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자립생활 실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장애인 자립의 의미와 자립생활(운동)
1. 자립(Independence)의 의미
2. 자립생활(운동)(Independent Living Movement)

Ⅲ. 자립생활과 배경이론
1. 탈의료화
2. 병자역할(Sick Role)과 손상된 역할(Impaired Role)로부터의 탈피
3.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
4.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
5. 정상화(Normalization)
6. 스티그마(낙인)와 가치절하에 대한 극복노력
7. 다양한 사회운동과의 연계
1) 시민권(Civil Rights) 운동
2) 소비자운동(Consumerism)
3) 탈의료화(Demedicalization)운동과 자조-자립(Self-help & Self-care)운동

Ⅳ. 재활모델로부터 자립생활모델로의 전환

Ⅴ. 결 언

본문내용

역할(the consumer role)을 담당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옹호(advocacy), 동료상담(pure counseling), 자조(self)와 자기관리(self-care), 소비자 주권회복 그리고 사회적 장애제거는 자립생활 모델의 대표적 특징들이라 할 수 있다.
자립생활모델이 현재 변화의 초기단계를 넘어서고 있지만, 재활모델 역시 장애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임을 부정할 수 없는 일이다. 자립생활운동 그 기본 원칙들을 계속해서 다듬어 나갈 때, 자립생활모델도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장애인의 재활단계에서 자립생활단계로의 전환의 시기에는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 모두 필요한 모델임을 인식하고, 상호보완적이고, 상호교류적인 차원에서 다루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이루기 위해서는 재활모델에서 자립생활모델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요청된다 하겠다.
Ⅴ. 결 언
미국과 영국의 경우, 자립생활 운동이 시작된 지 10여 년의 기간 장애정책의 장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정치세력으로 성장했으며, 이러한 성장은 자립생활운동이 장애정책의 장래를 어떻게 형성해 갈지 예견할 수 있을 것인가? 또한 향후 10년 동안에는 이 운동이 어떤 모습을 띠게 될 지 예측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문제에 직접 대답할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경향과 쟁점들은 파악할 수 있다.
자립생활모델의 개념은 자립생활 운동이 장애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한 예측을 하는데 유용하다. 자립생활모델은 장애문제를 광범위한 환경 변수들까지 고려하도록 범위를 확대시킴으로써 다른 학문으로의 통로를 열어 놓고 있다. 장애인의 인권과 차별금지를 중시하여 법률 전문가들의 참여를 꾀하고 있으며, 이동과 건축학상의 장애문제는 건축과 교통전문가들에게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또한 여러 공적부조 프로그램에서 발생하고 있는 근로의욕 저하문제는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소득 이전 프로그램에서 비슷한 경험을 했던 경제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구나 자립생활 운동에 의해 촉진된 새로운 시각의 도입은 분명 장애 분야를 활성화시킬 것이며, 관련 분야의 각성을 증대시킬 것이다. 예를 들면, 자립생활운동은 재활 상담가들로 하여금 다른 관련 사회복지 서비스체계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여, 그 결과 그들의 클라이언트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게 될 것이다.
자립생활 운동의 가장 복잡한 문제들 중의 하나는 이 운동에서의 비장애인들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있다. 한편에서는 장애 '소비자들'만이 지도력의 대부분의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다. 소비자 개입의 문제는 외부 운동 조직, 특히 장애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정책의 발달에서 차지하는 비장애인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자각하기 시작할 때, 어느 정도 안정될 것이다.
또 하나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누가 "소비자"인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특히 장애 아동의 부모들과 관련된 문제이다.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대리 소비자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자립생활운동의 이념은 부모들의 입장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자녀의 의존성을 성인이 되어서까지 영속화시키려 하기 때문이다. 이 운동은 부모의 자립생활의 주요 장애 요소로 간주해 왔다.
영국이나 미국의 경우, 자립생활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인정은 이 운동에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가져다주고 있다. 이들 나라의 장애인 관련 법률들은 기존 자립생활프로그램을 강화시키고, 자립생활서비스가 전혀 없는 지역에도 확대되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또한 이 운동의 정치적 신뢰성을 확인해 주고 있다. 반면 위험이란 자립생활에 필요한 새로운 기금이 이 운동을 관료화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옹호 활동을 점차 게을리 하고 조직 유지 활동에 개입하게 됨에 따라, 그 특성을 상실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더구나 자립생활기금들이 자립생활과는 그다지 관계가 없는 활동에 전용되어 자립생활운동이 의도하고 있는 의미를 희석시키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새로운 자립생활기금은 재활관련법에서 비롯되어 조정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 운동이 재활 체제의 제약을 크게 받게 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자립생활 운동은 미국, 영국 등을 비롯한 각국의 장애 정책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짧은 역사를 고려한다면, 입법, 서비스 및 의식 고양 분야에서의 업적은 실로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자립생활 운동이 그 개념이나 프로그램, 서비스에 대해 재정의 작업을 지속해 나감에 따라 더 발전되고 학문적인 장애 문헌에 나와야 할 것이다.
이 운동의 중요한 기여는 장애인들에게 자신의 미래에 대한 주장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장애인 자신들에게 너무나 오랫동안 부정되어 왔던 존엄과 자긍심을 북돋워 주었다는 점이다.
참고 문헌
Albrecht, G. (1992). The Disability Business. London: Sage.
Barnes, C. (1991). Disabled People in Britain and Discrimination. London: Hurst & Co.
Beardshaw, V. (1988). Last on the List: Community Servic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ondon: King's Fund Institute.
Brisenden, S. (1989). "A charter for personal care", in Progress, 16. Disablement Income Group.
Davis, K. (1981). Grave Road, Disability Challenge, No.1, May.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 London.
Davis, K. (1983). Consumer Participation in Service Design, Delivery and Control. Derbyshire Coalition of Disabled People.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2.11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