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지역현황, 산업구조조사에 따른 경제성분석과 방향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산시 지역현황, 산업구조조사에 따른 경제성분석과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목적

Ⅱ. 경산시의 지역현황
1. 지역 특성
2. 경제 현황

Ⅲ. 경산시의 산업구조 분석
1. LQ 분석
2. 전이 할당 분석

Ⅳ. 맺음말
☞ 부록 - 경산시의 GRDP 비교 분석

본문내용

민소득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경산은 대구에 있는 각종 공해배출 공장들이 몰려오면서 지금도 전용이 가능한 땅이면 공장부지로 불티나게 거래돼 무분별한 공장유치로 도시발전에 심각한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들 공장들 중 도시계획상 공업지역에 들어선 공장은 20%에 불과한 실정이고 나머지는 모두 주택가에 들어서 이대로 방치하면 기형도시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이를 위해선 부족한 공장용지난을 해소하기 위해 진량, 자인에 이어 제3의 공단을 조성하는 문제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고 하겠다.
하루 10만 유동인구의 교통난 해결을 위해서는 대구지하철 1호선 안심~하양 9.7㎞, 2호선 고산~영대~진량 10㎞를 연장시켜 1호선과 2호선을 연결(4.4㎞)하지 않고는 경산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리고 산업, 도시화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방지를 위해 남천 종합개발사업과 조산천 개발계획 금호강변 고수부지 조성등도 뺄 수 없는 과제이다. 결론적으로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해서 민선시장은 각종사업의 수행에 공정성을 갖고 재원확충을 위한 뚜렷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도 이번에 정부가 공항과 항만 입지에서 벗어 나 내륙지역에도 경제자유지구를 지정할 수 있다는 방침을 정하였다. 경제자유구역으로 뽑히기 위해 대구가 내놓은 특구는 혁신도시와 국제패션디자인기구, 수성의료교육지구 등 6군데이며, 경북은 경산학원연구지구와 구미 디지털산업지구, 영천 첨단산업지구 등 4군데이다. 이들 특구는 다른 지역과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전통을 자랑하는 5개 의과대학이 있는 의료 인프라와 전국에서 가장 많은 23개 대학이 몰려 있는 교육 인프라를 비롯한 모바일과 IT산업 지구가 이 지역만의 특성이다. 또한 기존의 인프라 시설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적게 들고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고 국고지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대구, 경북의 10군데 특구를 하나로 묶어 외자를 유치하고 인재를 키운다면 경제구조가 자동적으로 지식기반경제로 바뀌어 경제 활성화가 이뤄질 것으로 확신된다. 낙후된 경제구조에다 첨단기업 유치 여건마저 취약해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지역 경제를 살릴 기회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원연구도시로써 졸업과 동시에 다시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고학력자들을 유출을 방지하고 그들을 그대로 지역경제에 투입 시킬 수도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대구시와 경북이 대상지에 선정되어 공동으로 기존의 경제자유구역과는 차별화되는 지역특구를 유치한다면 경산지역의 학원연구도시로써의 입지도 더욱 굳건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경산은 삼한시대 압독국의 터전이며 경북의 큰 고을로서 3성현이 태어나신 유서 깊은 고장이기도 하다. 경산에 아파트 단지가 많이 들어섰지만 그래도 논·밭이 많아서 단순히 경산시가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는 도시인 줄만 알았다. 그래서 경산으로 넘어오는 길목에 위치한 ‘기업하기 좋은 도시, 교육하기 좋은 도시 경산 !’이란 팻말을 보았을 때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곤 했다. 경산에 기업이 있어봤자 말만 그럴 뿐이지, 아무리 기업을 유치한다 해도 중공업 단지로 유명한 큰 도시들을 따라잡진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경산시의 주된 산업은 농업인 줄로만 알았는데, 예상외로 제조업 분야와 교육서비스 산업에 큰 비중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농업분야는 점점 쇠퇴해져 왔지만, 제 2차 산업, 즉 제조업 분야 특히, 자동차 및 트레일러(자동차 부품산업)은 진량·자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크게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산시는 대학이 무려 13개나 위치한 교육 중심도시로서 타 지역의 학생들이 모인데다가 대학과 연관된 기업, 산업협력단체들 또한 밀집 되어서 클러스터 산업으로 유치·발전시켜온 것으로 보아 상당하지만 눈에 잘 띄지는 않는 숨은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LQ지수와 전이할당분석을 보면서 통계자료상 기반산업이 지역의 색깔을 뚜렷이 나타내는 것 같았다. 경산시는 이런 기반산업들을 더욱더 육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 경산은 2007년 7월 2일부터 서서히 착수해오던 ‘대구 지하철 2호선 경산 연장 공사’ 로 인하여 또다시 놀라움을 선사할 준비를 하고 있다. 지하철 하나가 들어서면 그 주변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대중교통 여건개선을 통한 지역 간 균형발전 촉진과 경산지역 각 대학교 학생들 및 교직원들의 교통해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제 경산시의 모든 분석을 하였다. 새로운 학기를 시작하면서 준비된 것도 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많은 것을 배우고 새로운 것을 알게 될 때마다 그에 따른 재미를 느낄 수 있었으며, 우리가 다니는 대학이 속한 지역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아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집중되어 힘들기는 했지만 우리 경산조원 모두의 협동심과 그리고 각자에게 많은 것을 남긴 수업이었다.
* 경산시의 GRDP 비교 분석
년도
총 생산
2000
2001
2002
2003
2004
전국
577,970,942
620,905,233
685,946,405
731,626,781
786,362,375
경상북도
38,445,650
40,678,022
44,021,480
49,578,545
56,466,056
경산시
2,695,000
2,732,000
2,866,900
3,302,300
3,222,600
전국 구성비
0.46%
0.44%
0.41%
0.45%
0.4%
경북 구성비
7.01%
6.72%
6.51%
6.66%
5.71%
경상북도에 속한 23개의 시·군별 부가가치(GRDP) 중 경상북도 부가가치(GRDP)의 합계는 77,483백만원이었고, 경산시는 경북 부가가치(GRDP)의 평균인 2510백만원을 넘긴 하였지만 경북 부가가치(GRDP)의 23.8%를 차지하는 포항과 30.2%를 차지하는 구미시 등에 비해서 6.2%의 낮은 부가가치(GRDP)를 보이고 있다.
☞ 참고자료
- 지역경제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보성각, 1999
- 지역경제정책론, 모성은, 법문사, 2002
- 경산시청 통계연보(1999-2006)
- 통계청 통계연보(1999-2006)
- 경상북도도청 통계DB
  • 가격1,7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9.02.11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