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소월의 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본문
1. 소월의 생애
2. 소월시의 특징
3. 소월 시의 의의와 한계

맺음말

본문내용

은 스승 김억의 영향으로 민요시로서 출발하였으나, 당시 여타의 민요시와는 다른 성과를 이룩하였다. 재래 민요나 민담에서 제재를 취하면서도 시어를 잘 다듬고 압축하여 시의 구조적 긴장감을 낳게 하였다. 또한 율조에 있어서도 민요의 율조를 변형하여 독특한 시 형식을 이룩하였다. 특히 집 없고 길 없는 설움과 고향 상실에 대한 따른 비애를 잘 형상화하여 식민지시대의 정서를 압축하였다. 소월의 시는 한국 근대시 형성의 초기에 있어 주권 상실의 민족 현실을 자아화하여 민족의 감정에 작용하는 민중 정서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시사적 의의를 지닌다.
소월에게 흔히 가해지는 비판은 지식인으로서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진달래꽃」에서, 이별은 삶의 보람을 앗아가는 큰 불행을 뜻한다 하겠으며 일제의 침략으로 조국을 상실한 고통을 환기시킨다는 면에서 뜻하는 바가 확대된다. 그런데 이에 대해 적극 대처하지 못하고,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래의 가능성마저 망각해야 한다는 자학에 사로잡혔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4, pp.176~177
또한, 김소월은 식민지시대의 결핍의 정서를 노래하며, 그 해결을 주로 과거에서 모색하였다. 흔히 그의 시적 태도가 과거 지향적 태도로 간주되는 이유가 이것인데 그의 이런 노력은 유년 시절과 자연, 꿈이나 상상세계로 도피하고자 한 것이며, 결국 자신의 기억에 의지하려 한 것이다. 특히, 그의 임은 과거에만 존재하며 현실이나 미래에서 임을 재회할 가능성이 차단되어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초혼을 하는 일뿐이다. 그의 전통적 정서가 심화 · 확대된 면은 있으나 보다 절실한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당대의 현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맺음말
지금까지 소월의 작품세계와 그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월이 활동하던 1920년대는 일제의 식민 정책으로 암울한 시기였으나 문학의 측면에서는 많은 뛰어난 작가와 시인들이 활동했던 시기였다. 다양한 문예사조들이 유입되었지만 소월은 우리 민족 고유의 토착적인 정서를 시로 승화시키기 위해 노력한 시인이었다. 그는 여성성을 통해 단순히 연약함, 소극성을 표출하지 않고 당시의 시대상을 폭로하는 적극적인 저항 의식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즉, 겉으로는 낭만적이고 여성적인 감정으로 노래하고 있으나 이육사나, 윤동주의 저항 정신과는 다른 그것이 그의 시 내면에 스며들어 있다. 따라서 소월의 시는 더 깊고 세밀한 차원에서 겨레에게 바쳐진 시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소월, 「김소월 전집」,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김소월, 「진달래꽃」, 혜원출판사, 2000
김윤식 김우종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
김현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송희복, 「김소월 연구」, 태학사, 1994
엄호석, 「김소월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8
오세영, 「한국현대시인여구」, 도서출판月印, 2003
윤병로, 「한국근 현대문학사」, 명문당, 199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4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