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와 연결된 카테터의 구멍 안으로 종격동과 늑막강 내의 조직이 빨려나갈 위험이 있다.)
압력계산 방법 : 흡인압 = manometer push rod가 잠긴 깊이 - chest bottle water seal의 물에 tube가 잠긴 깊이
■ 배액병의 교환시기
배액이 700-800㏄가 되면 교환한다.
■ 배액병의 위치
배액병을 환자의 가슴보다 위로 올리지 않도록 하고, 배액병이 넘어가지 않도록 배액병걸 이에 고정시킨다.(근거: 중력에 의해 액체가 역류되어 늑막부위를 누르고 오염시킬수 있다.)
(7)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 disconnect 되었을 때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다.
■ chest tube가 완전히 빠졌을 때
즉시 손이나 홑이불, 거즈 등으로 그 부위에 압력을 가한 후 의사에게 알린다.
(근거: 튜브가 빠진 곳을 통해 공기가 늑막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배액병이 쓰러졌을 때
대기에 노출되어 늑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몇 번하도록 하여 늑막강 내로 공기를 배출 시킨다.
■ 배액병을 흉부보다 높였을 때
즉시 병을 내려놓고 보고한다.
(근거: 배액병 내에 있는 물이 늑막강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이때 많은 물이 들어갔다면 폐는 허탈 되고 종격동은 변위된다.
■ Thoracic suction의 기능이 안 될 경우
다시 흡인 기능이 될 때까지 흡인기와 흉곽튜브를 분리하여 자연 배액을 시킨다.
(근거: 흡인기와 연결 시에는 water seal 이 안 된다
(8) Dressing 교환 시기
처음 삽입 후 2-3일이 지난 후에 실시하고, 그 후에는 48시간마다 시행한다.
(9) Squeezing 하는 방법
한 손으로 부드럽게 튜브를 쥐고 다른 손에 마사지 로션을 묻혀서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튜브를 꼭 누른 후 배액병을 향해 이끌어지듯이 내려오면서 짜낸다. 튜브가 collapse되도록 짠 후 고정시킨 손을 먼저 놓아 튜브 안에 삼출액이 흘러내리면 다시 고정하고 짜 내린 손을 놓는다. 이와 같이 여러 번 반복하여 튜브 안을 비워준다.
(10) Chest bottle 정상기능 확인방법
- 육안으로 관찰한다.
- 흡기시 물기둥이 올라가고 호기시 물기둥이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 호기시 air leakage를 확인한다.
압력계산 방법 : 흡인압 = manometer push rod가 잠긴 깊이 - chest bottle water seal의 물에 tube가 잠긴 깊이
■ 배액병의 교환시기
배액이 700-800㏄가 되면 교환한다.
■ 배액병의 위치
배액병을 환자의 가슴보다 위로 올리지 않도록 하고, 배액병이 넘어가지 않도록 배액병걸 이에 고정시킨다.(근거: 중력에 의해 액체가 역류되어 늑막부위를 누르고 오염시킬수 있다.)
(7)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 disconnect 되었을 때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근다.
■ chest tube가 완전히 빠졌을 때
즉시 손이나 홑이불, 거즈 등으로 그 부위에 압력을 가한 후 의사에게 알린다.
(근거: 튜브가 빠진 곳을 통해 공기가 늑막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배액병이 쓰러졌을 때
대기에 노출되어 늑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심호흡을 몇 번하도록 하여 늑막강 내로 공기를 배출 시킨다.
■ 배액병을 흉부보다 높였을 때
즉시 병을 내려놓고 보고한다.
(근거: 배액병 내에 있는 물이 늑막강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이때 많은 물이 들어갔다면 폐는 허탈 되고 종격동은 변위된다.
■ Thoracic suction의 기능이 안 될 경우
다시 흡인 기능이 될 때까지 흡인기와 흉곽튜브를 분리하여 자연 배액을 시킨다.
(근거: 흡인기와 연결 시에는 water seal 이 안 된다
(8) Dressing 교환 시기
처음 삽입 후 2-3일이 지난 후에 실시하고, 그 후에는 48시간마다 시행한다.
(9) Squeezing 하는 방법
한 손으로 부드럽게 튜브를 쥐고 다른 손에 마사지 로션을 묻혀서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튜브를 꼭 누른 후 배액병을 향해 이끌어지듯이 내려오면서 짜낸다. 튜브가 collapse되도록 짠 후 고정시킨 손을 먼저 놓아 튜브 안에 삼출액이 흘러내리면 다시 고정하고 짜 내린 손을 놓는다. 이와 같이 여러 번 반복하여 튜브 안을 비워준다.
(10) Chest bottle 정상기능 확인방법
- 육안으로 관찰한다.
- 흡기시 물기둥이 올라가고 호기시 물기둥이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 호기시 air leakage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