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론]국민국가론의 전개과정과 대안의 모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국민국가의 위기

Ⅱ. 국가론의 이해
1. 국가론의 의의와 인식
2. 국가론의 현대적 분류
3. 근대 국가론의 특질
4. 국가의 목적
5. 국가론의 문제

Ⅲ. 국민국가(론)의 주요 구성요소와 형성과정
1. 국가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
2. 국민국가론의 형성과정

Ⅳ. 국민국가론의 시각과 전개과정

Ⅴ. 국민국가론의 방향과 대안의 모색

Ⅵ.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신화적인 피안(밖에로의 시선, 아프리카, 유럽, 더욱이 오늘날에는 인도, 아메리카)에 고착시키고, 역사적인 大文化의 닫힌 규범성 속으로 달아나고자 하는 쓸데없는 노력을 해왔던 것이다. 우리야말로 제문화의 접촉을 예고하고, 점차 출현하고 있는 근미래 세계를 먼저 획득하였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로."
) P. シャモワゾ(Chamoiseau) 외(1997).『クレオル禮讚』, 平凡社. 39∼40쪽.
이 선언에서 나타나는 크레올주의적 시각 ― 서로 다른 언어·문화와 상호 접촉하고 교류하는 현장에서 그들 사이의 지배와 피지배 관계까지 시야에 넣고서 새로운 언어와 문화가 생성·발전·소멸하는 과정을 역동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 이야말로 새로운 문화와 사회의 다양성을 만들어 가는 하나의 유효한 방법론적 원리라고 해야할 것이다. 그것은 국민국가나 민족국가가 집착하는 문화의 순수하고도 통일적 기원에 대해 잡종적인 혼교성을 우위에 둠으로써 국민국가의 본질주의적 경향을 극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크레올주의는 보다 열린 역동적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근미래 세계를 먼저 획득'하는 보편성마저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크레올성이야말로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개념으로서 포스트 국민국가 시대의 새로운 문화 모델, 그리고 사회 편성 원리로 등장할 잠재적 가능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크레올주의로부터 포스트 국민국가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얼마나 읽어내는가 하는 것은 국민국가론에게 부여된 또 하나의 중요한 과제라고 해야 할 것이다.
Ⅵ. 결 론
주지하다시피 국가와 민족의 문제와 연관하여 다문화주의와 다언어주의 등의 언설이 인문·사회과학의 주요한 쟁점으로 떠오르며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90년대 이후로 이들 기존의 관점을 종합하면서 보다 근본적인 관점에 서서, 요컨대 국민국가적인 시선을 비판하면서 국민국가 이후 시대의 새로운 세계상의 확립을 모색하는 언설로서 국민국가론은 특히 우리의 주목을 끈다고 하겠다. 그것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주의의 이상으로부터 출발하여 참담한 실패로 막을 내리고 만 20세기에 대한 비판적 시각, 국민국가간의 분열과 경쟁, 그로 인한 전쟁과 학살을 통한 제국과 식민지의 양극화로 점철되었던 20세기를 넘어서 21세기에는 국민국가도 제국도 아닌 새로운 사회 형태가 도래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는 언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국민국가론은 아직도 형성중에 있는 하나의 담론으로서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고 하겠다. 요컨대 국민국가론은 애초부터 어떤 체계를 지향하는 이론이나 학파를 형성하려고 하였던 것은 아닌 것이다. 그것은 어찌 보면 각자의 입장에서 전환의 시대를 고찰하고 새로운 시대의 방향성을 모색해 온 결과로 내면적인 다양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떤 공통된 시각을 공유하게끔 되었던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담론에 나타나는 하나의 공통된 시각이나 경향을 굳이 이론 체계로 본다면 그것을 이름 붙여 국민국가론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다양한 시각과 입장이 국민국가론의 형태로 불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유력한 것의 하나로 주목의 대상이 되는 것이 크레올주의라고 하겠다. 이 입장은 앞서 언급했듯이 국민국가나 민족국가가 집착하는 문화의 순수하고도 통일적 기원에 대해 잡종적인 혼교성을 우위에 둠으로써 국민국가의 본질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크레올주의는 보다 열린 역동적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근미래 세계를 먼저 획득'하는 보편성마저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크레올성이야말로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개념으로서 포스트 국민국가 시대의 새로운 문화 모델, 그리고 사회 편성 원리로 등장할 잠재적 가능성을 지녔다고 하겠다. 따라서 크레올주의야말로 미완의 이론으로서의 국민국가론이 검토해야 할 가장 강력한 담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렇듯 크레올주의를 비롯한 다양한 언설로부터 포스트 국민국가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읽어내고자 하는 국민국가론의 기본 주장은 그 대안의 제시가 현재까지는 불분명하다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문제 제기로서는 충분한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참고 문헌
성경륭, 1994. "국민국가의 장래와 정당정치의 향방," 김재한(편), 『정당구도론』. 서울: 나남.
______, 1995a. 『체제변동의 정치사회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______, 1995c. "중앙집권통치와 지역패권구도의 극복," 『창작과 비평』 제23권 제3호.
오자와 이치로, 1994. 『일본개조계획』. (방인철·김현진 역). 서울: 지식산업사.
우카이 사토시(2000), "국민이란 무엇인가:'시민 캘리번' 또는 에르네스트 르낭의 정신의 정치학", 『당대비평』, 2000 여름호, 도서출판 삼인.
이매뉴얼 월러스틴,(1994),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19세기 패러다임의 한계』, 창작과 비평사.
한국사연구회 편(1995).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지식산업사.
한국서양사학회 편(1999).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 도서출판 까치.
홉스보움, E.(1997),『극단의 시대:20세기 역사』상·하, 도서출판 까치.
西川長夫(1992). 『國境を越え方 ― 比較文化論序說』, 筑摩書房.
西川長夫 외 編(1998). 『アジアの多文化社會と國民國家』(人文書院, 1998)
西川長夫 외 編(2000). 『20世紀をいかに越えるか』, 平凡社.
丸山茂(1999), "PACS―同姓愛の制度的承認か?", 『神奈川大學評論』第34號, 神奈川大學.
Anderson, B.(1983) Imagined Communities: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P. シャモワゾ(Chamoiseau) 외(1997).『クレオル禮讚』, 平凡社.
Strange, S.(1996), The Retreat of State:The Diffusion of Power in the World Economy, Cambridge Univ. Press, 櫻井公人 역, 『國家の退場』, 岩波書店.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7.07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