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릿(grit)이란 무엇인가
2. 그릿의 지적 역사
1) 자기기만- 자기기만은 위험한 것인가?
2) ‘긍정적 착각’
3) 그릿, 좌절을 겪은 뒤에도 계속 나아갈 수 있는 능력
3. 그릿의 이면
1) 높은 자존감의 그림자
2) 통제력과 우울감
3) 그릿과 공격성
2. 그릿의 지적 역사
1) 자기기만- 자기기만은 위험한 것인가?
2) ‘긍정적 착각’
3) 그릿, 좌절을 겪은 뒤에도 계속 나아갈 수 있는 능력
3. 그릿의 이면
1) 높은 자존감의 그림자
2) 통제력과 우울감
3) 그릿과 공격성
본문내용
음이 충분한 이들은 이미 자존감이 두둑한 이들이다.
바우마이스터와 부시먼은 이렇게 썼다. “공격적인 사람들은 대개 자신을 매우 높게 평가. 민족주의적 제국주의, 지배자 민족 이데올로기, 귀족들의 결투, 학교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아이들, 길거리 깡패들의 언어 구사 등에서 볼 수 있다.”
또 하나 특기할 사항은 긍정적 착각 지수가 높게 나올법한 이들 중 다수가 특이한 기벽 하나를 공유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바로 자기 손으로 혼돈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피델 카스트로는 언젠가 쿠바를 허리케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쿠바 주위로 방어벽을 짓자고 제안했다. 유리 루스코프 전 모스크바 시장은 구름 위에 시멘트 가루를 뿌려서 눈이 내리지 못하게 만들고 싶어 했다. 한때 미국에도 콘크리트나 강철로 물리적인 벽을 세워 미국을 보호하고 싶어 한 권력자가 있었다.
바우마이스터와 부시먼은 이렇게 썼다. \"쉽게 말해서 가자 위험한 사람은 자신을 우월한 존재라고 보는 사람들이라기보다 자신을 우월한 존재로 보고 싶다는 욕망이 강한 사람들이다. 거창한 자기상을 확인받는 일에 집착하는 사람들은 비판당하는 것을 몹시 괴로워하며 자기를 비판한 사람을 사납게 공격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우마이스터와 부시먼은 이렇게 썼다. “공격적인 사람들은 대개 자신을 매우 높게 평가. 민족주의적 제국주의, 지배자 민족 이데올로기, 귀족들의 결투, 학교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아이들, 길거리 깡패들의 언어 구사 등에서 볼 수 있다.”
또 하나 특기할 사항은 긍정적 착각 지수가 높게 나올법한 이들 중 다수가 특이한 기벽 하나를 공유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바로 자기 손으로 혼돈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피델 카스트로는 언젠가 쿠바를 허리케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쿠바 주위로 방어벽을 짓자고 제안했다. 유리 루스코프 전 모스크바 시장은 구름 위에 시멘트 가루를 뿌려서 눈이 내리지 못하게 만들고 싶어 했다. 한때 미국에도 콘크리트나 강철로 물리적인 벽을 세워 미국을 보호하고 싶어 한 권력자가 있었다.
바우마이스터와 부시먼은 이렇게 썼다. \"쉽게 말해서 가자 위험한 사람은 자신을 우월한 존재라고 보는 사람들이라기보다 자신을 우월한 존재로 보고 싶다는 욕망이 강한 사람들이다. 거창한 자기상을 확인받는 일에 집착하는 사람들은 비판당하는 것을 몹시 괴로워하며 자기를 비판한 사람을 사납게 공격하는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그릿(GRIT) 독후감 [독후감, 감상문]
그릿(GRIT)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구성요소
그릿(GRIT) 독후감
그릿 GRIT 앤절라더크워스 자기개발 독후감
GRIT을 읽고 주요개념에 대해 개념 정리를 하고 제시된 동기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자신의...
[독후감상문] 그릿(GRIT)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은 열정적 끈기의 힘 (앤절라 더크워스)
그릿(GRIT)를 읽고(엔절라 더크위스)
[심리학에게 묻다1] 1) 끈기(Grit)이 무엇인지 설명한 후, 2) 자신의 삶에서 끈기(Grit)을 발...
<그릿> 종합적인 분석 (주제, 줄거리 및 구조) 독후감 및 학술적 분석 앤절라 더크워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