있을 수 있는 후인들의 과장된 심리의 표현이거나 이미 그 당시에 민간에서 유행하고 있던 노래를 전설적인 무왕에 기탁하여 후인이 탁가(托歌)한 것이라 하고, 선화는 불교의 관음(觀音), 서동은 그의 보처인 남순동자(南巡童子),그리고 서동의 어머니도 관음의 우보처인 해상용왕과 인연을 가진 여인이라 하였다. 또한 이혜화도 미륵신앙이 용신앙의 유착이라 하면서 서동의 어머니와 지룡과의 교통으로 서동이 태어난 것과 더불어 서동설화는 불교적 연계성이 투영된 것으로 보았다.
2) 정치 사회적 관점
윤영옥: 서동전승의 고향을 신라에 두고, 신라사회, 특히 신분제도에 얽힌 사회의 의식의 일반영으로 설화를 해석하고, 그에 따라 서동요를 해석하여 예언(讖言)적 동요라 함.
김학성: 이병도의 설을 받아들여 ‘무왕’조 이야기가 역사적 사건이 설화화 된 것임을 재강조하여, 귀족계층은 그들의 가치관에 의해 이미 민중설화로서 형성유포되고 있는 ‘서동설화’를 변이화시켜 귀족설화인 ‘무왕설화’로 재편했다고 봄.
신배섭: 서동설화를 신분간 국가간 인간과 초월자간의 해를 보여주는 설화라 함.
3) 사찰연기담적 관점
4) 영웅담적 관점
이명선: 서동의 출생부터가 전설적, 비천한 가정에서 태어나 신라 진평왕의 공주와 결혼한 후에 백제왕까지 되었다는 그의 경력에는 후인의 억측과 과장이 다분히 있다고 하여 서동설화를 영웅의 생애담으로 보고 있음
김열규: 서동을 무왕으로 본 삼국유사 기록 자체가 신빙성이 없다고 하고 서동전승을 역사적 전설이라 함, 이에 서동이 태어나 왕위로 오르기까지의 생애담을 주축으로 하고 있는 'hero-tale' 구조로 보며 최철 박용식 최리자 등도 견해를 같이 함.
5) 정신사적 관점
정상균: 서동이 선화공주의 훈도에 의해 ①경제적으로 눈을 뜨고(황금의 인지),② 윗사람을 공경하는 예절을 배우고(황금의 수송),③ 종교저인 사업에 참여했음(미륵사 창건)을 보임이 사회적 정신적 상황을 말해주고 있다고 함.
윤정수: 서동의 인간상을 심리학적으로 분석하여, 서동이 고난과 역경을 극복한 슬기로운 인간상이라 하고, ‘사교성의 조화’로 자기 행동의 부적응에 대해 효과적으로 조정한 정신건강을 본받아야 한다고 함.
‘마퉁이설화 바리공주 삼공본풀이 쫓겨난 여인의 일생 복진며느리와 생금장 내복에 산다’설화 등과 공통성을 언급한 연구와 노래 자체에 초점을 마주어 서동요를 공개적 구애의 노래로 보기도 함.
Ⅳ. <서동요> 성격
1. 형식
1) 「삼국유사」에는 ‘善花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夜矣卵乙抱遣去如’로 삼 분절 되어 있다.
- 서동요를 세 구절로 나누어 파악하고 있는 이는 김윤경·서재극 등이다.
2) 유창선은 「삼국유사」의 마지막 구절을 ‘薯童房乙 夜矣卵乙抱遣去如’의 두 구절로 나누고서는 해독상의 필기에서는 두 줄로 나누어 놓았다.
- 신태현과 남풍현도 두 줄 형식으로 나누었다.
3) 조동일은 두 줄의 세 토막 형식으로 보았다.
4) 정열모는 ‘善花公主 主隱他密只 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卵乙 抱遣去如’로 나누어 여섯 줄로 나누어 놓았다.
5) 소창진평이 「삼국유사」의 서동요 마지막 구절을 ‘薯童房乙 夜矣卵乙抱遣去如’로 2분절한 이후, 대 부분 이렇게 하여 네 줄형식으로 다루고 있다.
2. 서동요를 둘러싼 서사적 전승 맥락
- ‘영웅 일대기’와 같은 전형성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서동의 일생이 ‘①서동의 출생→②서동의 시련→③서동과 선화공주의 결연→④서동의 왕위등극→⑤미륵사 창건’으로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서동요는 ③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 서동요가 서동설화에서 핵심적인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누우-구는 누우-구와 뭐뭐 했대요’라고 하는 동요의 형식과 거의 일치
4. 전승과정
- 후대로의 전승과정에서 노래없이 서동설화의 줄거리만 문헌에 기록되기도 한다. 이것은 서동과 선화와의 결연이 이 노래가 아닌 다른 어떤 사건으로도 대체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이것은 서동설화와 서동요가 같은 시·공간 대에 만들어졌지 않을 개연성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즉 서동설화가 형성될 때, 그 이전에 전승되던 동요가 끼어들어간 것이라고 본다.
- 오늘날까지 동요가 전승되었다는 것은 서동설화 생성이전부터 노래가 전승되어 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5. 서동설화와 서동요의 발생지역
- 서동요를 둘러싸고 있는 전체의 맥락에서는 서동설화의 형성권이 백제지역이기에 백제지역 에서 통용되고 있는 노래를 서동이 개작해서 신라에 유포시켰다고 할 수 있다.
- 엄연히 이 노래는 애초에 신라지역에서 노래되었으며, 향찰로 포기되었고, ‘무왕’조의 서동요를 그냥 ‘요·동요’라 명명한 것을 볼 때, 이 노래가 원래 당대이전부터 신라지역에 유행하던 동요였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서동이 개작하여 군동으로 하여금 부르게 했다고 본다. 그러므로 서동요 노래 자체의 발생은 신라지역이라 해야 타당성을 부여받을 것이다.
6. 놀림의 노래이다.
*목 차
1. 서동설화의 개괄적 내용
1.1 설화 내용
1.2 설화 분석
1.3 서동요에 대한 이설
2. 설화 원문 해석
3. 향가 원문 해독
4. 서동요 연구 동향
4.1 서동요 관련 논문 연도별 정리
4.2 서동요 관련 논문 분류 - 내용을 중심으로
4.3 서동요 관련 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