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과 개화사상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序論

本論
1.實學思想
2.開化思想

結論

본문내용

듯이 실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개화사상이 형성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 조선 사상사에서 실학사상이 차지하는 위치는 주자학이 봉건적 지배 이데올로기로서의 활력을 점차로 상실하고 개화 사상으로 탈바꿈하기에 이르는 중간기에 유교적 전통 사상을 답습하면서 그 가운데서 점차로 근대적 요소를 낳았던 사상 체계이다. 따라서 실학사상은 근대 조선에 있어서 개화사상의 원류가 된다고 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실학 사상에서 현저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도(地圖) 지전설(地轉說)과 같이 지도에 대한 신지식에 의거하여 화이사상(華夷思想)의 명분론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청국에 대한 <事大>와 <倭夷> 및 <洋夷>에 대한 자주적인 입장을 주장했다.
둘째로는 앞의 이야기와 관련되지만 자주적 개국론이다. 즉 쇄국에 의한 고립주의에 반대하여 개국에 의한 해외 통상과 청국 및 유럽의 과학 기술을 도입하여 利用厚生에 사용하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개화파는 이미 1875년의 일본에 의한 운양호사건과 그것에 잇따른 강화도 조약이 있기 이전부터 자주적 개국을 주장했던 바로서 부강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뛰어난 과학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셋째로는 생산력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이미 그 질곡으로 되어 있는 낡은 제도와 질서의 개혁을 요구하는 경세사상 이다. 실학사상은 그 당시의 역사적 제약 가운데서 봉건 제도의 틀 안에서의 개혁 사상이고, 개화사상은 이미 봉건제도의 틀을 뛰어넘은 부르조아 개혁 사상이였지만 공통된 점은 변동하는 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생산력과 그것을 담당하는 민중의 입장에 서서 그 발전을 저해하는 기성 질서를 개혁한다고 하는 민주적 자세이다.
넷째로는 봉건적 지벌과 문벌에 반대하여 농민과 상인의 자식이라도 有才有學하면 묘당(벼슬자리)에 오르고 공경의 자식이라도 無才無學하면 종이 되어도 한이 없어야 한다는 능력 본위의 인재등용과 놀고 먹는 양반도 농업 상업 기술 등의 생산적 직분에 임해야 한다고 하는 萬民皆勞의 사상이다. 이것은 개화 사상에 이르러 인간평등의 사상으로 발전했다.
다섯째로는 국내 시장의 형성에 있어서 그 커다란 장벽이었던 교통수단의 정비에 관한 주장이다. 박지원의 <車制>, 박제가의 <통상선의(通商船議)>, 김옥균의 <治道略論>, 박영효가 한성 판윤 때 설치한 <治道局> 등은 일련의 계승 관계에 있다고 볼 수가 있다.
여섯째로는 주자학적 속박에서의 인간 이성의 해방이다. 이것을 전제로하여 비로소 근대적 과학 정신은 육성된다. 실학파에 있어서의 백과전서적 지식은 당연히 그 후에 있어 각 분야별로 분화 발전될 근대과학과 사상의 모체가 되는 것으로서 우리는 그것을 실학 사상 가운데서 볼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姜萬吉, 韓國近代史, 創作과 批評社, 1984
姜大敏, 韓國近現代史의 理解, 慶星大學校 出版部, 1992
김경태, 近代韓國의 民族運動과 그 思想, 梨花女子大學校, 1994
정옥자, 朝鮮後期 歷史의 理解, 일지사, 1993
김언호, 韓國의 社會思想, 한길사, 1987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2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