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의 집(A Doll house) 에 대해서 조사하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①개요

2.본문
① 줄거리
② 요약 정리
③ 이 글의 특징
④ 인형의 집의 여성 여권 해방
⑤입센주의(Ibsenism)와 노라이즘(Noraism)
⑥ Reading and reacting 의 5문제 풀어보기

3. 결론
① 감상 및 느낀점

본문내용

신은 물론이고 노라 조차도 인식하지 못한다는 데 문제가 있다. 이 단계에서는 노라와 헬메르 모두 인습적 사고에 젖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모습은 헬메르와 노라의 호칭에서도 잘 나타난다. 헬메르는 노라를 자신의 귀여운 종달새 혹은 다람쥐라고 부른다. 또한 노라는 헬메르를 자신의 주인이라고 부른다. 남편과 아내 사이는 엄연한 평등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남편과 아내라는 수직적 구조를 보인다.
Helmer (calls out from his room): Is that my little lark twittering out there?
Nora (busy opening some of the parcels): Yes, it is!
Helmer: Is it my little squirrel bustling about?
Nora: Yes!
HelmerL When did my squirrel come home?
Nora: Just not. (Puts the bag of macaroons into her pocket and wipes her mouth.) Come in here, Torvald, and see what I have bought.
그러나,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을 작가는 부각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가출하는 장면을 통해서 여성의 자각과 해방을 조금이나마 표출하고 있다. 자신은 남편과 아버지의 인형으로써 지내 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인형이란 자신의 주체적인 행동은 할 수 없이 그것을 가지고 노는 사람들에 의해 이러 저리 움직이게 되는 대상이 됨을 의미한다. 시집오기 전에는 아버지로부터 모든 행동에 제약을 받고 아버지의 행동이 곧 그녀의 의견이 되는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행동하라고 시키는데로 행동하고 그의 결정에 따라 남편과 결혼을 한다. 결혼 후에도 남편의 의지에 따라 그가 좋아하는 옷을 입고 취미 생활을 하게 된 다. 노라는 그녀의 아버지나 남편처럼 똑같은 한 개체의 인간으로써의 존엄성이 있다는 것을 망각하고 살아가는 태도를 보였던 것이다.
Helmer: How unreasonable and how ungrateful you are, Nora have you not been happy here?
Nora: No, I have never been happy. I thought I was but it has never really been so.
Helmer: Not--not happy!
Nora: No, only merry. And you have always been so kind to me. But our home has been nothing but a playroom, I have been your doll-wife, just as at home I was papa's doll-child; and here the children have been my dolls. I thought it great fun when you played with me, just as they thought it great fun when I played with them. That is what our marriage has been, Torvald.
3. 결론
① 감상 및 느낀점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희곡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처음은 어색하기도 하고, 적응이 되지 않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집중해서 교수님의 강의를 열심히 들었습니다. 입센의 작품을 다 들어가시는 줄 알고 기대하고 있었는데, 대충 중요한 부분 설명에 그쳐 아쉽기만 했다. 나중에 방학 때 공부할 겸 대사를 읽어볼 작정이다.
우리의 모순된 관념을 꼬집어보면 코미디 프로에서 가끔 나오는 장면 등을 보면 1960년대 어느 가을 밤. 장발머리에 마이를 걸친 남자와 머플러를 두른 여자가 공원 벤치에 앉아있고 대화를 나누기 시작한다.
남자 : (뒷머리를 손으로 쓸어 올리며) 여자, 그대는 귀여운 나의 종달~새!!
여자 : (부끄러운 듯) 선생님, 안아줘요~ 꼭 안아줘요~~
왜 여자는 종달새이고, 남자는 선생님인가? 그저 단순히 옛날의 신파로만 생각하며 하나의 우스개 거리로만 열었던 이 그림이, '인형의 집' 에서는 너무나 평범한 일상적인 생활로 그려진다. 지금까지 우리에겐 이런 생활에 적응되어 버린 건 아닐까?
여기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아야 할 부분은 노라의 자아발견 과정이다. 노라가 자아발견 하기 전에 남편에게 구속되어 있는 모습을 보고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노라가 그 지경까지 이뤄진 것은 어찌보면 사회가 그를 구속하고 있는 단면인지 몰랐다. 그러나 희곡을 차근차근 진행되면서 자아를 인식하고 클라이막스인 파티가 끝난 후 헬머와 노라와의 대화 장면에서 그의 진정한 참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그러나 나는 이후를 꼬집고 싶었다. 마지막 장면에서 무조건 노라는 집에서 뛰쳐나가는 면을 볼 수 있었다. 한 체제에게 적응하지 못하고 일탈하는 듯 한 기분을 접하게 되었다. 또한 나간 후에도 그 때 당시의 사회는 남자만의 독단적인 사회이고, 여성에게 어느 정도 교육의 기회조차 없는 사회라고 짐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헬머의 그늘 아래서 자신을 키울 수 없는 상태에서 무조건적으로 남편과 아이들에게 봉사를 했던 그가 어떻게 사회에서 자신의 입지를 세우고, 경제적으로나 구조적으로나 성공을 거둘 수 있었겠는가...?
나는 그러나 우선적으로 입센의 이런 희곡 방향이 좋았다고 본다. 그 당시 작품이 공개된 이후로 여성의 여권신장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었고, 실제적으로 여권운동이 한참 일어났다고 한다. 한 영화가 사회에게 주는 메시지를 깨닫고 그 메시지가 사회를 변화하는 힘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 최초의 시발점이 된 셈이다. 그에 의의를 많이 두고 싶다.
이번 수업을 계기로 문학에 대한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대학의 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들어온 학생 중에 가장 높은 대학생으로써 부끄러움을 느꼈다. 이번 방학 때 자격증 취득, 아르바이트도 좋지만, 영어과의 학생 으로써 영어지식이 될 만한 영문 학사를 잠시 나마 공부 해봐야 겠다. 라고 생각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2.0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