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학 비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학 이론
가. 프로이드
1) 무의식의 발견
2) 성격의 발달
3) 오이디푸스콤플렉스
4) 히스테리
나. 라캉
1)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2) 언어와 무의식
2. 정신분석학과 문학의 접점
3. 비평의 실재
가. 「거울」
나. 「당신의 바다는」
4. 심리주의 비평의 검토

Ⅲ. 결론

본문내용

소망은 좌절된다. 애처럼 앙탈을 부리는 행위를 시도하게 되는 데 불안과 욕구불만을 느끼는 데에 대한 퇴행심리로 보인다. 이것을 다시 말하자면 그녀를 통과하여 얻게 되는 정화라는 것은 상상적 팔루스라고 할 수 있겠으나, 이것을 거절당함으로써 상징적으로 거세를 당한다. 한밤중에 터질 듯 오줌이 마려워도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끝내 출구를 찾지 못하는 내면의 혼돈에 빠진 '나'의 모습은 이 상징적 거세를 '완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를 상상적으로 메우려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심리주의 비평의 검토
오늘의 심리주의 비평은 여러 종류의 심리학들을 응용하고 그 도움을 받아 발전해 왔다. 한편 이와 반대로 심리학 이론, 특히 정신분석학적 분야의 이론은 항상 문학 속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또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서 다른 과학들이 보인 것보다 더 많은 관심과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문학작품에 대한 심리학의 작용은 궁극적으로 문학비평이 아니라 심리학적 진단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다. 또 문학작품의 심리학적 분석이 지나친 단순화 · 환원 · 상투적 정형의 형성이 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예비평과 정신분석학은 근본적으로 동일한 목적을 지향하지는 않는다. 본래 정신분석학은 신경병 또는 정신병의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문예비평은 문학의 이해와 향수와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크루즈는 정신분석학을 문예비평에 응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첫째, 작가에 대한 정신병리학적 경향이다. 작가를 간혹 신경증환자로 볼 위험이 있으나, 프로이드 자신도 만년에는 작가의 창조력을 높이 평가했다. 작가의 심리는 이상심리가 아니라 비이상심리이다. 신경증은 파괴적 심리이지만 작가 심리는 창조적이다. 우리가 앞에서 예로 든 이상을 만약 신경증환자로만 본다면 과연 이상이 그런 작품을 쓸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본다. 분명 그는 히스테리적이긴 하지만 천재적인 작가이다.
둘째, 문학의 형식과 기교의 면을 무시하고 심리적 내용만을 따지는 경향이다. 최근의 정신분석학적 예술 이론가들이 형식의 심리적 의의를 설명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소위 미적 요소도 심리요소의 작용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형식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이미 사망한 과거의 작가를 정신 분석하고자 하는 경향이다. 충분한 근거(작품, 수기, 일화 등)에 의거하여 한 작가의 정신상태를 재구성하는 일은 최근 자못 위험한 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경향은 구체적 작품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더구나 작품속의 인물, 즉 완전히 가공적인 인물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은 위험한 것으로 인정된다.
넷째, 문학의 무의식적 내용을 문학의 유일한 가치로 간주하는 경향이다. 즉 한 작품이 무의식적 충동에서 발생했다면 바로 그 무의식적 내용이 그 작품의 가치로 간주되는 경향인데 최근에는 상당히 수정되고 있는 것이다. 프로이드가 정신을 분석한 것은 무의식을 찬양하고 해방시키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그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성향을 합리적인 통제 밑에 가져오려는 목적에서였다. 즉 문학도 어떤 무리가 없는 합리적 통제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고, 그런 일을 잘하는 문학은 좋은 문학이라고 본다.
다섯째, 정신분석학적 평이 지나치게 전문적 술어를 많이 쓰는 경향이다. 전에는 특히 심하게 나타났던 경향이었지만 프로이드파의 심리학적 이론들이 상식화함에 따라 자아, 초자아 등 유독 정신 분석학적 비평만 어려운 말을 쓴다는 인상은 적어지고 있다.
정신분석학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는 하나의 학문일 뿐 그것이 바로 문학은 아니다. 따라서 문학의 이면에 심리적 요인이 있다 할지라도 그것이 문학이나 예술의 본질이거나 전부가 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비평이 가치의 확장이고 진실의 발견이라면 정신분석학을 통하여 보다 폭넓은 진실의 발견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 홍문표,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학사, 2003, pp.405~406. 참고.
Ⅲ. 결론
이상에서 우리는 정신분석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신분석학은 무의식의 영역을 개척하여 인간의 내면에 대한 탐구의 장을 열었다. 인간 내면에 대한 탐구의 지속은 욕망의 체계를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행동이 어떠한 정신의 지배를 받아 이루어지며, 인간의 욕망의 체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지를 탐구하여 인간 본연의 의지를 살펴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흐름의 연속은 여러 방면의 학문에 적용되어 학문의 기저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특히, 문학에 있어서 작가와 작품, 독자의 삼각 구조에 내면적 접근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물론 이 이론이 본래 문학의 이론이 아니라 심리학 이론이어서 문학에 접목하면 다른 방면으로 읽힐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문학을 창작하거나 대할 때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밝혀낸 중요한 의의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되겠다.
★ 참고 문헌 ★
1. 고은, 『이상평전』, 향연, 2003.
2. 구효서,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세계사, 2003.
3. 김상환 홍준기,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2003.
4. 김승희, 『한국현대시인연구 이상』, 문학세계사, 1993.
5. 김열규 외 지음,『정신분석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2.
6. 라깡정신분석 연구회, 『코리안 이마고』, 하나의학사, 1997.
7. 마단 사럽, 김해수 옮김, 『알기쉬운 자끄 라깡』, 백의, 1996.
8.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입문』, 신영사, 1971.
9. 허창운 외, 『프로이트의 문학예술이론』, 민음사, 1997.
10. 홍문표,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학사, 2003.
11. 홍준기, 『라깡과 현대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9.
12. 홍준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아난케, 2005.
★ 참고 논문 ★
곽정연, 「정신문석학과 문학비평」,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곽정연, 「문학형식과 정신분석학적 문학비평」, 한국독일어문학회, 2002.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9.28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