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대의 잡극의 특징과 작품감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원잡극의 등장

2.잡극의 정의

3.잡극의 체례
1)형식
2)각색(배역)
3)구성3요소(창,과,백)
4)장르

4.원잡극의 흥성원인

5.원잡극의 발전과 흐름
1)전기의 잡극
2)후기의 잡극

6.대표적인 작가 및 작품감상
1)관한경파
가)관한경
나)작품감상-두아원
2)왕실보파
가)왕실보
나)작품감상-서상기
다)마치원
라)작품감상-한궁추
3)후기의 잡극작가
가)정광조
나)작품감상-천녀이혼

7.잡극의 쇠퇴

8.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이야기를 극화한 것으로 문장이 전아하고 아름다움.
⇒ 대화인 빈백(賓白)까지도 전아하여, 대중을 위한 연극이라기보다는 사대부들이 읽는 희곡으로서의 성격이 짙음.
중려(中呂) 만정방(滿庭芳)
又不是心中愛聽,
더욱이 마음속으로 듣기 좋은 소리도 아니거늘,
大古似林鶯 , 山溜冷冷!
숲 속 꾀꼬리 소리나 산 속 시냇물 소리와 어찌 같으리!
我只見山長水遠天如鏡,
내 보기엔 산 멀고 물 아득하고 하늘은 거울 같은데,
又生誤了途程.
너는 네 갈 길 잊은 게 아니냐?
見被冷落了瀟湘暮景,
너 때문에 소상에 해 지는 경치 더욱 쓸쓸해졌을 뿐 아니라,
更打動我邊塞離情.
내 변경으로 향하는 이별의 정 더욱 사무치게 되는구나.
還說甚過留聲?
그런데 무슨 “기러기 지나며 소리만 남긴다”는 것이냐?
那堪更謠階夜永.
더욱이 옥 섬돌의 기나긴 밤 어이 견디리.
嫌殺月兒明!
밝은 달 더욱 원망스러운지고!
⇒ 백박(白樸)의 <오동우 梧桐雨>와 비슷한 내용 전개를 이루며, 성격도 비슷하다. 이는 원제(元帝)가 꿈에서 왕소군(王昭君)을 만나고 있다가 기러기 소리에 깨어나 기러기를 원망하며 부르는 애모의 노래인데, <오동우 梧桐雨> 4절에서 현종(玄宗)이 오동나무 잎에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를 원망하며 부른 노래와 매우 흡사하다.
3) 후기의 잡극가 정광조(鄭光祖)의 『천녀이혼 女離魂』
⇒ 당(唐)나라 진현우(陳玄祐)의 전기소설 《이혼기(離魂記)》에서 제재를 빌려 쓴 것인데, 정광조(鄭光祖)가 원작의 내용을 풍부하게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담하게 봉건예교를 반대하고 열렬히 자유와 행복을 추구하는 천녀의 형상을 창조하였다.
⇒ 천녀의 자유연애와 사랑에 대한 열렬한 추구가 낭만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산 사람의 몸에서 혼이 이탈하는 등 줄거리가 시기하고 구성이 정교하며 낭만적인 색채가 풍부하다. 특히 곡사가 아름답고 전아하며 인물의 심리를 세부적으로 묘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情)과 경(景)이 어우러진 독특한 경지를 이루고 있어서 원 잡극 중에서도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소도홍] 갑자기 말 울음에 사람 소리 왁자지껄 들리면서,
늘어진 버드나무 아래에서 무언가 어른거리니, 놀란 내 마음은 두근두근.
알고 보니 탕탕탕 판대가 울리며 고기 잡는 소리로다.
내 여기서 서풍 따라 조용히 귀 기울여 보니, 동글동글 맺힌 이슬,
맑디맑은 달빛 아래 놀란 기러기 끼룩끼룩 고운 모래 위 날아오르네!
[小桃紅] 我驀聽得馬嘶人語喧,
掩映在垂楊下, 的我心頭丕丕的驚,
原來是響鳴板浦魚蝦.
我這裏順西風聽沈罷, 着這厭露華,
對着這澄澄月下, 驚得那寒雁起平沙.
⇒ 이는 『천녀이혼 女離魂』중 일부로 천녀의 영혼이 강가의 왕생에게 쫓아가 부르는 노래이다. 한 번도 집을 떠나보지 못했던 아가씨가 혼자서 낯선 환경을 접하게 되자 매우 두려운 감정을 세밀하고 진실하게, 그리고 아름답게 그려내고 있다.
7. 잡극의 쇠퇴
① 몽고세력의 남쪽 확장
⇒ 전기의 잡극 작가들은 거의 모두가 대도를 중심으로 한 북방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원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뒤 몽고의 세력이 남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잡극도 중심지를 남쪽으로 옮겨가 후기의 잡극은 남방을 중심으로 성행하게 된다. 잡극은 북방의 음악을 사용하는 북곡이기 때문에, 그것이 남방으로 옮겨 와 남쪽 사람들 손에 창작되고 상연되었다는 것은 이미 그것이 쇠운을 맞이했음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왕실보파의 잡극이 주류를 이루게 됨
⇒ 후기에는 왕실보파의 잡극이 주류를 이루어 바르고 아름다운 문장 위주의 작품을 쓰는 작가들이 많이 나온다. 그것은 잡극이 점점 연극으로서의 기능을 잃어가면서 민중과 거리가 멀어지고, 또 점차 쇠퇴해 갈 수밖에 없는 길로 접어들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③ 유학자들의 놀이감으로 전락
⇒ 잡극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일반 대중들로부터 괴리되기 시작하면서 잡극은 자신들의 엄격한 이념적 기준들을 잡극에 부여했던 유학자들이나 놀이감이 되어갔다. 원말 명초의 잡극에는 봉건지배에 반대하는 투쟁정신이 부족했기 때문에 명초에 잡극의 공연은 점점 더 황실의 갑갑한 울타리 속으로 빠져들게 되어 내용에서부터 공연 활동까지 그 당시의 잡극은 점점 더 대중들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
※ 참고문헌
- 宋元戱曲史, 學古房 권용호 역 2001
- 중국고전이야기,소나무 송철규지음 2000
- 중국고전희곡10선,고려원 박성훈,문성재 편역 1995
- 중국희곡사, 學古房
- 간추린 중국문학사, 學古房
- 中國戱曲理論史, 중문출판사
- 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오천년 , 예담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1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