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가족의 이해와 앞으로의 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애에 대한 가족의 반응
1) 단계모델
2) 만성적 슬픔 모델
3) 실존적 갈등 모델
4) 발달과업 모델

2. 장애의 가족에 대한 영향
1) 대상별 영향
2) 가족 생활주기에 따른 영향

3. 장애인 가족의 적응
(1) 가족경계의 유지
(2) 의사소통 능력개발
(3)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
(4) 가족 유연성 유지
(5) 가족에의 책임 유지
(6) 적극적으로 대처노력에 참여
(7) 사회통합의 유지
(8) 전문가와상호협력 관계 개발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과제
1) 강점관점으로의 전환
2) 클라이언트의 다양화 및 확대
3) 프로그램의 다양화
4) 가족-전문가의 상호협력 강화
5) 학계와 실무의 연계

본문내용

ognitive map) 를 개발하는 것 처럼, 가족들은 또한 자체의 개념적 패러다임- 즉, 하나의 집단으로서 가족이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족의 개념적 패러다임이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 가족은 일반적으로 응집력과 적응이 활성화된다.
(4) 가족 유연성 유지
성공적 가족적응은 가족내의 역할과 과업을 다른 구성원에게 이전 할수 있는 가족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즉, 이들 가족은 문제 내용에 따라 유연한 역할과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는 유연한 대처기술 및 문제 해결력과 관련된다.
(5) 가족에의 책임 유지
팀워크와 협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족은 더 적응에 유연하다. 형제를 지지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족모임을 활성화하고 계획하고자 하는 가족은 가족의 응집력이 더 높다.
(6) 적극적으로 대처노력에 참여
성공적 적응 가족은 활동적 문제 해결자이며 대처기술의 효율적 사용자이다. 동일한 상황이라 할지라도, 상황에 대한 대처기술에 따라 적응결과는 상이 할 수 있다. 장애아동 출생에 직면하여 가족이 소극적이라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장애아동의 재활에 ‘함께’ 참여하는 것은 성공적 적응을 위함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7) 사회통합의 유지
긍정적 사회적 망을 가지고 있는 가족은 고립된 가족보다 더 잘 적응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 가족의 경우 사회통합에 위협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가 장애를 수용하지 않거나, 가족들이 낙인을 느끼거나, 보호욕구로 인하여 정상적 친구관계나 활동에 참여할수 없다면 사회통합에 저해된다. 그러나 성공적 적응 가족들은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연결을 잘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다.
(8) 전문가와상호협력 관계 개발
장애인 아동의 가족은 비장애인 아동 가족보다 더 전문가와 많은 상호작용을 한다. 스트레스 관련 문헌들은 이러한 상호작용 역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부모와 전문가 모두는 상호협력과 상호존중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해야 한다.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과제
장애인 가족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려해야하는 몇가지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강점관점으로의 전환
가족복지의 향상을 위해서는 장애인복지실천의 패러다임을 결점 혹은 문제 중심에서 강점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이미 장애인 복지실천에서 부분적으로 시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은 현실적 한계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인정되나 두 관점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외국의 경우는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 강점관점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을뿐만 아니라 장애인복지실천에 있어서도 이러한 관점의 적용이 점차 보편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실천 역시 장애인 및 가족의 강점에서 출발하는 강점과 자원중심 접근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클라이언트의 다양화 및 확대
우리나라의 가족에 대한 서비스는 장애아동이나 성인 혹은 장애인의 어머니 중심으로 상당히 편향된 경향이 있다. 비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소수의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나, 이는 아직도 소극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어머니나 형제자매에 대한 프로그램뿐아니라 아버지, 가족을 하나의 기능단위로 보는 가족단위의 프로그램, 부부관계 프로그램, 부모와 비장애 형제자매, 혹은 부모와 장애인 등의 부모관계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클라이언트군에 대한 차별화된 개입이 요구된다.
특히 장애인 부모를 둔 비장애 자녀의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 중도장애인의 가족 적응 프로그램 등 클라이언트의 다양화 및 확대를 고려해야한다. 장애아동의 출생 못지 않게 중도 장애인 가족 역시 장애의 수용과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장애인 부모를 가진 비장애 자녀 역시 부적응을 위한 고 위험군으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장애인 복지실천에서의 관심과 꾸준한 개입노력,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3)프로그램의 다양화
프로그램 내용의 다양화 및 질적 깊이 강화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주로 단편적, 현상학적 문제 중심으로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는 것ㅇ르 알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는 가족에 대한 좀더 다양한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장애 발견에 대한 위기개입서비스, 만성적 슬픔에 대한 치료, 부부치료, 장애수용집단활동, 2차 장애 예방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는 장애인 가족이 사회에 통합되고 장애를 수용하며 적응적 가족이 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프로그램 내용의 다양화뿐 아니라 질적 깊이를 확보하려는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4) 가족-전문가의 상호협력 강화
가족과 전무낙 간의 상호협력 체계 강화는 이미 임상실천에서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서비스 실시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전문가와 가족의 위계적 관계가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전문가가 항상 클라이언트가 소비자라는 의식을 가지고, 이들과의 상호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노력할 때 더 효율적으로 서비스가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5) 학계와 실무의 연계
마지막으로 장애인과 가족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학계와 실무진에게 필요하다. 이러한 지속적 연구개발은 궁극적으로 장애인 가족에 대한 보다 나은 서비스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 가족의 이해와 앞으로의 과제
- 목 차 -
1. 장애에 대한 가족의 반응
1) 단계모델
2) 만성적 슬픔 모델
3) 실존적 갈등 모델
4) 발달과업 모델
2. 장애의 가족에 대한 영향
1) 대상별 영향
2) 가족 생활주기에 따른 영향
3. 장애인 가족의 적응
(1) 가족경계의 유지
(2) 의사소통 능력개발
(3) 상황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
(4) 가족 유연성 유지
(5) 가족에의 책임 유지
(6) 적극적으로 대처노력에 참여
(7) 사회통합의 유지
(8) 전문가와상호협력 관계 개발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과제
1) 강점관점으로의 전환
2) 클라이언트의 다양화 및 확대
3) 프로그램의 다양화
4) 가족-전문가의 상호협력 강화
5) 학계와 실무의 연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8.17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