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고분][고구려문화][고구려고분벽화][고구려]고구려고분의 벽화, 고구려고분의 종류, 고구려문화의 전개와 고분벽화, 고구려고분벽화의 특징과 연대별 분류, 고구려고분벽화 그림 속 춤의 기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고분][고구려문화][고구려고분벽화][고구려]고구려고분의 벽화, 고구려고분의 종류, 고구려문화의 전개와 고분벽화, 고구려고분벽화의 특징과 연대별 분류, 고구려고분벽화 그림 속 춤의 기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구려 고분의 벽화

Ⅲ. 고구려 고분의 종류
1. 적석묘
2. 봉토묘
1) 무벽화 봉토묘
2) 벽화 봉토묘

Ⅳ. 고구려 문화의 전개와 고분벽화

Ⅴ. 고구려 고분 벽화의 특징과 연대별 분류
1. 고분 벽화의 특징
2. 연대별 분류
1) 초기(약 350 ˜ 약 450년)
2) 중기(약 450 ˜약 550년)
3) 후기(약 550년 ˜ 668)

Ⅵ. 고구려 고분 벽화 그림 속 춤의 기능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다시 말하면 예술이 하나의 의식으로서 사회적 참역할로서 기능을 한 것이다. 여기에서 누가 누구를 위해 의식을 치루었는가 하는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이는 의심할 여지없이 무덤주인공을 향한 산자가 죽은자를 위한 의식이다. 그러나 죽은자를 위한 산자의 의식안에는 산자 자신들을 위한 위안과 위무의 본질이 동시에 들어있고, 죽은자의 내세를 위한다는 의미안에서도 산자의 앞으로 올 미래생의 평안과 기복의 염원이 동시에 들어 있는 것이다. 둘째는, 실용적 관점에서 본 실용성이다. 사냥춤이나 무예춤 중 창·칼·활춤, 역사춤 등과 같이 생활 수단으로서 생활 그 자체와 합치되는 춤들이 그것이다. 수박춤이나 씨름춤 등은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신체단련의 의미가 내포된 것으로 실제로 실생활의 활력이 효과적으로 높아지게 기능하는 춤이다. 이는 지배계급에 대한 피지배계급의 춤으로 일반 서민들이 직접 즐기며 추는 춤이다. 이 춤은 서민들의 생활자체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온 춤으로 일하면서 행해지는 일과 놀이의 본성을 지닌 실용적 춤이다.
셋째는, 유희적이며 오락적 기능이다. 곡예나 씨름, 수박춤 등과 같이 그것을 행하는 본인 자신은 물론이고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즐길 수 있는 서민의 놀이 춤으로 유희 오락적 속성을 갖고 있다. 곡예춤에는 공놀림춤, 살작대춤, 고리춤, 수레바퀴춤 등이 있다. 그러나 위의 두가지 목적성을 가진 춤들은 엄연히 그 안에 위계질서의 구조가 분명한데 그 두 춤세계의 목적과 구조는 서로 상부상조하며 하나로 통하는 점이다. 즉 그 춤들이 뜻하는 세계에서 나오는 특성은 서로 하나로 이어진 삶을 구현하고 그 본질안에서 삼세(三世)로 통하는 이상적인 삶의 표현이다. 이러한 본성이야말로 각 계급과 역할의 본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서로 통일되어 무계급성으로의 이행과 무등(無等)사회, 무등삶의 실현이라는 데에 고구려 춤의 위대성이 있다.
Ⅶ. 결론
한국의 문화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때 고대 사회는 한국 문화의 근원적 맥으로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고구려는 정복국가인 동시에 문화국가로서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그 문화적 위상이 대단히 크며 민족 문화의 중요한 출발점이기도 하다. 고구려의 옛 땅에는 우리 문화의 근원적 맥을 찾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많은 고분벽화가 현재까지 남아 있는데, 여기에는 고구려의 다양한 생활 풍속과 예술 등 고구려인이 살아갔던 현실세계의 모습은 물론 사후 하늘세계의 삶까지도 우주적 차원으로 폭넓게 표현되어 있다.
고구려의 장례의식으로서 치루었던 의식행위 안에 춤, 노래, 놀이가 어우러져 장의예술로서 집중적으로 표현되었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같은 생각이다. 고분벽화는 장의예술(葬儀藝術)의 하나이다. 장례의식이란 산 자와 죽은 자가 헤어지는 과정이며, 산 자와 죽은 자의 세계 사이의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단절(斷絶)과 유대(紐帶)의 표현이다. 장례의식 중에는 구별될 수 밖에 없는 두 세계를 잇고자 하는 의지 속에 죽은 자가 살았던 세계와 살아야 할 세계의 모습이 노래와 춤, 놀이와 장식행위와 같은 장의예술을 통해 집중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즉, 고구려 고분벽화는 우리 문화의 독특한 예술성과 특징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에 관한 연구는 20세기 초 일본 학자들에 의해서 시작된 이후 중국과 북한 학자들에 이르기까지 계속 조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그 구조 및 형태상의 특징으로 말미암아 도굴이 되고 붕괴되는 등 거의가 후대에 훼손되어서 많은 자료는 얻을 수 없었다. 게다가 중국 같은 경우는 수많은 고분들을 ‘정리’라는 명분 하에 단지 유물 수습하는 정도에서 조사하고 얄팍한 보고서 한 권 제대로 내지 않는 실정이라고 한다. 상당 기간에 걸쳐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명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많은 까닭이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 김용만지음(1999),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 김원룡(1980), 한국벽화고분, 일지사
* 방기동·최무장 역(1982), 집안고구려고분벽화총의 무용, 고구려·발해문화, 집문당
* 이태호·유홍준(1996), 고구려 고분벽화, 도서출판 풀빛
* 유송옥(1993),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벽화, 집안고구려고분벽화, 조선일보사
* 이형구(1991), 한국고대문화의 기원, 도서출판 까지
* 이애주외(1995), 강의실 밖에서 배우는 민속학, 민속학회
* 조선일보사(1993), 집안고구려고분벽화
* 최무창, 임연철 편저(1990), 고구려 벽화 고분, 신선원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