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장례][상례(장례) 절차][상례(장례)시 상복][현대의 상복][상례(장례)시 문상 예절]상례(장례)의 개념, 상례(장례)의 변천, 상례(장례)의 절차, 상례(장례)시 상복과 현대의 상복, 상례(장례)시 문상 예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례][장례][상례(장례) 절차][상례(장례)시 상복][현대의 상복][상례(장례)시 문상 예절]상례(장례)의 개념, 상례(장례)의 변천, 상례(장례)의 절차, 상례(장례)시 상복과 현대의 상복, 상례(장례)시 문상 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상례(장례)의 개념

Ⅲ. 상례(장례)의 변천
1. 상고시대의 상례
1) 지장제 혹은 연장제
2) 순장제
2. 통일신라시대의 상례
1) 불교식 상례
2) 3년상
3. 고려시대의 상례
4. 조선시대의 상례

Ⅳ. 상례(장례)의 절차
1. 임종(臨終)
2. 정제수시(整齊收屍)
3. 발상(發喪)
4. 상제(喪制)
5. 호상(護喪)
6. 부고(訃告)
7. 치장(治葬)
8. 염습(殮襲)
9. 입관(入棺)
10. 영좌(靈座)
11. 성복(成服)
12. 영결식(永訣式)
13. 천광(穿壙)
14. 횡대(橫帶)와 지석(誌石)
15. 운구(運柩)
16. 하관(下官)과 성분(成墳)
17. 위령제(慰靈祭)

Ⅴ. 상례(장례)시 상복과 현대의 상복
1. 전통장례의 상복
1) 상복
2) 굴건제복
2. 현대의 상복

Ⅵ. 상례(장례)시 문상 예절
1. 문상(問喪) 인사말
2. 조위금 봉투·단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하여 슬퍼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나게 만들어 둥근 위는 아버지의 슬픔과 같음을 뜻하는 것이고 모난 밑은 어머니가 땅을 상징 하는 것을 취한 것이다.
⑥ 구 : 흰 면포로 헝겊 신발을 만들어 종이를 붙인다.
2. 현대의 상복
오늘날에는 가정의례 준칙이 시행되어 이러한 복제(의복에 관한 제도)는 모두 없어지고 다만 한복일 경우에는 흰색 또는 검정색, 양복은 검정색을 입고, 왼쪽 가슴에는 상장(상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옷가슴이나 소매에 다는 표)이나 흰 꽃을 단다.
* 가정의례준칙
1973년 5월 17일 대통령령 제6680호로 처음 제정된 것으로 가정의례에서 허례의식을 일소하고 낭비를 방지해 건전한 사회기풍을 북돋을 목적으로 제정하게 되었다. 모든 국민은 가정의례의 의식절차를 이 준칙에 따라 엄숙하고 간소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Ⅵ. 상례(장례)시 문상 예절
1. 문상(問喪) 인사말
많은 사람들이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하는지를 몰라 망설인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자문위원들은 문상을 가서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예의에 맞다고 하였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아무 말도 안하는 것이 더욱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굳이 말을 해야 할 상황이라면,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또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가 좋다.
전통적으로 아버지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대고(大故)말씀 무어라 여쭈오리까?, 어머니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상사 말씀 무어라 여쭈오리까? 라고 부모를 구분해서 말했었다는 자문위원도 있었다. 또 과거에는 남편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천붕지통(天崩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하고, 아내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고분지통(叩盆之痛)이……한다든가, 형제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할반지통(割半之痛)이……하기도 하였다. 자녀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참척(慘慽)을 당하시어 얼마나 마음이 아프시겠습니까? 하기도 했으나, 굳이 복잡하게 여러 경우로 나누어 따로따로 인사말을 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자문위원들의 결론이었다.
다만 부모 상의 경우에만 얼마나 망극(罔極)하십니까?를 쓸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 말을 젊은 상주에게 하거나 또 젊은 문상객이 하는 것은 어색할 것이다. 실례로 한 자문위원은 전에 어떤 선생님이 모친 상을 당하였는데 제자가 선생님께 문상 가기 전에 미리 어떤 책에서 찾아보고 또박 또박 망극지통(罔極之痛)……하자, 오히려 그 선생님께서 몹시 당황해 하시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또 50대 후반의 한 자문위원은 부친 상을 당한 친구에게 얼마나 망극하십니까?라고 했더니 상주가 놀라는 표정이었다고 했다. 이미 이 말은 50대 후반의 사람에게도 어색한 말이 되었다 하겠다. 따라서 특히 나이가 많은 분이 아니라면 쓰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결국 이번 자문회의에서는 어떤 경우의 문상에서나 아무말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고, 굳이 말을 한다면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또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를 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서 자문위원들은 말을 할 경우라도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뒤를 흐리는 것이 예의라고 하였다. 상을 당하여서는 문상하는 사람도 슬퍼서 말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문상 인사말은 상황이나 문상객과 상주의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달라질 수 있다. 이번 자문회의에서 그러한 특수한 상황까지를 배제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문상을 가서호상(好喪)입니다.라는 말은 혹 문상객끼리면 몰라도, 상주에게는 써서는 안될 말이다. 아무리 돌아가신 분이 천수(天壽)를 다했더라도 잘 돌아가셨다고 하는 것은 상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문상을 하는 사람이 말로써 문상하지 않은 것이 가장 모범이듯이,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굳이 말을 한다면 고맙습니다. 또는 드릴(올릴)말씀이 없습니다.하여 문상을 와 준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하면 된다. 망극하옵니다. 라든지 시탕(侍湯)한 번 제대로 못 하여 드린 것이 그저 죄스럽습니다.하는 등 요즘 잘 쓰지도 않는 말로 장황하게 말을 늘어놓은 것은 상주로서의 예가 아니라는 것이다.
2. 조위금 봉투·단자
조위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가 가장 일반적이며 근조라고 쓰기도 한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처럼 한글로 쓰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단자에는 모르되 봉투에 문장으로 쓰는 것이 어색하므로 쓰지 않는 것으로 정하였다.
소상(小祥)이나 대상(大祥)의 경우에도 부조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봉투에 전의(奠儀)또는 향촉대(香燭代)라고 쓰면 된다. 단자는 부조하는 품목을 적은 것을 가리킨다. 요즘은 이 단자를 쓰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데 단자를 쓰지 않고 봉투만 쓰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는 것이 자문위원들의 지적이었다. 단자는 흰 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때 가능하면 조의 문구나 이름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부조하는 품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원이라 쓴다. 영수증을 쓰듯이 일금○○원 정으로 쓰지 않도록 한다. 부조를 돈이 아니라 광목으로 할 때는 금○○원대신에 광목 ○필, 종이라면 백지 ○○권하는 식으로 쓴다.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되지만 쓴다면 근정(謹呈)이라고 쓴다. ○○댁(宅) 호상소 입납(護喪所 入納) 이니 ○○선생 댁 호상소 귀중과 같은 것을 쓰기도 하는데 요즘은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런 말은 쓰지 않아도 된다.
참고문헌
강전우, 관혼상제 백과(꼭 알아야 할), 하서출판사, 1999
고정기, 관혼과 상제, 우리출판사, 197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상장례, 미진사, 1990
박희창, 관혼상제와 그 뿌리, 동신출판사, 1996
임재해, 전통상례, 대원사, 1990
최민홍, 한국 윤리사상사, 성문사, 1990

키워드

상례,   장례,   상복,   문상예절,   문상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