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의 현황과 특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의 현황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소수민족 현황
1) 소수민족 인구는 전체인구 증가율을 웃돌며 증가하고 있다.
2) 소수민족의 인구구성은 점점 젊어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3. 중국 소수민족의 특징
1) 분포지역이 넓고 점유면적이 넓다.
2) 대잡거와 소집거 형태이다.
3) 자원과 광물이 매우 풍부하다.
4) 변경에 가깝고 인구가 희소하며, 경제와 문화가 비교적 낙후되어 있다.

4. 중국 소수민족 정책
1) 일반적, 공식적 견해
2) 민족 식별 작업과 정치적 성격
3) 독특한 그리고 새롭게 창조된 중화민족 개념
4) 민족관계와 역사상 통일적 다민족 국가
5) 중화민족주의에 기초한 정치
6) 소수민족 간부를 적극 양성한다.
7) 소수민족의 풍속 습관을 존중한다.
8) 종교신앙의 자유를 허용한다.

5. 소수민족의 현황과 문제점
1) 정치적 민족주의와 문화적 민족주의의 구별
2) 지역적 문제
(1) 민족주의 고양을 어느 정도 초기에 대립을 격화시키고 있다.
(2) 이이제이와 연결되어 있다.
(3) 한족의 대량 이주이다.
3) 외교적 문제

6. 조선족의 당면한 문제

7. 중국소수민족정책의 나아갈 길

8.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 다소 접근해 있는 민족국가들은 연합 혹은 일체화의 길을 가속화하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국 내부에서도, 대륙과 홍콩·마카오 심지어 대만에 이르기까지 일체화와 접근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소위 “대중화경제권”도 형성되었다. 그래서 중국은 새로운 역사적 환경속에서, 한편으로는 강한 도전에 직면해 있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생존과 발전을 위한 역사적인 기회도 맞이하고 있다. 직면한 도전은 국가내의 민족이 주체민족으로부터 탈피하려 하는 것이다. 즉, 어떤 민족이 독립을 요구하며 자신의 언어, 종교, 그리고 경제이익을 강화할때는 중국과 충돌을 피할 수 없다. 반면 역사적 기회측면에서 본다면 1)시장경제와 세계경제의 지역화는 중국을 분열이 아니라 더욱 통일로 향하게 할 것이다. (2) 중국은 계속 사회주의를 견지하되, 그러나 또한 시장경제의 발전도 가속화시킬 것이다. 사회주의와 시장경제 양자는 모두 보편적인 것으로서, 중국에서의 이들의 결합은 보편적인 가치관을 더욱 국민들의 마음속에 내재케 할 것이며, 이런 보편적인 가치관은 다원의 종족 그리고 문화를 결합한 미 합중국식의 보편적 가치관일 수도 있고, 유럽식의 공통의 경제 정치 그리고 안전 혹은 문화를 연대로 한 민족국가 연합형식과 같은 그런 “제 3모델”의 민족과 국가를 창출할 수도 있다. (3) “아·태경제중심”혹은“유라시아 대륙 지정학 정치”시대는, 중국의 중 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소수민족이 민족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국이란 시장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며, 분리주의는 희망이 적다. (4) 한 걸은 물러서서, 어떤 소수민족이 정말 독립을 추구한다며, 세계화 시대에서 이들의 생존능력은 하락될 수밖에 없으며 자신의 안전, 경제와 문화적인 비전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며, 장기적인 민족위기에서 쉽게 벗어날 수도 없을 것이다. 오늘날 독립국가 연합체의 어떤 신 독립국가 연합체의 어떤 신 독립국가처럼 내전과 분쟁, 대국과 국제조직의 간섭에서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각 민족 자신의 이익과 중화민족 전체이익이라는 점에서 볼 때, 위의 사실들은 민족 분리주의가 오늘날의 세계에서 결코 유익한 것만은 아님을 반영한다. 소수민족들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들만의 공식적인 통치기구의 성립을 통해 독립을 추구하려는 의지는 중국의 강력한 소수민족통합정책으로 좌절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수민족지역의 경제도 한족거주지역의 경제발전과 밀접한 연계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1991년 중국은 기본적인 국토개발과 개혁개방의 방향을 재설정했다. 즉 「향남북추진」이라 불리는 새로운 원칙은 개혁의 방향을 「동에서 서로, 그리고 남에서 북으로」함으로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왔던 내륙지역과 서북부 초원지대에까지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인류역사상, 미국의 모델은 일종의 보편성을 지닌 정치구조를 기초로 한 다민족·다문화로 구성된 다원화된 국가이며, 유럽의 통합도 이런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사실, 세계적인 발전의 보편적인 추세는 이러하며,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 하나의 다민족 국가이며, 또한 복잡한 정치제도(즉, 一國兩制)를 가진 중국으로서는 국내의 각 민족의 경계를 넘어서서, 진정한 일체화와 진보적이고 완전한 의의를 지닌 중화민족의 형성이야 말로 경제발전과 체제안정이라는 두 개의 목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8. 결 론
세계의 곳곳에서 민족문제로 참담한 분규를 앓고 있는 이 때, 중국은 많은 56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티벳문제만을 제외한다면 상당히 안정적인 소수민족 정책을 펴 나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각 소수민족의 특성을 살려주는 민족구역자치를 실시하면서도 통일적인 「대가정」을 이루고 단결속에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중국의 소수민족구역 자치제 실시와 소수민족 간부양성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이기도 하지만, 또 소수민족 스스로가 한족과 단결하여 혁명과 항일전쟁 및 사회주의 국가건설에 적극 협력해 오는 가운데 형성하게 된 공동운명체 의식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의 역사는 길지 않으며 개혁 개방정책과 더불어 한족과 소수민족간에 부와 문화상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민족주의와 종교문제등을 들고 나와 중화민족의 단결과 통일을 반대하고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특색의 사회주의」건설이라는 새로운 모험을 추진해 가는데 있어서는 소수민족의 도움 없이는 어려운 일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는 만큼, 그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그들을 건설에 더욱 적극 동원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그러자면 그들의 간부를 더욱 많이 배양하여 언로를 확대하고 정치에 더 많이 참여시키며 교육기회와 민족구역에 대한 재정투자를 더욱 증대시켜야 하고, 민족평등과 민족자치를 더욱 공고히 하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점을 관철해 가자면 반드시 제도화로 이어져야만 할 것이다.
- 김병호, 「중국의 민족이론정책과 법률에 있어서의 연변(延邊)조선족의 지위」, 중앙민족대학, 1993.
- 김강일, 「연변조선족의 대 남북한관에 관한 실증적 조사」, 연변대학, 1995.
- 한상복외, 『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 국립민속 박물관, 『중국 길림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국립민속 박물관, 1996)
-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현암사, 2003).
-페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공사, 2001.
-수잔 나퀸 외, 정철웅 역. 《18세기 중국사회》, 신서원, 1998.
-宮崎市定, 조병한 역. 《중국사》, 역민사, 1984.
-허평길,〈중국 소수민족정책의 思想―中華思想의 형성과 변화〉《韓國民族文化》10권, 1997.
-南庭烋, 〈中國의 少數民族政策: 그 變化와 永續性〉《産業硏究》7권, 1996.
-전인영, 〈중국 소수민족 정책연구〉《지역연구》3권, 1994.
-강명상,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티벳과의 분쟁 40년사〉《전망》, 1992.
-이정희, 송해영.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에 관한 연구〉《경북대평화연구》13권, 1988.
  • 가격2,7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1.07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3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