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지식교육의 성격과 내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지식교육의 성격과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글머리에

Ⅱ.국어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Ⅲ. 국어 지식 영역의 본질

Ⅳ. 국어 지식 교육을 둘러싼 쟁점

Ⅴ.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

Ⅵ. 맺음말

본문내용

설정한다 하더라도, 언어 지식의 지도의 독자성은 확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4. 포괄적 입장
위의 견해들을 통하여 우리는 국어지식의 교육 문제를 대하는 입장이 서로 상반될 수도 있음을 보았다. 포괄적 입장은 언어사용 기능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국어 지식을 국어사용 기능과 관련시켜 지도하고, 그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교육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내용들은 가르친다는 입장이다. 달리 말하면 기능 신장에 도움을 주는 요소와 문화요소를 포괄하자는 입장인데, 이성영은 이를 ‘상호보완론’이라고 명명하면서 그 근거로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게 할 수 있다.
둘째, 규범에 맞는 국어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넷째, 언어와 국어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다섯째, 탐구 능력이나 합리적인 판단력 등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다.
김광해는 국어 지식의 필요성을 포괄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항목으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는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을 위하여, 둘째는 우리말과 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셋째는 국어 문화의 전수를 위하여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 아래 국어 지식 영역의 교육은 전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포괄적 입장은 부정적 입장, 통합적 입장, 독자적 입장 어느 한 쪽의 입장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국어 지식을 공부해야 하는 근거들을 골고루 확보하고 있다. 즉, 국어 지식의 학습은 기본적으로 국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위해서는 물론, 국어 문화 전수를 위해서, 그리고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학습 요소라는 점을 골고루 부각함으로써 이 영역의 위상을 더욱 확고하게 하려는 견해이다.
Ⅴ.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
김광해는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문제 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는 자료들을 한편으로는 ‘개인의 국어사용 국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공동 자산으로서의 국어라는 국면’에서 살펴보고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의 새로운 전재(3), 함께 여는 국어 교육, 전국국어교사모임, 1997년 여름호, 66쪽 ~ 78쪽.
국어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몇 가지의 조건을 제시한 바 있다. 그것은 첫째, 이 방향은 ‘국어 교육’이라는 커다란 틀 속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문학 영역이나, 기능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독자적 가치와 정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조건 하에 그는 국어 지식 교육의 지향점을 지식을 다루는 ‘우리말 알기’와 ‘우리말 가꾸기’라는 커다란 두 개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1. 우리말 알기
이 방향은 지금까지 국어 또는 문법 시간에 꾸준히 다루어지던 내용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다만 국어의 이해를 위하여 적절한 수준의 지식 요소들을 제공하되, 그것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경험을 제공해 주는 쪽으로 새로운 학습 방법을 도입하자는 것이 다른 점이다. 그 방법의 하나로는 ‘탐구학습’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의 도입 목표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학습하는 일, 그 과정에서 통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일, 그리고 국어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일이다.
2. 우리말 가꾸기
이것은 국어 생활의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기르자는 것이다. 규범을 지키는 일에서부터 논리적인 문장을 형성해 내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가 중요하지만, 이는 몇 항목의 지식만 가지고 해결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확한 언어 생활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일, 문화 유산으로서의 국어를 유지, 보존하는 일에 관한 태도를 형성하는 일은 또 하나의 중요한 축이 된다. 이 내용들은 또한 국어 교육의 다른 영역, 즉 문학 영역은 물론 기능 영역 등에서 다루기가 어렵기 때문에 국어지식 영역의 독자성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Ⅵ. 맺음말
앞에서 우리는 국어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를 교육과정을 통해 확인하고, 언어 이론의 국어 지식 영역에의 수용 문제, 국어 지식 영역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을 살펴본 후,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을 김광해 교수의 주장을 통해 보았다. 그에 의하면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은 국어에 대한 이해와 국어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고, 국어 현상에서 규칙과 원리를 발견하는 탐구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하며, 나아가 국어를 유지,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은 결국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문화 유산으로서의 국어를 유지 보존하는 태도를 기르게 하여 궁극적으로 국어 생활에 관련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이 충분히 이해되어, 지금까지의 국어 교과 교수 학습 활동에서 점차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에 있었던 국어 지식 영역이 앞으로는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겠다. 아울러 수학능력시험이나 내신고사에서도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여 학생들이 국어 지식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말글에 대한 애정을 키워나가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될 것이다.*
<참고 문헌>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제 1997-15호.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의 새로운 전개(1), 함께 여는 국어교육, 전국국어교사모임, 1996년 겨울.
김광해, 국어 지식 교육의 새로운 전개(3), 함께 여는 국어 교육, 전국국어교사모임, 1997년 여름.
박영목 외,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연구, 교학사, 1999.
정진하,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전남대 석사 논문, 1999.
하정애,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 지식 영역 연구, 진주교대 석사 논문, 1999.
[국어교육연구 과제]
국어지식 영역 교육의 중요성
차 례
Ⅰ. 글머리에
Ⅱ.국어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Ⅲ. 국어 지식 영역의 본질
Ⅳ. 국어 지식 교육을 둘러싼 쟁점
Ⅴ. 국어 지식 교육의 방향
Ⅵ. 맺음말
과 목 : 국어교육연구
담 당 :
제출자 :
학 번 :
제출일 :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