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욕설]욕(욕설)의 본질과 특성, 욕(욕설)의 종류, 욕(욕설)의 기본, 욕(욕설)에 대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분석(욕(욕설) 본질,특성, 욕(욕설) 종류, 욕(욕설) 기본, 욕(욕설) 긍정적, 부정적 측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욕][욕설]욕(욕설)의 본질과 특성, 욕(욕설)의 종류, 욕(욕설)의 기본, 욕(욕설)에 대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분석(욕(욕설) 본질,특성, 욕(욕설) 종류, 욕(욕설) 기본, 욕(욕설)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욕(욕설)의 본질과 특성

Ⅲ. 욕(욕설)의 종류
1. 조선 시대 형벌에서 사용되어진 욕
1) 젠장 맞을 놈(태질 할 놈)
2) 경을 칠 놈
3) 육실할 놈
2. 개에 관한 욕
1) 개새끼, 개 같은 놈
2) 개 망나니
3) 개차반
4) 개수작
3. 신체에 관한 욕
1) 채신머리 없는 놈
2) 염병할 놈(옘병할 놈)
3) 병신 육갑하네
4. 인터넷에서 사용되어지는 욕

Ⅳ. 욕(욕설)의 기본

Ⅴ. 욕(욕설)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측면
1. 긍정적 측면
2. 부정적 측면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자지\"나 \"보지\"라는 순 우리말 외에도 \"陽物(양물)\"이나 \"陰門(음문)\"이라는 소위 점잖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한자어도 있었다. 그런 단어가 있어 언어 소통에 불편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좆\"이나 \"씹\"이라는 단어가 생겨났을까?
욕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좆\"이나 \"씹\"은 동양 사상의 근간이 되는 음양이론에 있어서 각각 남자와 여자의 대명사가 된다. 음양이론을 토대로 해서 쓰여진 周易(주역)에서 남자는 陽(양)으로 표현되며 곧 하늘을 나타낸다. 그 반대편에 있는 것은 陰(음)으로서 땅을 표현한다.
하늘의 기운은 언제나 말라있어 건조하다. 하늘에 습기가 많아지게 되면 비가 내려 곧 그 습기를 없애버리는 것은 현대의 과학을 빌리지 않더라도 잘 알고있는 바이다. 옛날 사람들은 그래서 하늘로 대변되는 남자를 乾燥(건조)하다는 말에서 乾(건)자를 빼고 말라있다는 뜻의 燥(조)자를 상징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땅은 하늘과 반대에 있으면서 항상 축축한 기운을 가지고 있다. 그 축축한 기운은 이내 하늘로 올라가 다시 비로 내려오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땅 위나 땅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땅으로 대변되는 여자를 일컬어 축축하다는 뜻의 濕(습)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땅이 여자였다는 사실은 주역에 나오는 坤道聖女(곤도성녀)라는 말에 잘 나타나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는 장승을 보더라도 하늘과 땅에 대한 부가설명이 필요 없을것 같다. 남자 장승은 天下大將軍(천하대장군), 여자 장승은 地下女將軍(지하여장군)이 아니던가?
아무튼 燥(조)자와 濕(습)자는 이런 연유로 각각 남자와 여자를 상징하는 말이 되었고 그 뜻은 남자와 여자의 커다란 신체적 차이점인 생식기를 나타내는 말로 轉移(전이)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한동안 \"조\"와 \"습\"으로 불리우던 말은 세상이 끊임없는 전쟁으로 시달리며 인심이 흉흉해지는 사이 激音化(격음화)를 통에 오늘날의 \"좆\"이나 \"씹\"으로 변화되어 왔고 각박해진 세태를 반영하듯 그 발음은 더욱 드세어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가지 더 추가적으로 말을 하자면 \"씹\"은 어른의 보지라는 사전적인 뜻 외에 性交(성교)를 나타내는 뜻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씹한다\"라고 하면 곧 남녀간의 성행위를 말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짚고 넘어 가야할 것이 있다. 왜 성교를 나타내는 말로 \"씹\"이 사용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예로부터 농경국가로서 父權(부권)중심의 씨족이 살아왔던 우리나라에서 남자의 상징인 \"좆\"을 제쳐두고 \"씹\"을 성교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한 점은 우리 민족이 성행위에 대해 다분히 메저키즘적 思考(사고)를 잠재의식에 가지고 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농경국가였기 때문에 특히 多産(다산)의 바램도 포함된다고 본다. 즉, 우리 민족의 성행위에 대한 잠재의식은 들이 밈이 아니라 받아들인다는 수동적 의미로서, 또한 \"좆\"을 삽입함으로서 母胎 歸屬本能(모태 귀속본능)의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의미도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개국설화인 단군신화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고 생각한다. 잘 아다시피 단군은 熊女(웅녀)의 아들로서 신화에서는 곰의 자손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설화이기는 해도 어찌 곰이 사람이 될 수 있으며 그 곰이 낳은 자식이 한 나라의 始祖(시조)가 될 수 있겠는가.
단군신화에서 말하는 웅녀는 곰이 아니라 땅의 신을 섬겼던 부족장의 딸로 생각되어 진다. 여기서 곰은 곰(熊)이 아니라 우리말의 땅에 해당하는 말이고 발음이 같은 동물의 곰으로 표현된 것으로 보아진다. 갓난아이가 태어나면 대문 밖에 걸어놓는 줄을 우리는 금줄이라고 하는데 이는 땅의 신을 섬겼던 웅녀의 후예로서 당연한 일이라고 본다. 이렇듯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땅은 특별한 의미를 지녔으며 그 의미는 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잠재의식 속에 면면이 담겨져 있다.
Ⅴ. 욕(욕설)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측면
1. 긍정적 측면
뒤틀림, 꺾임, 부서짐을 빼고 인간관계를 말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인간관계에서 욕이 없다면 분노의 대상을 공격하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신체적 행동표출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욕은 부당한, 번지수가 틀린 도전에 대한 응전이 될 수도 있다. 때로는 이론적인 글보다는 욕 한마디가 부당한 세력에 대해 통렬한 반박이 될 수도 있다.
-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 中
욕(辱)은 욕하는 사람의 울화를 가라앉혀 심적인 안정을 회복케 하고, 기(氣)를 복돋우어 우울증을 낫게 하며, 심리적 열등감을 해소하는 좋은 약리작용이 있는 것 같다. 오랫동안 가난하여 남에게 핍박을 받으며 살다보면 마음에는 원(怨)과 한(恨)이 쌓이기 마련이다. 원(怨)이라는 것은 남에게서 당한 억울함을 일컹는 것이고, 한(恨)이란 것은 스스로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에서 생기는 것이다. 이 원한을 푸는 방법은 크게 성공을 하던지 뭘 이루면 된다. 그러나 어디 그게 쉬운가. 이럴 때 심리적 균형을 회복하고 건강을 도모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욕을 하는 방법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보면 사회적 계층간의 어떤 위화감을 해소하여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한다. 필요 이상으로 거룩해져 마치 신(神)의 지위에까지 오른 사람을 본연의 인간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도 욕(辱)이고, 하찮은 인간을 스스로 하찮다는 것을 깨닫고 반성하게 하는 데도 제일 약효 좋은 것이 역시 욕(辱)이다.
2. 부정적 측면
아무래도 욕(辱)은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 아무도 없는 곳에서 혼자 해대는 욕은 자신의 내면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긍정적인 약효가 있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욕은 타인에게 심각한 인격훼손과 여러 가지 손해를 끼치게 된다. 타인에게 욕을 함으로써 (외부 귀인함으로써) 자기발전이 없게 된다. 사람들이 공격적으로 변해서 사회가 삭막해 진다.
참고문헌
김상윤,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화법연구4집, 한국화법학회(2002)
김열규, 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 사계절서인석, 욕설고(辱說考), 국어국문학22권, 국어국문학회(1960)
교양, 욕(2002)
신기상, 우리말 욕설 연구, 국어교육79집, 한국어교육학회(1992)
우리나라 욕에 나타난 性(2000)

키워드

,   욕설,   막말,   언어,   국어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0.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