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의 내후성이 큰 이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까시나무의 내후성이 큰 이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까시나무
2. 목재의 내후성 (Decay resistance)
3. 아까시나무의 물리적 특성
4. 아까시나무의 화학적 특성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콩과식물(wattle) 목부에는 leucoanthocyanidin 성분으로서 (+)-7,3‘,4’-trihydroxy-flavan-3,4-diol ①이 함유되어 있지만, 이밖에 flavanonol ②, (-)-catechin(flavan-3-ol)③, (-)-butin(flavanone)④, butein(chalcone)⑤ , fisetin(flavonol)⑥등 플라보이드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들은 대개 A환이 resoltinol⑦, B환이 catechol⑧로 되어 있고 더욱이 flavanonol, flavan -3,4-diol⑨, flavan-3-ol 의 C-2, C-3의 입체배위와 동일하다.
4.2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4.2.1 플라본(Flavones)誘導體
플라본류의 정의는 고등식물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색소물질의 하나로서 화학적으로는 2-phenylbenzo-r-pyrone(flavone)⑩의 유도체이며, 특히 3-hydroxyflavone계를 flavonol⑥이라고 부른다.
4.2.2 플라바논(Flavanones)誘導體
플라바논은 플라본의 dihydro 유도체로서 그 oxy화합물은 유리 또는 배당체 상태로 존재하며, 특히 Rosaceae, Rutaceae, Compositae 및 Pinaceae등의 식물과 양치 식물에서 많이 발견된다. 플라바논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이며 그 화학적 성질은 플라본류와는 다르다. 플라바논류는 부제탄소(不齊炭素)가 하나 존재하지만 실제로 자연에서 광학적 활성을 가진 플라바논류는 발견된 것이 많지 않다. 이것은 천연의 플라바논류는 생체내에서 광학적 활성체로서 존재하지만 분리하는 과정에서 라세미화(racemization)하기 때문이다.
4.2.3 플라바노놀(Flavanonols)誘導體
플라바노놀은 플라보놀의 dihydro체로서 그 유도체는 주로 식물의 목부에서 분리된다. 대부분이 유리상태로 발견되고 배당체형은 많지 않다. 플라바노놀과 플로바놀은 화학적으로 서로 전환할 수 있으나 천연에 있어서도 동일 식물중에 양자가 공존할 때도 있다.
4.3 스틸벤(stilbenes)
α-β-diphenylethylene의 골격을 각는 화합물을 총칭하며, 많은 수종의 심재등에서 분리 동정하였다. 일반적으로 UV 特性 吸收 300㎚~330㎚ 부근의 極大値를 갖는데 어떤 화합물 중에는 현저하게 濃色化되는 것이 있는데 이는 목재 착색물의 主因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항균성, 항산화성, 내후성을 갖는 화합물도 많다.
또한 “99년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⑴과, “2000년 9월 목재공학지”⑵를 보면 각각 “아까시 심재의 항산화물질 분리” 와 “내후성 활엽수종인 아까시나무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수피의 추출성분”에 관한 논문 내용을 살펴보면
⑴에서는 3-β-stigmast-5-en-3-ol, 3,3',4,5'-tetrahydroxystillbene, 3,3',4',5'7-pentahydroxyflavone(robinetin)
3,3',4'7-tetrahydroxyflavanone의 아래와 같은 4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아래의 표는 아까시나무 단리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
흡광도
100㎍/㎖
10㎍/㎖
1㎍/㎖
3-β-stigmast-5-en-3-ol
+3.36328
-0.00610(0.02)
-0.03925
3,3',4,5'-tetrahydroxystillbene
-0.76395
-0.57101(1.8)
-0.14960
3,3',4',5'7-pentahydroxyflavone
-0.72221
-0.71683(2.3)
-0.11514
3,3',4'7-tetrahydroxyflavanone
-0.79013
-0.38210(1.2)
-0.08678
α-tocopherol
-0.68929
-0.30878(1.0)
-0.23799
Butylated hydroxytoluene
-0.79062
-0.54500(1.8)
-0.08894
⑵에서는 아까시나무의 목질부를 클로로포름용성 분획으로부터 robinetin과 (+)-leucorobinetinidin을 얻었고 에틸아세테이트 용성으로부터는 다량의 dihydrorobinetin과 robtin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의 특징은 A환 형태가 주로 resorcinol의 구조를 가지며 B환의 pyrogallol의 형태를 갖는 flavonoid 화합물이었다.
Tutour와 Guedon (1992)도 Olea europaea 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조사한바, 페놀성 화합물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며 川瀨眞市郞 등(1993)은 glutamin과 같은 골격을 갖는 자작나무과 asada의 asadanin과 그 동족체 및 유도체에 주옥하여 항산화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sadanin, monodioxyasadanin, tridioxyasadanin은 BHT보다는 항산화능이 약하지만, α-tocopherol 과 glutamin 보다는 강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 바 있고, asadanin 동족체 혼합물에도 α-tocopherol과 거의 같은 정도의 항산화활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asadanin의 경우 구조중에 페놀성 수산기가 2개 존재하고 있다. 또한 Yagi 등(1994)은 3개의 친수성 flavonoid를 Polygonum hydropiper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α-tocopherol보다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산화능은 페놀성 수산기의 존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참 고 문 헌
이원용, 박상진외 1명 공저 : 1990.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이원용외 공저 : 1993. 임산학개론. 강원대학교출판부.
황병호 : 임산물화학. 강원대학교 임산공학과.
제 1 회 산림대 토론회 : 1996. 12. 포플러류, 오동나무, 아까시나무. 한국 포플러 위원회.
최돈하, 이학주, 이성숙, 강하영, 김윤근 : “아까시 심재의 항산화물질 분리”.
99.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목재공학회. p : 255~259
배영수, 함연호 : “내후성 활엽수종인 아까시나무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수피의 추출성분”
2000. 9. 목재공학지 28. 3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1.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