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리
2. 시약 및 기구
3. 실험방법
4. Calcula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5. Result
6. opinion
2. 시약 및 기구
3. 실험방법
4. Calcula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5. Result
6. opinion
본문내용
궈내고 콕에는 그리스를 약간 칠하여 뷰렛대에 꽂는다. 사용 후에도 묽은 세척액을 채운다음 뷰렛캡을 씌워둔다.
3. Procedure
초산 12g을 measured flask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500㎖으로 하고, 0.4N 초산용액을 만든다.
0.4N 초산용액을 2배로 묽게 하여 0.2N, 0.1N, 0.05N, 0.025N의 용액을 만들어 각각 100㎖씩 준비한다.
5종류의 초산용액을 각각 50㎖씩 삼각 flask에 pipette으로 취한다.
5개의 삼각 flask에 각각 약 0.5∼1g의 활성탄을 칭량하여 가하고 잘 섞는다.
삼각 flask를 항온조에 넣고 가끔 흔든다.
30분 이상 방치한다.
이 사이에 활성탄을 넣지 않은 초산의 각 용액을 10㎖씩 pippette으로 취하고 phenolphthalein용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참고문헌 : 화학공학대사전 - JIMMOONSA
http://electrochem.kyungnam.ac.kr/lecture/mass/보충/흡착/흡착원리.htm
http://nspc.chungnam.ac.kr/lab/phy/11.htm
http://www.cuinfo.co.kr/html/active.html
http://search.encyber.com
1. Calcula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1) 초산 12 g 을 measured flask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500 ㎖으로 하고, 0.4N 초산용액을 만든다.
2) 0.4N 초산용액을 2배로 묽게 하여 0.2N, 0.1N, 0.05N, 0.025N의 용액을 만들어 각각 100 ㎖씩 준비한다.
* 0.2N 초산용액 - 0.4N 초산용액(50 ㎖) + 증류수(50 ㎖)
0.1N 초산용액 - 0.4N 초산용액(25 ㎖) + 증류수(75 ㎖)
0.05N 초산용액 - 0.1N 초산용액(50 ㎖) + 증류수(50 ㎖)
0.025N 초산용액 - 0.1N 초산용액(25 ㎖) + 증류수(75 ㎖)
3) 5종류의 초산용액을 각각 50㎖씩 삼각 flask(2개씩해서 모두 10개)에 pipette으로 취한다.
4) 그 중 각 농도의 삼각 flask(총 5개)에 각각 약 0.5∼1g의 활성탄을 칭량하여 가하고 잘 섞는다.
5) 삼각 flask 10개를 항온조에 넣고 가끔 흔든다.
6) 30분 이상 방치한다.
7) 아무 것도 넣지 않은 초산의 각각의 농도 용액을 10 ㎖씩 피펫으로 취하고 페놀프탈레인용액을 2방울씩 떨어뜨린 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붉은색으로 변한다.
* N/10 수산화나트륨용액 제조
수산화 나트륨 2 g을 넣고 500㎖용액으로 만든다.
8) 활성탄을 넣은 초산의 각각의 농도 용액 또한 10 ㎖씩 피펫으로 취하고 페놀프탈레인용액을 2방울씩 떨어뜨린 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농도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 적정량
NaOH량
농도(N)
활성탄을 넣은 것
활성탄을 넣지 않은 것
0.4
36 ㎖
42.4 ㎖
0.2
18 ㎖
29.1 ㎖
0.1
13 ㎖
16.7 ㎖
0.05
5.1 ㎖
7.0 ㎖
0.025
3.1 ㎖
3.6 ㎖
2. Result
흡착전후에서 용액 10㎖을 적정하는데 사용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N(규정농도), 수산화나트륨 사용량을 각각 V1, V2라 하면..
초산흡착량( ) = 60
{ N} over {1000 }
(V1-V2)
{ 50} over { 10}
(N : NaOH 농도(0.1), V1 : 활성탄 넣지 않고 적정한 양, V2 : 활성탄 넣고 적정한 양)
① 0.4N 초산
= 60
{ 0.1} over {1000 }
(42.4 - 36)
{ 50} over { 10}
= 0.192
② 0.2N 초산
= 60
{ 0.1} over {1000 }
(29.1 - 18)
{ 50} over { 10}
= 0.333
③ 0.1N 초산
= 60
{ 0.1} over {1000 }
(16.7 - 13)
{ 50} over { 10}
= 0.111
④ 0.05N 초산
= 60
{ 0.1} over {1000 }
(7.0 - 5.1)
{ 50} over { 10}
= 0.057
⑤ 0.025N 초산
= 60
{0.1} over {1000 }
(3.6 - 3.1)
{ 50} over { 10}
= 0.015
* lnC, lnq구하기
- Freundlich흡착식
q ~= ~ chi over m ~=~ KAPPA C sup n
: 흡착된 초산의 양, m : 흡착매(활성탄)의 양(1g), C : 초산용액의 농도
구분
농도(N)
초산흡착량( )
lnq(q= /m)
lnC
0.4
0.192
-1.650
-0.916
0.2
0.333
-1.100
-1.609
0.1
0.111
-2.200
-2.303
0.05
0.057
-2.865
-2.996
0.025
0.015
-4.200
-3.689
그림
3. Opinion
활성탄1g을 흡착매, 초산용액을 흡착질로 하여 초산 흡착량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그리고 나서 Freundlich 흡착식을 이용하여 lnC, lnq를 구하여 흡착등온선을 그리는 실험인데 우리 조는 실험을 잘못해서 재 실험을 하는 불상사가 생겼다.
사전조사를 어느 정도 하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이 생긴 이유는 용액을 제조시 귀찮다고 대충해서 그랬던 거 같다. 차분히 신중히 생각하면서 했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했다. 또 활성탄을 넣을 때 제조된 상태에서 넣었어야했는데 우리 조는 적정할 만큼을 떠놓고 활성탄을 넣는 바람에 초산이 활성탄에 모두 흡착되어 아무리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넣어도 적정되지 않았다.
또 처음 적정을 할 때 어느 정도에서 적정이 되는지 정확하게 몰라서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너무 빨리 넣어 정확한 양을 측정하지 못한거 같다.
그리고 공식을 써서 흡착량을 구하지 않아도 초산의 흡착정도를 알 수 있었는데 활성탄을 넣은 것의 양이 작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초산이 활성탄에 흡착되었음으므로 그렇다고 생각이 든다. 선배들은 숯도 했다고 했는데 숯이랑 활성탄 중 어느 것이 더 잘 흡착하는지 실험해볼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3. Procedure
초산 12g을 measured flask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500㎖으로 하고, 0.4N 초산용액을 만든다.
0.4N 초산용액을 2배로 묽게 하여 0.2N, 0.1N, 0.05N, 0.025N의 용액을 만들어 각각 100㎖씩 준비한다.
5종류의 초산용액을 각각 50㎖씩 삼각 flask에 pipette으로 취한다.
5개의 삼각 flask에 각각 약 0.5∼1g의 활성탄을 칭량하여 가하고 잘 섞는다.
삼각 flask를 항온조에 넣고 가끔 흔든다.
30분 이상 방치한다.
이 사이에 활성탄을 넣지 않은 초산의 각 용액을 10㎖씩 pippette으로 취하고 phenolphthalein용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참고문헌 : 화학공학대사전 - JIMMOONSA
http://electrochem.kyungnam.ac.kr/lecture/mass/보충/흡착/흡착원리.htm
http://nspc.chungnam.ac.kr/lab/phy/11.htm
http://www.cuinfo.co.kr/html/active.html
http://search.encyber.com
1. Calcula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1) 초산 12 g 을 measured flask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여 500 ㎖으로 하고, 0.4N 초산용액을 만든다.
2) 0.4N 초산용액을 2배로 묽게 하여 0.2N, 0.1N, 0.05N, 0.025N의 용액을 만들어 각각 100 ㎖씩 준비한다.
* 0.2N 초산용액 - 0.4N 초산용액(50 ㎖) + 증류수(50 ㎖)
0.1N 초산용액 - 0.4N 초산용액(25 ㎖) + 증류수(75 ㎖)
0.05N 초산용액 - 0.1N 초산용액(50 ㎖) + 증류수(50 ㎖)
0.025N 초산용액 - 0.1N 초산용액(25 ㎖) + 증류수(75 ㎖)
3) 5종류의 초산용액을 각각 50㎖씩 삼각 flask(2개씩해서 모두 10개)에 pipette으로 취한다.
4) 그 중 각 농도의 삼각 flask(총 5개)에 각각 약 0.5∼1g의 활성탄을 칭량하여 가하고 잘 섞는다.
5) 삼각 flask 10개를 항온조에 넣고 가끔 흔든다.
6) 30분 이상 방치한다.
7) 아무 것도 넣지 않은 초산의 각각의 농도 용액을 10 ㎖씩 피펫으로 취하고 페놀프탈레인용액을 2방울씩 떨어뜨린 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붉은색으로 변한다.
* N/10 수산화나트륨용액 제조
수산화 나트륨 2 g을 넣고 500㎖용액으로 만든다.
8) 활성탄을 넣은 초산의 각각의 농도 용액 또한 10 ㎖씩 피펫으로 취하고 페놀프탈레인용액을 2방울씩 떨어뜨린 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적정한다.
농도별 N/10 수산화나트륨용액 적정량
NaOH량
농도(N)
활성탄을 넣은 것
활성탄을 넣지 않은 것
0.4
36 ㎖
42.4 ㎖
0.2
18 ㎖
29.1 ㎖
0.1
13 ㎖
16.7 ㎖
0.05
5.1 ㎖
7.0 ㎖
0.025
3.1 ㎖
3.6 ㎖
2. Result
흡착전후에서 용액 10㎖을 적정하는데 사용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를 N(규정농도), 수산화나트륨 사용량을 각각 V1, V2라 하면..
초산흡착량( ) = 60
{ N} over {1000 }
(V1-V2)
{ 50} over { 10}
(N : NaOH 농도(0.1), V1 : 활성탄 넣지 않고 적정한 양, V2 : 활성탄 넣고 적정한 양)
① 0.4N 초산
= 60
{ 0.1} over {1000 }
(42.4 - 36)
{ 50} over { 10}
= 0.192
② 0.2N 초산
= 60
{ 0.1} over {1000 }
(29.1 - 18)
{ 50} over { 10}
= 0.333
③ 0.1N 초산
= 60
{ 0.1} over {1000 }
(16.7 - 13)
{ 50} over { 10}
= 0.111
④ 0.05N 초산
= 60
{ 0.1} over {1000 }
(7.0 - 5.1)
{ 50} over { 10}
= 0.057
⑤ 0.025N 초산
= 60
{0.1} over {1000 }
(3.6 - 3.1)
{ 50} over { 10}
= 0.015
* lnC, lnq구하기
- Freundlich흡착식
q ~= ~ chi over m ~=~ KAPPA C sup n
: 흡착된 초산의 양, m : 흡착매(활성탄)의 양(1g), C : 초산용액의 농도
구분
농도(N)
초산흡착량( )
lnq(q= /m)
lnC
0.4
0.192
-1.650
-0.916
0.2
0.333
-1.100
-1.609
0.1
0.111
-2.200
-2.303
0.05
0.057
-2.865
-2.996
0.025
0.015
-4.200
-3.689
그림
3. Opinion
활성탄1g을 흡착매, 초산용액을 흡착질로 하여 초산 흡착량을 구하는 실험이었다. 그리고 나서 Freundlich 흡착식을 이용하여 lnC, lnq를 구하여 흡착등온선을 그리는 실험인데 우리 조는 실험을 잘못해서 재 실험을 하는 불상사가 생겼다.
사전조사를 어느 정도 하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이 생긴 이유는 용액을 제조시 귀찮다고 대충해서 그랬던 거 같다. 차분히 신중히 생각하면서 했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했다. 또 활성탄을 넣을 때 제조된 상태에서 넣었어야했는데 우리 조는 적정할 만큼을 떠놓고 활성탄을 넣는 바람에 초산이 활성탄에 모두 흡착되어 아무리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넣어도 적정되지 않았다.
또 처음 적정을 할 때 어느 정도에서 적정이 되는지 정확하게 몰라서 수산화나트륨용액을 너무 빨리 넣어 정확한 양을 측정하지 못한거 같다.
그리고 공식을 써서 흡착량을 구하지 않아도 초산의 흡착정도를 알 수 있었는데 활성탄을 넣은 것의 양이 작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초산이 활성탄에 흡착되었음으므로 그렇다고 생각이 든다. 선배들은 숯도 했다고 했는데 숯이랑 활성탄 중 어느 것이 더 잘 흡착하는지 실험해볼 기회가 생겼으면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