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임이 서로 같다.
③ 유사 관계에 의해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④ ‘맑은 강’이라는 뜻이다.
⑤ 독음은 ‘청강’이다.
39. 뜻이 반대되는 한자끼리 연결된 것은 ? (당산서, 남대문)
① 大―少② 長―低
③ 高―經④ 早―晩
⑤ 多―小
40. ‘耳目’의 뜻 풀이에 해당되는 것은 ? (봉은, 고명)
① 남들의 주의② 손과 발
③ 물의 힘④ 제 몸
⑤ 몸과 마음
41. 다음의 한자들과 가장 관련이 깊은 한자어는 ? (장훈, 잠신)
耳, 手, 目, 足, 口
① 人身② 日月
③ 山水④ 山川
⑤ 心身
42. 독음이 바른 것은 ? (일신여, 방이)
① 女人 : 녀인② 子女 : 자녀
③ 身體 : 신분④ 身分 : 신체
⑤ 入口 : 인구
43.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대림, 구정)
(1) <그림>
(2)
44. ‘손과 발’ 또는 ‘요긴하게 부리는 사람’이라는 뜻의 한자어는 ? (서운, 상계)
① 耳目② 手足
③ 子女④ 女人
⑤ 心身
45. 다음 중 제부수 글자가 아닌 것은 ? (반포, 과천문원)
① 金② 北
③ 衣④ 面
⑤ 方
46. ‘明’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가 아닌 것은 ? (강일, 둔촌)
① 林② 男
③ 孝④ 方
⑤ 東
47. 부수가 서로 같은 것은 ? (배재, 봉은)
① 左 … 右② 西 … 面
③ 右 … 向④ 內 … 南
⑤ 東 … 位
48. 우리말 풀이에 대한 한자어가 바른 것은 ? (동북, 서일)
① 흰 옷 : 百衣② 남과 북 : 南兆
③ 왕의 자리 : 玉位④ 나아갈 방향 : 方位
⑤ 점점 나아짐 : 向上
49. 다음 중 필순이 바르지 못한 것은 ? (광장, 원촌)
① 方 <그림>② 左
③ 內④ 右
⑤ 在
50. 다음 중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 (도곡, 언주)
① 대통령 內外분께서 공항에 도착하셨다.
② 나는 在右를 돌아보았으나 아무도 없었다.
③ 아무도 그를 外面하지 않았다.
④ 그는 內面이 잘 닦인 사람이다.
⑤ 나는 지난 여름에 外家에 다녀왔다.
51. 다음 한자의 뜻이 옳은 것은 ? (대원, 방배)
① 五―다섯② 金―돌
③ 千―일백④ 八―아홉
⑤ 四―일곱
52. ‘一’의 갖은자로 옳은 것은 ? (중계, 고덕)
① 木② 壹
③ 萬④ 參
⑤ 拾
핵심기출문제 ………
1. ⑤
(라)와 (바)는 대립 관계이다.
2. ⑤
①, ②, ③, ④는 회의자이고, ⑤는 형성자이다.
3. ②
보기는 형성자이고 ①, ③, ④, ⑤는 회의자이다.
4. ④
①―‘패배’, ②―‘나인’, ③―‘주택’ ⑤―‘귀성’
5. ①
6. ⑤
7. ②
8. ②
심장 모양과 비슷한 한자
9. ③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가 아닌 한자
10. ⑤
身 : 몸 신
11. ①
二 : 두 이
耳 : 귀 이
12. ③
삐침( 그림 )과 파임( 그림 )이 어울릴 때는 삐침을 먼저 쓴다.
13. ②
‘東’은 특히 틀리기 쉬운 부수를 가진 글자이다.
14. ⑤
面 : 얼굴의 모양을 본뜸
15. ③
古와 右
九와 方
四와 西
16. ②
‘南’과 ‘面’의 다름에 유의할 것.
17. ④
18. ③
19. ②
북녘 북
北
달아나다 배
20. ④
人+十=千
21. ③
개수를 나뭇가지로 표시하였다.
22. ②
숫자를 수량을 기호로 표시한 것이 대부분이다.
23. ④
④ 千 : 일천 (천)
24. ①
25. ⑤
本<木, 1획>, 上<一, 2획>
法<水, 5획>, 男<田, 2획>
26. ②
27. ②
‘손’의 상대자는 ‘발’
28. ⑤
山 : 산(뫼) 산
水 : 물 수
月 : 달 월
29. ④
足 : 발, 넉넉하다, 충분하다.
30. ④
心 : 마음 심
耳 : 귀 이
仁 : 어질 인
力 : 힘 력
31. ③
: 갈고리
32. ③
숫자
33. ③
十에서 파생된 글자
34. ①
① : 상형자
②~⑤ : 지사자
35. ②
36. ②
숫자가 들어 있는 한자어 읽기
37. ②
①―‘교육’, ②―‘항성’, ③―‘교훈’ ④―‘수업’, ⑤―‘출석’
38. ③
‘淸江’은 수식 관계이다.
39. ④
早(조) : 일찍, 晩(만) : 늦다
40. ①
손과 발 : 手足
물의 힘 : 水力
제 몸 : 自身
몸과 마음 : 心身
41. ①
신체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들이다.
42. ②
女人 : 두음 법칙이 적용됨
43. (1) 耳 (2) 人
(1) 귀, (2) 사람
44. ②
① 이목, ② 수족, ③ 자녀, ④ 여인, ⑤ 심신
45. ②
北 : 匕부 3획
46. ④
明→‘뜻+뜻’으로 된 ‘회의자’이다.
47. ③
‘右’는 口부 2 획
48. ⑤
글자의 점 하나, 획 하나를 주의깊게 살펴보자.
49. ④
‘左’와 ‘右’는 <그림> 의 필순이 다르다.
50. ②
‘左’와 ‘在’는 다른 글자이다.
51. ①
숫자 알기
52. ②
갖은자
1. 다음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윤중, 신사)
인력(사람의 힘)
2.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방산, 배명)
(1) 耳目
(2) 身分
3.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강동, 신천)
一 → 十 → 百 → ( ) → 萬
4.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날짜를 한자로 쓰시오. (서초, 광명북)
여름 방학 때면 언제나 광복절을 맞이한다.
5. 다음 밑줄 친 부분을 갖은자로 쓰시오. (예일여, 선덕)
진욱이는 오늘 자신의 용돈을 아껴 저축한 3210원을 자매 결연을 맺은 불우한 이웃에게 송금하였다.
6. ‘自身’의 독음을 쓰시오. (서울사대부속여, 환일)
7.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영등포여, 세륜)
우리 나라 인구는 남북한을 합해서 칠천만이 된다.
8. 다음 글의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방이, 강남)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9. 밑줄 친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 (풍납여, 고명)
산의 정상에 오르니 心身이 상쾌하다.
10. 다음 보기의 □에 적절한 한자를 채우시오. (신천, 명일여)
過去―現在―□
11. 다음 ( )안을 한자로 쓰시오. (상원, 청운)
유월 십구일 : ( )月 ( )日
12. ‘內外’를 두 가지로 해석해 보시오. (언북, 봉은)
주관식 기출문제
1. 人力
2. (1) 이목 (2) 신분
3. 千
4. 八月十五日
5. 參千貳百拾
6. 자신
7. 人口
8. 足
9. 심신
10. 未來
11. 六, 十九
12. 안과 밖, 남편과 아내
③ 유사 관계에 의해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④ ‘맑은 강’이라는 뜻이다.
⑤ 독음은 ‘청강’이다.
39. 뜻이 반대되는 한자끼리 연결된 것은 ? (당산서, 남대문)
① 大―少② 長―低
③ 高―經④ 早―晩
⑤ 多―小
40. ‘耳目’의 뜻 풀이에 해당되는 것은 ? (봉은, 고명)
① 남들의 주의② 손과 발
③ 물의 힘④ 제 몸
⑤ 몸과 마음
41. 다음의 한자들과 가장 관련이 깊은 한자어는 ? (장훈, 잠신)
耳, 手, 目, 足, 口
① 人身② 日月
③ 山水④ 山川
⑤ 心身
42. 독음이 바른 것은 ? (일신여, 방이)
① 女人 : 녀인② 子女 : 자녀
③ 身體 : 신분④ 身分 : 신체
⑤ 入口 : 인구
43.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대림, 구정)
(1) <그림>
(2)
44. ‘손과 발’ 또는 ‘요긴하게 부리는 사람’이라는 뜻의 한자어는 ? (서운, 상계)
① 耳目② 手足
③ 子女④ 女人
⑤ 心身
45. 다음 중 제부수 글자가 아닌 것은 ? (반포, 과천문원)
① 金② 北
③ 衣④ 面
⑤ 方
46. ‘明’과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가 아닌 것은 ? (강일, 둔촌)
① 林② 男
③ 孝④ 方
⑤ 東
47. 부수가 서로 같은 것은 ? (배재, 봉은)
① 左 … 右② 西 … 面
③ 右 … 向④ 內 … 南
⑤ 東 … 位
48. 우리말 풀이에 대한 한자어가 바른 것은 ? (동북, 서일)
① 흰 옷 : 百衣② 남과 북 : 南兆
③ 왕의 자리 : 玉位④ 나아갈 방향 : 方位
⑤ 점점 나아짐 : 向上
49. 다음 중 필순이 바르지 못한 것은 ? (광장, 원촌)
① 方 <그림>② 左
③ 內④ 右
⑤ 在
50. 다음 중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 (도곡, 언주)
① 대통령 內外분께서 공항에 도착하셨다.
② 나는 在右를 돌아보았으나 아무도 없었다.
③ 아무도 그를 外面하지 않았다.
④ 그는 內面이 잘 닦인 사람이다.
⑤ 나는 지난 여름에 外家에 다녀왔다.
51. 다음 한자의 뜻이 옳은 것은 ? (대원, 방배)
① 五―다섯② 金―돌
③ 千―일백④ 八―아홉
⑤ 四―일곱
52. ‘一’의 갖은자로 옳은 것은 ? (중계, 고덕)
① 木② 壹
③ 萬④ 參
⑤ 拾
핵심기출문제 ………
1. ⑤
(라)와 (바)는 대립 관계이다.
2. ⑤
①, ②, ③, ④는 회의자이고, ⑤는 형성자이다.
3. ②
보기는 형성자이고 ①, ③, ④, ⑤는 회의자이다.
4. ④
①―‘패배’, ②―‘나인’, ③―‘주택’ ⑤―‘귀성’
5. ①
6. ⑤
7. ②
8. ②
심장 모양과 비슷한 한자
9. ③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가 아닌 한자
10. ⑤
身 : 몸 신
11. ①
二 : 두 이
耳 : 귀 이
12. ③
삐침( 그림 )과 파임( 그림 )이 어울릴 때는 삐침을 먼저 쓴다.
13. ②
‘東’은 특히 틀리기 쉬운 부수를 가진 글자이다.
14. ⑤
面 : 얼굴의 모양을 본뜸
15. ③
古와 右
九와 方
四와 西
16. ②
‘南’과 ‘面’의 다름에 유의할 것.
17. ④
18. ③
19. ②
북녘 북
北
달아나다 배
20. ④
人+十=千
21. ③
개수를 나뭇가지로 표시하였다.
22. ②
숫자를 수량을 기호로 표시한 것이 대부분이다.
23. ④
④ 千 : 일천 (천)
24. ①
25. ⑤
本<木, 1획>, 上<一, 2획>
法<水, 5획>, 男<田, 2획>
26. ②
27. ②
‘손’의 상대자는 ‘발’
28. ⑤
山 : 산(뫼) 산
水 : 물 수
月 : 달 월
29. ④
足 : 발, 넉넉하다, 충분하다.
30. ④
心 : 마음 심
耳 : 귀 이
仁 : 어질 인
力 : 힘 력
31. ③
: 갈고리
32. ③
숫자
33. ③
十에서 파생된 글자
34. ①
① : 상형자
②~⑤ : 지사자
35. ②
36. ②
숫자가 들어 있는 한자어 읽기
37. ②
①―‘교육’, ②―‘항성’, ③―‘교훈’ ④―‘수업’, ⑤―‘출석’
38. ③
‘淸江’은 수식 관계이다.
39. ④
早(조) : 일찍, 晩(만) : 늦다
40. ①
손과 발 : 手足
물의 힘 : 水力
제 몸 : 自身
몸과 마음 : 心身
41. ①
신체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들이다.
42. ②
女人 : 두음 법칙이 적용됨
43. (1) 耳 (2) 人
(1) 귀, (2) 사람
44. ②
① 이목, ② 수족, ③ 자녀, ④ 여인, ⑤ 심신
45. ②
北 : 匕부 3획
46. ④
明→‘뜻+뜻’으로 된 ‘회의자’이다.
47. ③
‘右’는 口부 2 획
48. ⑤
글자의 점 하나, 획 하나를 주의깊게 살펴보자.
49. ④
‘左’와 ‘右’는 <그림> 의 필순이 다르다.
50. ②
‘左’와 ‘在’는 다른 글자이다.
51. ①
숫자 알기
52. ②
갖은자
1. 다음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윤중, 신사)
인력(사람의 힘)
2.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방산, 배명)
(1) 耳目
(2) 身分
3.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강동, 신천)
一 → 十 → 百 → ( ) → 萬
4.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날짜를 한자로 쓰시오. (서초, 광명북)
여름 방학 때면 언제나 광복절을 맞이한다.
5. 다음 밑줄 친 부분을 갖은자로 쓰시오. (예일여, 선덕)
진욱이는 오늘 자신의 용돈을 아껴 저축한 3210원을 자매 결연을 맺은 불우한 이웃에게 송금하였다.
6. ‘自身’의 독음을 쓰시오. (서울사대부속여, 환일)
7.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영등포여, 세륜)
우리 나라 인구는 남북한을 합해서 칠천만이 된다.
8. 다음 글의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방이, 강남)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9. 밑줄 친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 (풍납여, 고명)
산의 정상에 오르니 心身이 상쾌하다.
10. 다음 보기의 □에 적절한 한자를 채우시오. (신천, 명일여)
過去―現在―□
11. 다음 ( )안을 한자로 쓰시오. (상원, 청운)
유월 십구일 : ( )月 ( )日
12. ‘內外’를 두 가지로 해석해 보시오. (언북, 봉은)
주관식 기출문제
1. 人力
2. (1) 이목 (2) 신분
3. 千
4. 八月十五日
5. 參千貳百拾
6. 자신
7. 人口
8. 足
9. 심신
10. 未來
11. 六, 十九
12. 안과 밖, 남편과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