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통화의 진화와 청소년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휴대전화 진화 속 문화 변동
(1) 찰나의 힘
(2) 휴대전화 진화와 문화

3. 청소년 문화와 영상 통화
(1) 청소년문화에 대한 일반적 개념
(2) 영상통화의 주체와 문화 형성
(3) 청소년의 올바른 영상 통화 활용 교육

4. 나가며

본문내용

가장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요금을 머릿속에 염두해 두지만, 손은 이미 여러통의 문자와 여러 번호의 영상 통화로 웃고 있는 아이러니한 모순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이러한 태도를 갖는 중요한 원인은 통화요금을 부모에게 의존(95.8%)하는데서 연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모가 휴대전화 요금을 내주기 때문에 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습관이 나이 서른이 되도록 부모에게 의존해 살아가는 이른바 ‘캥거루족’을 양산하는 한국적인 가족문화를 만드는 건 아닐까?
양적 경제성장에 열을 올리던 80년대 중 후반쯤 ‘나이키 열풍’이 분 적이 있었다. 이 브랜드 신발은 지금도 고가에 속하지만 당시로선 큰맘 먹지 않고서는 서민들은 꿈도 못 꿀 가격이었다. 그런데도 청소년을 중심으로 나이키 소비가 크게 일어났다. 부모를 조르는 건 다반사고,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심지어 빨아서 널어놓은 신발을 훔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속칭 삥 뜯는 아이들도 있었다. 그 만큼 소비욕망이 컸었던 것이다.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 오늘날 명품바람의 시작은 그 때가 아니었나 싶다. 컬러 TV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며 끊임없이 소비욕망을 자극하고, 대량생산 대량소비 체제는 소비가 미덕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생산했으며, 부동산 투기는 온 나라를 휩쓸고 있었다. 정치적으로는 군사독재가 극에 달해 있었으며, 이른바 3S정책으로 우민화정책을 취하고 있었던 그 시절 말이다. 이런 시기에 잉태한 소비욕망의 씨앗은 90년대 절차적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본주의가 심화되는 한편, 때마침 폭발하기 시작한 대중문화의 세례를 받으며 자란 신세대의 등장으로 찬란한 개화기를 맞게 되었다.(이용철,1998)
이제 한국은 강력하게 대두되는 자본주의 세계체제 아래 새롭게 재편되는 경제 질서 앞에 놓여 있다. WTO, FTA로 상징되는 새로운 경제 질서는 거대한 파고가 되어 우리 삶을 엄습하고 있다. 농업은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구조적 실업과 비정규직은 증가 일로를 걷고 있다. 또한 구조조정과 조기 퇴직이 난무하며 서민의 삶을 옥죄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이른바 ‘20대 80사회’를 더욱 가속화시키며,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사람들로 하여금 무한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실정임에도 많은 사람들이 헛된 소비욕망에 사로 잡혀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이용철,1998)
라캉은 “욕망은 그것을 손에 넣은 순간 저만큼 물러”날 따름이라고 했다. 소비라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에 기력을 소진하기보다는 시도 자체가 즐거운 욕망을 꿈꾸고, 삶을 변용 시킬 수 있도록 각 개인의 삶의 방식, 사물에 대한 태도에 대해 성찰해 보고 특히 우리 청소년들을 다시금 되돌아 보는 계기가 지금이라고 여긴다. 사회는 자원이 가지는 희소성 때문에 그 분배방식을 놓고 끊임없이 갈등해 왔다. 어느 시대나 개인 또한 자신이 소유하거나 전유 할 수 있는 자원의 희소성은 어김없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원의 분배방식에 대한 입장과 태도, 자신에게 제한되게 주어진 시간과 물적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의 문제는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결정하고 인생에서의 가치유무를 가른다. 또한 다양성이 존재하는 자연생태계가 아름답듯이 인간과 사회생태계도 마찬가지다. 어느 시인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다만 채움과 비움이 자유로운 존재가 아름답다”고.
마지막으로, 휴대전화를 넘어 영상통화 사용에 있어서 청소년들에 대한 규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잘못된 사용 태도는 올바른 교육을 통한 청소년 스스로의 자율적 조율에 의해서 개선되어 나가야지 규제를 통해서 해결될 일은 결코 아닐 것이다. 다그치고 혼을 내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방식의 청소년 교육은 뉴미디어의 빠른 변화 만큼이나 성숙해진 우리 청소년에게는 무용지물격임에는 틀림없다.
5. 참고 문헌
이응철 (1998) <청소년의 대중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한숙(2004)<청소년의 휴대전화 소비행동과 유형화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은실 (2001) <이동전화 서비스의 효용과 비용요인에 따른 소비자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이경숙 (2002) <청소년 소비자와 성인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휴대폰 구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한국청소년개발원(1993) <청소년문화론>,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2005) <청소년문화론 >,교육과학사.
박광민 (1999) <문화 생산자의 시각에서 본 청소년 문화> ,명지대 리서치 아카데미 논총 제2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1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