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개설 1장부터 3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사개설 1장부터 3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어의 계통

3. 국어의 형성

본문내용

계승)
第3節 高句麗語
- 오늘날까지 자료가 전하는 유일한 부여계 언어
① 고구려어 자료: 三國史記 地理志의 地名 表記
② 권37의 音讀表記와 釋讀表記 사이의 대응을 검토함으로써 고구려어의 어휘 추정 가능
③ 음독표기에 쓰인 한자의 음가 추정 위해 고구려 한자음 연구
④ 음독표기와 석독표기의 대응으로 추정 가능한 고구려어 단어가 제공하는 바
- 고구려어 및 부여계 제어의 모습 추정 가능성
- 신라어, 백제어 및 한계 제어, 일본어, 알타이 제어와의 친족관계 결정에 단서 제공
⑤ 고구려어와 다른 언어의 어휘 일치
알타이적 요소: 예)買 (水), 중세국어적 요소: 예)어 於斯(橫). 신라어적 요소: 예)어을 於乙(泉),퉁구스적 요소: 예) 미 內米(池), 일본어적 요소: 단 旦
⑥ 고구려어의 계통적 위치: 알타이 제어(특히 퉁구스어)와 신라어 사이.(일본어와 친족관계)
第4節 百濟語
백제어는 마한어(피지배족의 언어)의 계승. 부여계 언어(지배족의 언어)의 上層 가짐.
① 백제어 지명의 특징: 신라어와 달리, 어말모음을 보존하는 경향 有. 예)부리 夫里
② 백제어 어휘와 신라어 및 중세국어의 일치: 예)돌악(珍惡)
③ 백제어에 부여계 단어들 있었을 가능성 有. 예)supi (赤(鳥))
第5節 新羅語
徐羅伐의 성장과정: 언어의 팽창과정과 일치
통일신라의 성립: 신라어를 중심으로 한반도의 언어적 통일 이루었다.
第6節 三國語의 異同
① 통치자(王)를 가리키는 단어:
고구려어-皆(), 백제어-긔, 신라어-居西干, 次次雄, 尼師今
② 城을 가리키는 단어:
고구려어-忽(홀), 백제어-己(긔), 신라어-잣(城叱), 중세국어-잣(城)
第7節 中世國語
① 10세기초 開京(開城)중심의 고려 왕조 건설: 정치문화의 중심이 慶州로부터 開城으로 이동. 개성이 放射의 中心으로 등장
② 현대 국어는 10세기 이후 개성에서 형성된 고려 중앙어에 직접적으로 소급됨
③ 고려 중앙어의 성립(中世國語 단계의 시작): 10세기 이후 개성방언(고구려의 전통 남았으나, 전체적으로는 신라어의 한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 - 중세국어는 新羅語를 根幹으로 형성
第8節 國語史의 諸段階
- 국어사 도표 (p53 참고)
- 국어사의 古代와 中世의 경계: 10세기 (cf.15세기 중엽: 훈민정음 창제- 국어의 전면적 표기 가능해짐, 문자 체계의 출현은 표기하는 수단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 국어사의 중세와 근대의 경계: 16-17세기 교체기(壬辰倭亂 발생)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04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