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호흡기계 전염병][접촉성 전염병][만성 전염병][소화기계][보건복지부 지정][절지동물 매개]호흡기계 전염병, 접촉성 전염병, 만성 전염병, 소화기계 전염병, 보건복지부 지정 전염병, 절지동물매개 전염병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염병][호흡기계 전염병][접촉성 전염병][만성 전염병][소화기계][보건복지부 지정][절지동물 매개]호흡기계 전염병, 접촉성 전염병, 만성 전염병, 소화기계 전염병, 보건복지부 지정 전염병, 절지동물매개 전염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흡기계 전염병
1. 디프테리아
2. 성홍열
3. 백일해
4. 천연두
5. 유행성 이하선염
6. 풍진

Ⅱ. 접촉성 전염병
1. 매독
1) 매독의 분류
2) 매독의 검사 방법
3) 병원체 및 병원소
4) 전파양식 및 감수성
2. 임질
3. 연성하감
4. 트라코마

Ⅲ. 만성 전염병
1. 결핵
1) 원발성 결핵
2) 재감염 결핵
2. 나병
1) 병원체와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Ⅳ. 소화기계 전염병
1. 장티푸스(typhoid fever)
2. 콜레라(cholera)
3. 세균성 이질(bacillary dysentery)
4.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대장균O157)
5. 폴리오(급성회백수염; poliomyelitis)
6. 파라티푸스(paratyphoid fever)

Ⅴ. 보건복지부 지정 전염병
1. A형 간염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2. C형 간염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3.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상구균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샤가스병(Chagas`disease)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5. 광동주혈선충증(Angiostrongyliasis)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6. 유극악구충증(Gnathostomiasis)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7. 사상충증(Filariasis)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8. 포충증(Hydatidosis)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9. 크로이츠펠트-야콥병
1) 역학적 특징
2) 병원체 종류
3) 전파방법
4) 예방 및 관리대책

Ⅵ.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2.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3. 말라리아(malaria)
4. 유행성 일본뇌염(Japanese B. encephalitis)
5. 신 증후군 출혈열(epidemic hemorrhagic fever)
6. 쯔쯔가무시병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할 때 유충이
4)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8. 포충증(Hydatidosis)
1) 역학적 특징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 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2) 병원체 종류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이다.
3) 전파방법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된다.
4) 예방 및 관리대책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최상의 예방책이다.
9. 크로이츠펠트-야콥병
1) 역학적 특징
산발성 CJD는 전체 CJD의 85-90%를 차지하며 풍토병적 질환으로 일반 인구 중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족성 CJD, GSS 및 FFI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유전적 소인에 따라 발병한다. 의인성 CJD와 쿠루는 감염된 조직의 접종 혹은 섭취에 의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 중 의인성 CJD는 감염된 조직, 각막 이식 혹은 감염자 뇌에서 추출된 호르몬의 주입 등에 의하여, 쿠 루는 발병한 사람의 시신처리과정의 오염 및 식인 습관에 의하여 전파된다. 변종 CJD는 1996년 영국에서 최초로 보고되었고 영국에서만 100명이 발생했다. 변종 CJD는 병리학적으로 TSE와 비슷한 해면양 뇌병증을 보이나 임상적, 역학적 양상이 CJD와 다르며 병리조직학적 소견도 산발성 CJD와 달라 별도의 질환으로 분류하고 있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최근 25년간 연도별 발생 추세이다. 영국과 일본의 경우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최근 들어 이병에 대한 관심의 증가 와 진단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영국 및 일본에 비하여 발생자의 절대수가 매우 적게 보고되고 있다.
2) 병원체 종류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하 CJD)은 산발성, 의인성(iatrogenic), 가족형,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으로 나뉘며, 산발성 CJD는 모든 국가에서 백만명당 0. 51명정도의 빈도로 발생한다.
3) 전파방법
광우병과 관련된 vCJD는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섭취함으로써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예방 및 관리대책
CJD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은 문진과정 등을 통하여 수혈에서 배제하여야 한다.
Ⅵ.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1. 페스트
①병원체 : Pasteurella pestis로서, gram 음성균이다.
②병원소 : 야생설치류, 집쥐, 환자
③전파 : 쥐벼룩에 의해서 쥐에서 쥐로 전파되며, 쥐벼룩이 흡혈 시 위로부터 페스트균을 토출해서 사람에게 전파 시킨다.
④예방책 : 철저한 검역활동이 중요하며, 국내 침입 후에는 발생보고서의 신속, 격리, 소독, 구충, 구서를 실시하고, 특히 벼룩 구제가 중요하며, 예방접종은 사균 vaccine이 이용되고 있다.
2.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①병원체 : Rickettsia prowazeki
②병원소 : 환자
③전파 : 이의 장내에서 증식도니 병원체가 배설물로 탈출되어, 상처로 찰입 되거나 먼지를 통하여 호흡기계로 감염되기도 하는데, 병쾌 후에는 면역력이 형성된다.
④예방책 : 발생보고의 신속, 격리, 소독, 이의 구제 등의 실시가 필요하다.
3. 말라리아(malaria)
①병원체 : 우리나라에서는 Plasmodium vivax만이 유행되었는데, 인체의 간 조직에서 잠복기간은 3년간이다.
②병원소 : 환자, 보충자
③전파 : 학질모기가 매개 전파 하는데, 인체 내에서는 무성생식을, 모기체 내에서는 유성생식을 하기 때문에 모기가 종말숙주이고 인간은 중간숙주가 된다.
④예방책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모기의 구제와 환자의 근치료법 실시가 필요하다.
4. 유행성 일본뇌염(Japanese B. encephalitis)
①병원체 : Japanese encephalitis B virus
②병원소 : 돼지
③전파 : 모기에 의해서 매개되는데, 잠복기간은 5~14일이며, 병쾌 후에는 면역이 형성된다.
④예방책 : 신속한 발생보고와 모기 구제 및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특히 어린이들은 피로하지 않도록 건강관리를 하여야 하는데 예방접종도 효과가 크다.
5. 신 증후군 출혈열(epidemic hemorrhagic fever)
①병원체 : Hanthan virus 명명하고 있다.
②병원소 : 들쥐의 일종인 집쥐 및 등줄 쥐가 병원소이다.
③전파 : 들쥐의 배설물과 들쥐에 기생하는 좀진드기가 전파한다.
④예방책 : 들쥐를 구제하고 들쥐 배설물에 접촉하거나 진드기에 감염되지 않도록 노숙이나 들에서 피부를 노출시켜서는 안 된다.
6. 쯔쯔가무시병
쯔쯔가무시병은 제3군 법정전염병으로 병원체는 리케치아이고, 매개곤충은 털 진드기인데 평균 잠복기간은 12~16일 전후이다. 초기 감염증은 오한, 발열, 두통, 복통 및 근통 등 동반되는 열성 전염병이다.
참고문헌
* 경기도교육청(2004), 전염병 예방관리 실무자료
* 김정혜·이수경, 역학과 전염병관리, 청구문학사
* 김두희 외(1988), 보건학 총론, 학문사, p.306 ~ p.309
* 김태운 외(2000),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 송미순,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 월리엄 맥릴, 허정 역(1998),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
*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2.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