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문학교육 반성과 가능성 및 새로운 모색(문학교육의 새로운모색, 문학교육의 영역확장, 문학작품 창작교육의 가능성, 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성,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문학교육의 반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교육]문학교육 반성과 가능성 및 새로운 모색(문학교육의 새로운모색, 문학교육의 영역확장, 문학작품 창작교육의 가능성, 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성,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문학교육의 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학교육의 새로운 모색

Ⅲ. 문학교육의 영역확장

Ⅳ. 문학 작품 창작 교육의 가능성

Ⅴ. 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성

Ⅵ.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1. 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의 가능성
2. 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의 내용

Ⅶ. 문학교육의 반성

Ⅷ. 결론

본문내용

없이 서열화하는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객관성 있는 평가 척도의 마련이 필수적이고, 그런 대세에 거스를 수 없어 문학 제재의 평가도 그 형태가 그런 쪽으로 고착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한 평가 유형의 고착은 또 다시 문학 교육의 방법을 규제하고, 규제된 방법에 의한 교육은 동일한 유형의 평가를 불가피하게 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절대적인 위력을 발휘한 것은 형식주의 비평의 방법론이다. 작품을 기계적으로 해체하고, 작품의 언어 분석에 치중하며, 미세한 부분의 의미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구조적인 면을 중시하며, 작품 산출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도외시하는 이 방법론은 결과적으로 문학 교육의 객관적 평가를 매우 용이하게는 해 주었지만, 문학의 생명력을 훼손하고, 문학을 골치 아픈 것으로 인식시키는 중대한 과오를 범한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결국은 이런 잘못된 문학 교육이 잠재적이고 현실적인 많은 문학 독자(학생)를 문학으로부터 추방하는 역설을 형성하고 만 것이다.
그렇다면 이 악순환의 고리는 어떻게 끊을 수 있는가. 문학 교육 방법이 달라져야 하는가, 아니면 평가의 방법이 바뀌어야 하는가.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해, 교육과 평가가 표리 관계를 이루는 것이라면, 이 두 가지는 동시에 변혁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Ⅷ. 결론
문학은 실제 세계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의 세계를 다룬다. 가능성의 세계는 상징에 의해 형성되는 세계이며, 이 세계 안에서 인간은 대상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된다. 상징을 이용한 가능세계의 모색은 인간의 언어 운용 방식과 연관되는 사항이기도 하고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는 데에 기본 요건이 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문학의 상상력을 문학의 언어 기능에서 유추하여 인식적 상상력, 조응적 상력, 초월적 상상력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바 있다. 상상력은 대부분 상징을 통해 구현된다. 상상력 자체가 현실원칙 혹은 경제원칙에 의해 움직이는 인간의 행동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대상의 실제 차원보다는 대상과 맺는 관계를 달리함으로 해서 수직적 전망에 도달하고자 하는 세계를 꿈꾸는 방식이다.
상징은 일차적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기본 구도가 된다. 문학을 세계의 실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의 세계 혹은 수직적 전망을 만들어 내는 예술 형식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상징은 문학을 인식하는 중요한 도구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징은 상상력의 도움을 받아 활성화되고 대상을 인식하는 機制로 작용하게 된다.
비트겐쉬타인에 따르면, 언어의 한계가 곧 인간 자신의 한계이다. 그러나 인간이 대상을 인식하고 자신을 이해하며 바람직한 삶을 이끌어 가고자 하는 수직적 전망을 가장 손쉽게 수립할 수 있는 방법은 언어 말고 달리 설정할 수 없다. 언어는 본능과 반사행동의 범위, 물리적 법칙의 족쇄에 묶인 인간을 풀어 준다. 그러한 점에서 상징으로서의 언어는 인간 해방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언어는 다시 인간을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상에 대한 인상이나 이미지는 있는데 그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가 발견되지 않게 되면 인간은, 제임슨의 표현대로 언어의 감옥에 같히게 된다. 또한 언의 규범 내에서만 사고가 이루어진다는 점 역시 언어의 한계이다. 언어의 감옥에서 인간을 풀어 줄 수 있는 상상력이 발현된 양식이 상징이다. 언어, 종교, 예술, 과학 등으로 표상되는 상징은 인간 해방의 도구임에 틀림이 없다.이는 상징이 문화의 한 양상으로 존재한다는 점, 상징행위가 文化行爲 전반과 맞먹는다는 점 등에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문학교육에서 상징을 논의할 수 있다면 문화능력으로서 상징능력을 상정할 때일 것이다.
시를 읽는 일이나 소설을 읽는 일이나 상징을 읽어 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는 상통한다. 그러나 장르의 차이가 상징을 읽어 내는 방식이 다를 것이라는 점은 이 글의 전제이기도 하다. 문제는 상징이라는 것이 어떻게 현현하는가 하는 점과 거기 접근하는 주체들이 상징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상징적 교섭 작용 가운데 이끌어 들임으로써 삶의 보편성을 획득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상징을 읽어내는 일은 자아성장과 연관된다. 자아성장은 상징 읽기의 문학교육적 의미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상징형식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삶의 자리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게 된다. 개인의 성장은 상징형식에 익숙해지는 과정과 그 결과로 자신의 세계를 상징세계 내에서 만들어 나가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삶의 모델을 창조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면, 상징은 개인의 삶을 규율하는 매우 높은 차원의 정신세계 창조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문학을 통해 잘 수행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학교육일 터이고, 문학교육은 상징적 인간으로서 본질을 구현하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시교육과 소설교육이 만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예술이 우리의 부패하지 않은 성실한 자의식이라고 설명될 때, 예술은 우리에게 근본적인 규범을 드러내 보여준다. 그 규범은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는 것인가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를 말해 준다.
세상의 많은 사물이 그러하듯이 진리라는 것도 양면성을 지닌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침묵하는 것이 비트겐슈타인의 양심이라면, 예술은 절대의 탐구 혹은 불가능의 탐구라는 폴 발레리의 시각 또한 정당화되어야 한다. 현대의 인문적 위기가 논의되는 시점에서 상실된 예술적 삶을 되살리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체르니셰프스키의 명제가 아직도 유효하다면, 이는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 하는 콜링우드의 명제를 바탕에 깔고서라야만 유효성이 인정된다.
예술의 아우라가 상실되었다는 것은 오래된 이야기이다. 문학이라는 상징의 숲은 황폐해질대로 황폐해져 숲 사이로 흐르던 강물은 말랐고 황금의 새는 노래를 잃고 질색해버렸다. 그 상징의 숲이 인간이 조성한 숲이었다면 인간의 이름으로 숲을 다시 일구고 또 새를 날려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시와 소설의 우람한 수목 사이에서 상징의 새가 날개짓을 하고 홰를 치며 날아오르도록 해야 하지 않겠는가.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