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정권][무신란][무신난][무신의 난][무신정변][묘청의 난][이자겸의 난]무신정권과 무신란(무신의 난)(무신란(무신의 난)의 배경과 원인, 무신란(무신의 난)의 발생, 무신정권의 변천, 무신정변, 묘청, 무신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신정권][무신란][무신난][무신의 난][무신정변][묘청의 난][이자겸의 난]무신정권과 무신란(무신의 난)(무신란(무신의 난)의 배경과 원인, 무신란(무신의 난)의 발생, 무신정권의 변천, 무신정변, 묘청, 무신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

2. 무신난의 배경과 원인
1) 귀족사회의 동요
2) 이자겸의 난
3) 묘청의 난
4) 의종의 즉위와 정치상황 - 내적인 요인
5) 무신에 대한 차별대우 - 외적인 요인

3. 무신란의 발생

4. 무신정권의 변천
1) 무신정변의 주도세력
2) 이의방 정권
3) 정중부 정권
4) 경대승 정권
5) 이의민 정권
6) 최씨정권
7) 명종대의 상황

본문내용

이미 국왕이 화평재에 도착했을 때 이고이의방은 정중부에게 제의
임종직이복기한뢰 살해. 개성으로 직행 문신 50여명 살해. 김돈중이 피신했기 때문
24년(1170) 9월 의종의 동생 익양후 흔(호로 개명)을 옹립→ 명종
③ 명종3년(1173)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 영광김씨 처음에는 무신정권 참여. 동북면의 병권을 잡은 것을 계기로 정중부이의방 제거와 의종복위를 도모
⇒ 문신의 대량 학살. 의종 거제도에서 경주로 이배되었다가 이의민에 의해 피살
④ 명종 4년(1174) 서경유수 조위총 거병→ 실패
4. 무신정권의 변천
1) 무신정변의 주도세력
① 정중부 : 정변의 기획주모자는 아님. 정변당시에는 온건파
② 이의방 : 전주인. 산원으로 견룡행수. 이성계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는 이린의 형.정변과정에서 형인 이준의도 활동. 견룡행수직은 왕의 친위부대장(권귀들이 선망하는 자리)→ 왕의 총애를 얻어야 가능. 상당히 좋은 가문이었을 것
③ 이고: 의종을 죽이려→ 가장 과격
④ 양숙, 진준, 기탁성, 이소응, 홍중방 등 고위직 무신들은 소극적
적극파(행동파)
⑤ 조원정 : 옥공의 자. 모와 조모는 모두 관기→ 한품서용의 대상. 무신란의 공으로 낭장에 임명
⑥ 이영진 : 초명은 총부. 가난하여 고기를 팔아 생계유지. 나졸로서 정변에 참여. 이의방 이고의 당여. 후일 갑자기 형부상서로. 무신정변을 계기로 출세
⑦ 석린 : 금군으로 참여. 정변의 공으로 낭장, 뒤에 상장군까지 승진. 동서북병마사 역임
⑧ 이의민 : 천계출신
⇒ 하급무신들과 군졸들이 적극적
⑨ 우학유송유인오광척문장필 등 → 무신정변에 냉담. 대체로 음서로 진출. 좋은 가문출신
2) 이의방 정권
1170 이의방이고채원의 연합정권적 성격
명종원년(1171) 이의방채원의 연합세력에 의해 이고 제거. 3개월후 채원 피살
정중부 두문불출→ 이의방, 정중부와 부자지의⇒ 이의방도 고위무신들을 무시할 수 없어서
중방의 권한 확대⇒ 고위무신들에 대한 배려
1174 조위총의 난을 계기로 정중부의 자 정균→ 종군승과 결탁 이의방제거
3) 정중부 정권
정변당시 온건파가 주도→ 정중부, 양숙, 기탁성, 경진(경대승의 부), 송유인 등
하위무신과 고위무신들의 갈등 심각
일반군인 반발 → 정중부 정권 타도 주장, 정균 관직을 그만둘 것을 청하고 며칠동안 두문불출하기도
경대승에 의해 타도(1179.9)→ 견룡군과 사사 30명
4) 경대승 정권
경대승의 가문은 정변이전 무반가문으로서 확고한 위치
의종 22년 15才로 교위에 임명. 음서출신. 가문의 배경으로 출세
정변으로 초래된 변화에 불만
의종을 살해한 이의민을 적대시, 응징을 공언하면서도 공격하지 못함 → 이의민 경주로 낙향(명종 11년,1181)
都房 조직→ 경대승의 사병조직.
무인정변 참여 무신군인들의 지지를 받지못함. 명종의 지지도 받지 못함
30세로 병사(1183.7 : 명종13)
5) 이의민 정권
이의민이나 명종이나 무인정변이 계기가 되어 현재의 지위 획득
경대승이 병사하자 명종이 낙향한 이의민을 공부상서에 임명하여 불러 올림
父는 소금장수, 母는 玉靈寺의 婢. 젊어서는 형2인과 경주에서 무뢰배 생활
신체적 조건으로 출세, 手搏으로 의종의 총애를 입어 隊正에서 別將까지 승진
정변직후 중랑장으로 얼마후 장군으로 승진
명종3년 의종 살해의 공으로 대장군으로 승진. 명종 4년 조위총의 난 진압 공으로 상장군
이의민 집권기에는 경대승의 측근세력과 적대세력이 공존→ 이의민은 이들 모두를 자기의 세력으로 흡수하려
주도세력은 정변시 행동파→ 조원정정방우
개인의 용력이 중시되는 분위기→ 이의민두경승 주먹자랑 일화
명종26년(1196) 최충헌최충수 형제의 공격으로 몰락
명종 18년 조원정석린 반란죄로 처형
명종 21년 백임지박순필이영진 사망
명종 23년 최세보 사망
⇒ 무인정변 1세대의 종말
6) 최씨정권
최충헌→ 상장군 최원호의 子 刀筆吏로 출발(음서출신). 정변후 무반으로 변경. 행정실무능력이 있음
고종 6년(1219) : 崔怡 계승
고종 36년(1249) ; 崔沆(萬全) 계승
7) 명종대의 상황
조위총의 난(명종4) 망이망소이의 봉기(1176.1-1177.7) 가야산 손청의 봉기(1176, 명종6) 미륵산적과 이광의 봉기(1177) 관성현부성현민 봉기(1182: 명종12) 전주 기 두 죽동의 난(1182) 김사미효심의 난(1193.7-1194.2)
농민봉기의 배경→ 집권무인의 변동에 따라 지방행정의 일관성 상실
토지겸병이 극심(최충헌 ‘봉사십조’) 전시과체제 와해. 농장설치 군현제 재정비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