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거부하는 청소년 정신건강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를 거부하는 청소년 정신건강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 론
1. 근대적 제도교육과 관련된 문제
1) 학교의 성격과 기능의 변화
2) 한국의 학교교육의 문제점
3) 교육병리와 청소년 문제와의 관계

2. 가족주의적 통제

3. 후기 산업사회적 문제
3.1 역학과 관련인자들
3.2 학교거부와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의 양상

4. 알려진 이유들
4.1 무단결석의 경우
4.2 학교중퇴의 원인
4.3 학교 중퇴 사례

5. 정신의학적 질병과 무단 결석
1) 우울증
2) 품행장애 및 비행
3) 청소년기 반항 내지 정체성(주체성) 장애
4) 경계선적 성격장애
5) 정신분열증

결 론
문제점에 대한 대책 (부모, 학교, 사회)

본문내용

워진 수업내용에 적응하지 못하여 중퇴를 한 경우이다.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초등학교 때부터 친구들에게 조금씩 괴롭힘을 받았는데 전체적으로 학교 교육에 대한 부적응과 교유관계 등에서의 부적응 등이 중퇴의 원인이 된 것이라 분석된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우리나라의 입시 위주 및 획일화 교육이 중퇴로 이어진 대표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
3. 정신의학적 질병과 무단 결석
1) 우울증 : 우울증의 경우 모든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잃고 기운도 없거니와 집중력도 저하되어 학교 가기가 힘들고 가지 못하게 된다.
2) 품행장애 및 비행 : 비행청소년들은 학교에 대한 흥미도 잃고 취미도 없으므로 학교에 가는 대신 몰래 비행을 일삼거나 다른 활동을 즐기기 위하여 학교 가기를 거절한다.
3) 청소년기 반항 내지 정체성(주체성) 장애 : 청소년기 반항. 부모의 압력에 대한 반항으로서 일시적으로 학교 가기를 거부할 수도 있음. 좀 더 심각한 것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장애에 의할 수도 있음. 자신의 정체성 발견과 자기 주장을 위하여 정통적인 학교 수업에 도전하고 저항하며 이러한 도전과 저항 및 사회제도와의 싸움의 일환으로 학교 가기를 거부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
4) 경계선적 성격장애 : 학교생활과 같은 집단생활을 하기 힘들어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특히 권위자와의 관계에서 매우 심한 갈등을 느끼므로 학교 가기를 거부하며 집에 머물러 혼자 공부하겠다거나 검정고시를 보겠다는 등의 태도로서 학교 가기를 거부한다.
5) 정신분열증 : 정신분열증의 초기증상으로 학교 거절증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대인관계를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또는 특정한 망상이나 공포에 의하여 등교를 거부할 수 가있다.
그러므로 중 고등학생 시기에 등교거부는 초등학교 시기보다 좀더 심각한 정신과적 문제를 가진 경우가 많으므로 즉각적인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한다.
*대책
무단결석이나 학교거부는 학교기관, 사회사업가, 법률기관 등에 의해 사회적, 법적, 교육적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해당 부모들과의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일부 청소년의 무단결석이나 등교거부는 의료인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동반된 비행문제, 교육적 문제, 가족 문제를 다루어 주어야 한다.
가정, 학교, 그리고 전문기관사이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다.
1. 부모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가정이 변해야 한다. 자녀와의 세대간의 단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겉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대부분의 가정은 갈등에 길들여져 있고 그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자녀가 아버지들의 강압적인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감과 어머니들의 "사랑법"에 질려있는 것은 아닌지를 생각해보자. 아버지들은 부모로서의 이해력과 감성을 길러나가야 되며, 어머니들은 더 길게 자식을 사랑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다음은 자녀가 학교를 거부하거나 무단결석을 하는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이다.
1) 결코 찬성하지 않음을 표현한다.
- 학교가 중요하다는 신념을 아이에게 전달한다.
- 아이가 학교에 나가야한다는 확실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 학교와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 아이가 학교에 가는 것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 학교, 선생님, 아이를 비난하는 것은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2)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왜 아이가 학교에 가지 않으려 하는지 이유를 들으면서 그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라.
- 능동적으로 아이의 말을 듣고, 무단 결석을 초래하는 내재된 갈등을 발견하라.
- 아이가 집단 괴롭힘을 두려워하거나 시험에 떨어질 것을 두려워하는지 발견하라.
- 아이의 어려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처방과 방향제시를 해주어라.
- 때때로 학업에 대해 준비가 안된 아이들은 직업 교육을 이용하라.
3) 보상을 해준다.
- 학교에 가면 상을 주거나 가지 않으면 벌칙을 주는 것으로 아이에게 학교에 출석할 동기를 제공하라.
- 어떤 방식으로든 아이와 함께 계약서를 작성하면 도움을 준다. 만약 학교에 규칙적으로 나가면 돈, 특별한 권리, 다른 상을 주고 나가지 않으면 돈, 권리 등을 박탈한다.
- 이런 공식적 계약은 부모와 아이 사이의 약속에 의해야한다.
2. 학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1) 환경으로서의 학교 : 학생 중심의 학교로 거듭나야 하며, 지적발달, 사회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시켜줄 수 있어야 한다.
2) 생활로서의 학교 : 개인의 생활공간이 확장된 곳이라는 개념아래 입시위주에서 교육과정 중심으로 전환하고, 특별활동을 강화하며, 평가체제를 다원화하여 학생들이 많은 성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바람직한 교사상 : 사회 대표자, 판단자, 지식의 자원, 학습조력자, 불안 제거자, 자아옹호자, 동일화 대상, 부모의 대리자, 친구 등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한다.
4) 바람직한 교우관계
5) 교육상담의 강화
3. 사회는 어떻게 할 것인가?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일관성 없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쾌락주의, 난무하는 폭력, 물질 만능과 금전제일주의, 집단간의 갈등과 대화단절 등이 문제로 제시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해야 한다. 어른들은 청소년의 존재를 소유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인정해야 한다. 청소년에게 시간과 공간을 주고 자신을 발산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참고 문헌
1. How to help children with common problems. CE. Scharefer and HL. Millman 335-337p
2.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nd edition. M. Lewis 1108-1109p
3.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 5. J. Noshpitz 120-121p
4. 새로 쓰는 청소년 이야기 2.
5. 청소년 문제론.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6.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조혜정.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7. 기타 신문자료 검색 결과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4.1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