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정지용의 시 세계
2.. 1. 초기시의 감각성
2.. 2. 중기시의 사물성과 종교성
2. 3. 후기시의 동양정신

3.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기온이 달라지는 자연현상에 의해 ‘뻑국채’ ‘꽃키’가 소모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는 한라산을 영적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가재도 긔지 않는 白鹿潭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不具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좇겨온 실구름 一抹에도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祈禱조차 잊었더니라.
- 「백록담」중에서
이 부분은 시인과 백록담과의 만남이다. 그런데도 백록담에 비친 구름과 하늘을 그리고 있을 뿐이다. 여기서는 ‘하늘’이나 ‘구름’도 어떤 정신적인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다. 일원적 공간구조일 뿐이다. 철저한 객관시이며 사물시이다. 마지막에 ‘기도’라는 낱말이 나오지만 습관화된 카톨릭의 기도를 잊었다는 것 외에 어떤 뜻도 내포하고 있지 않다.
「장수산 1」에서 장수산은 고요하고 찬 청정의 세계로 세속적 현실이 아니라 초월적인 세계라고 할 수 있다. “깊은 산 고요가 차라리 뼈를 저리우는” 겨울밤, 시적 자아의 시름은 “바람도 일지 않는 고요에 심히 흔들리”고 있다. 자연에의 몰입으로 달성된 순간적 동일성에 의한 마음의 안정은 어느 새 흔들리고, 시적 자아는 다시 시름에 잠기게 된다. 이는 단순한 자연에의 도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인간적 고뇌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자는 “오오 견디랸다 차고 궤연히 슬픔도 꿈도 없이 장수산속 겨울 한밤내-”하고 다짐하며 불안의 심적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간적으로는 ‘한겨울’이고 공간적으로는 ‘깊은 산’에 처한 자아는 ‘정지된 시가’의 상태에 존재하고 있다. 물론 여기서 정지된 시간이란 시간의 개념 자체를 초월한 상태이기 때문에 영원한 현재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는 무시에 이른 것이다. 때문에 산의 무시간 속에서 자아가 이탈하게 된다. 무시의 무아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벌목정정 이랬거니 아람도리 큰솔이 베혀짐즉도 하이 골이 울어 맹아리 소리 쩌르렁 돌아옴즉도 하이 다람쥐도 좃지 않고 뫼ㅅ새도 울지 않어 깊은 산 고요가 차라리 뼈를 저리우는데 눈과 밤이 조히보담 회고녀!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 한밤 이골을 걸음이랸다? 웃절 중이 여섯판에 여섯 번 지고 웃고 올라 간뒤 조찰히 늙은 사나히의 남긴 내음새를 줏는다? 시름은 바람도 일지 않는 고요에 심히 흔들이우노니 오오 견뒤랸다 차고 然히 슬픔도 꿈도 없이 長壽山속 겨울 한밤내
「長壽山 1」전문
모든 인간적인 것을 끊어버리고 장수산 속에서 지내겠다는 것은 동양 정신 중 무욕청정의 세계를 다룬 것이다. 위 시에서 보듯 인간적인 고민과 고뇌는 정적속에서도 흔들리는 법이므로 인간적인 일체를 끊어버리고 장수산 속을 견디겠다는 것은 허정무위의 성격을 보여준다.
3. 결 론
이제까지 정지용의 시 세계를 초기와 중기와 후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그의 시가 초기의 감각적 기법에서 중기의 객관적 사물화의 과정을 거쳐 후기의 동양정신에 입각하여 ‘산’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지용의 초기와 중기의 시적 제재는 생활 주변 자연과 사물이었다. 향촌과 바다 등이 중요한 제재였다. 초기에서는 그런 제재를 동시적인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하였고, 중기에는 또한 카톨릭적 관념도 시적 제재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종교시는 일시적인 현상에 지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 진다. 후기시에도 그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고 관념을 배제한 체 주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지용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그가 월북 작가로 분류되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그의 시는 1988년 해금을 기점으로 차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그의 시가 지나치게 사물성에만 의존하고 어떠한 관념의 개입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한국 현대시사에서 가장 현대시다운 시를 썼다고 평가받는 정지용에 대해서 지금보다 더 활발한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김은자, 정지용, 새미, 1996.
2. 김학동, 정지용 연구, 민음사, 1997.
3. 문덕수, 한국모더니즘 시 연구, 시문학사, 1981.
4. 민병기, 정지용,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5. 유승우, 한국 현대 시인 연구, 국학자료원, 1998.
6. 장도준, 정지용시 연구, 태학사, 1994.
7. 장도준, 한국 현대시의 전통과 새로움, 새미, 1998.
8. 오순옥, 정지용 시 변모과정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91.
9. 이봉숙, 정지용 시에 나타난 갈등양상과 극복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논문, 1997.

키워드

정지용,   유리창,   바다,   장수산,   현대시,   향수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1.2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