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에너지 산업의 역사와 신 자원 개발 - 대체에너지의 개발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에너지 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Ⅲ. 세계적인 추세
1. 에너지 자원 가격의 상승 추세와 전망
2. 주요국의 대체에너지 개발 현황

Ⅳ. 한국의 대체에너지 개발 현황과 전망
1. 한국의 현황
2. 문제점과 전망

Ⅴ. 결론

본문내용

공기업도 정부와 신·재생에너지 개발 공급 협약을 체결하고 2009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건설과 R&D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민간에서도 같은 기간 동안 총 1조6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2. 문제점과 전망
현재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독일과 덴마크 등 신재생에너지 선진국보다 크게 낮은 실정이다. 기술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50%수준에 그치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지난 2006년 말 국내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522만5000TOE로 석유·천연가스·원자력 등 1차 에너지 소비의 2.2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덴마크의 15.1%, 프랑스의 5.7%, 일본의 3%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별 보급편차도 심하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량 중 폐기물을 활용한 에너지의 비중이 76.1%로 가장 높고 세계적인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열과 풍력의 보급량은 각각 0.6%와 풍력이 1.1%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4)
에너지원별 1차에너지 수요전망(기준안)
(단위: 백만TOE, %)
구분
2001
2006
2011
2020
연평균 증가율(%)
`01-`06
`01-`11
`01-`20
석유
100.4
(50.6)
116.3
(48.9)
125.4
(46.5)
139.6
(44.8)
3.0
2.2
1.8
석탄
무연탄
3.7
(1.9)
2.8
(1.2)
2.3
(0.9)
2.3
(0.7)
-5.6
-3.5
-2.5
유연탄
42.0
(21.2)
49.7
(20.9)
57.7
(21.4)
60.3
(19.3)
3.4
3.2
1.9
LNG
20.8
(10.5)
31.2
(13.1)
33.2
(12.3)
48.0
(15.4)
8.5
4.8
4.5
수력
1.0
(0.5)
1.1
(0.5)
1.2
(0.5)
1.2
(0.4)
0.8
1.6
0.5
원자력
28.0
(14.1)
32.6
(13.7)
43.5
(16.2)
52.0
(16.7)
3.0
4.5
3.3
신탄·기타
2.3
(1.2)
4.0
(1.7)
5.8
(2.2)
8.6
(2.7)
11.5
9.6
7.1
합계
198.3
(100)
237.6
(100)
269.3
(100)
311.8
(100)
3.7
3.1
2.1
자료: 산업자원부,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02
가장 큰 문제점은 한국의 석유의존도에 있다. 정부에서 2002년에 발안한 제2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서 2010년까지 석유의존도를 45%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근시일내에 제3차 오일파동이 우려되는 현 상황 속에서 이러한 목표수치는 매우 암울한 것이다. 또한 이 계획이 10년간의 중기계획이라고는 하지만 대체에너지는 개발하는데 장기간이 소요되는 프로젝트이니 만큼 국가차원의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미국은 장기적인 에너지 안전보장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외교통상 정책의 최우선순위에 이를 상정하였으며, EU내에서도 공동 에너지 안전보장 전략을 추진 중에 있다. 그 전략의 일환으로 에너지 공급원의 다변화뿐만 아니라 신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도 주력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를 짚고 넘어갈 필요성이 있다. 한국의 에너지수입의존도는 97%에 이른다.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석유류가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 소비구조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이다. 향후 에너지 소비구조 다변화를 통하여 에너지 자원 절약을 위한 각종 정부 정책 수립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최근 대규모의 에너지 대책이 나왔지만 이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지 않다. 선진국처럼 석유의존도를 줄이고 천연가스 및 기타 대체에너지 등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황인 것이다. 대체에너지 가운데서도 앞으로 바이오매스의 에너지로의 활용에는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유가 상승과 함께 곡물가격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현실의 상황을 반영하였을 때 바이오매스 이외의 대체에너지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시급한 것은 제도적 문제이다. 2008년 한국 기업에서 전기자동차 출시를 예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제도의 미비로 일반 도로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은 이러한 법제도의 수립과 함께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여야만 비로소 민·관 협력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미숙하나마 한국의 에너지산업에 대해서 돌아 볼 수 있었다. 현재의 시국은 앞서 몇 차례에 걸쳐서 언급했던 유가상승 및 고갈문제, 곡물가격 상승문제 등과 한국의 에너지수입의존도로 인해서 펀더멘탈의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한 산업가동률 저하, 공공교통 및 유통 산업의 마비 등의 파급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대체에너지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수소차를 육성하기위해 많은 수소충전소 건설을 지원한다고 한다. 핀란드는 전체 에너지소비의 20%를 바이오에너지로 대체하였다고 한다. 세계 각국에서 들려오는 대체에너지 성공사례를 보면서 ‘한국은 지금껏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물론 에너지자원의 수입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과도한 투자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은 감안하더라도 지금까지 간간히 들려오는 인공태양의 개발절차를 제외하면 국가적 프로젝트의 진행이나 성공사례를 접한 기억이 없다. 앞으로 적극적인 대체에너지 개발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한국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제2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2002-2011년), 산업자원부, 2002
에너지 혁명 : 연료전지 사업의 현황과 발전전망, 김재윤, 2004.01
한국형 바이오 연료의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2007.01
에너지통계연보, 산업자원부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자원부국과 자원기업의 부상, 삼성경제연구소, 2008.01
원자재가격의 급등원인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008.04
Renewable Energy Consumption and Electricity Preliminary 2007 Statistics, EIA, 2007
Country Energy Profiles, EIA, 2008

키워드

에너지,   산업,   역사,   대체,   고갈,   자원,   한국,   개발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7.05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