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지리사상과 풍수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리사상(지리관)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의 전통 지리사상
1). 천하도에서 나타난 우주관
2). 조선시대의 자연 인식 체계
3). 자연 인식의 체계화 : 산경표

3. 풍수지리사상
1). 풍수사상의 형성과 전개
2). 풍수 사상의 원리

본문내용

머물기 때문에 그로 인해 풍수라는 말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풍수의 법술은 물을 얻고 바람을 막는 방법을 얻는 데에 중점을 두게 된다(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 보다 엄밀하게 바람을 막는 방풍이 아니고, 불어서 흩어지고 사라져 가는 바람을 끌어들여 간수하자는 장풍인 것인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명당의 주위에 산이 필연적으로 요청되게 된다. 즉 혈장 주위를 산이 둘러싸고 그 중앙에 요지에 음양이기가 결합과 생기의 활동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③ 득수법
용은 물을 만나면 가던 길을 멈춘다. 물이 흐르는 곳에 용궁이 있기 때문이다. 용이 멈추는 곳에 혈이 있다. 흐르던 기가 그곳에 모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음양설로 풀어 보면 이런 설명이 가능하다. 원에 꽉 차 있는 기를 태극이라 한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갈라지는데, 산은 음이고, 물은 양이다. 산은 움직임이 없으니 음이고 물은 끊임없이 유동하니까 양이라는 것이다. 물론 세분하면 산에도 음양이 있고 물에도 음양이 있다. 이 음과 양이 만나서 융합하면 새로운 기가 생긴다. 이 새로운 기가 사람에게 천복을 내려 준다는 것이다. 앞서 곽박이 말한 생기가 바로 이 새로운 것이다.
④ 정혈법
장풍과 득수가 적격임이 인정되면 명당은 결정된 셈이다. 이 명당 중에서도 혈처를 찾는 방법이 정혈법이다. 혈은 풍수에서 요체가 되는 장소이다. 혈은 음택의 경우 시신이 직접 땅에 접하여 그 생기를 얻을 수 있는 곳이며, 양택양기의 경우 거주자가 실제 삶의 대부분을 얹혀살게 되는 곳이다.
주자는 그의 [산릉의 장]에서 <소위 정혈의 법이란 침구술에 비유할 수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일정한 혈의 위치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터럭 끝만큼의 차이도 있어서도 안된다.>고 하여 풍수의 혈이 인체의 경혈에 비유할 수 있는 것임을 말하였다.
⑤ 좌향론
좌향론은 방위에 관계된 술법으로 가장 어려운 풍수 기술이다. 좌향은 국면 전반이 일정한 형국으로 좌정되었을 때, 전개후폐, 즉 혈의 앞쪽으로 트이고 혈의 뒤쪽으로 기댈 수 있는 방위를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⑥ 형국론
좋은 땅은 좋은 산이 있으므로 해서 생기는 법이다. 이 산이 왜 좋으냐를 알아내는 기술적인 방법은 경험과학적 논리체계의 범주에 속한다. 이것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실제 산을 보기 위하여 산에 들어가 보면 책에서 배운 이론대로 산이 떠올라 주지를 않는다. 상당히 애매모호한 경우가 많다. 이때 그 산의 생긴 모양을 사람, 짐승, 조류, 파충류, 기타 여러 가지 물체에 빗대어 봄으로써 보다 분명히 그 소용됨을 달아보자는 술법이 형국론이다. 분명치 못한 산천 형세를 사람, 물체, 들짐승, 날짐승, 뱀무리 등의 형상에 유추하여 판단하면 비교적 쉽게 지세 개관과 길흉을 떠올릴 수 있는 것이다.
□■ 참고 문헌 ■□
이한종, 『풍수지리학』, 오성출판사, 1996.
이운정, 『풍수지리와 복 받는 터』, 진한도서, 1995.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민음사, 1991.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2.13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