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릿(GRIT)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구성요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릿(GRIT)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그릿의 등장 배경 1) 사회적 배경
2) 심리학적 배경
2. 그릿의 개념 및 구성
1) 그릿의 개념
2) 그릿의 구성 요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준비하기 등의 다양한 인성, 역량, 기술들의 결합으로 보는 관점도 존재한다(Welch, 2016).
그릿이 가지고 있는 성격에 집중하여 구성 요소를 나타낸 굿윈과 밀러(B. Goodwin & K. Miller, 2003)는 어디로 어떻게 가야하는지 아는 목적지향성(Goal-directedness)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강한 의지를 갖는 동기(Motivation), 과제에 집중하고 방해를 물리칠 수 있는 자기통제(Self-control), 그리고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실패를 보고 도전을 즐기는 긍정적인 마인드셋(Positive mindset)이 그릿의 구성 요소라고 말하였다. 그릿의 개념에 가장 영향을 끼친 학자인 더크워스는 그의 동료들과 함께 그릿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며 열정과 인내 두 요소로 나누었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관심의 일관성(consistency of interest) 측면에서 열정을, 노력의 지속성(perseverance of effort) 측면에서 인내를 다루었다.
‘나는 종종 목표를 세우지만, 나중에 다른 목표를 추구하기도 한다.’(역점수), ‘나는 내가 시작한 무엇이든지 끝을 낸다.’ 등의 질문이 포함된다. 초기의 그릿 측정 도구(Grit-O)는 각 요소에서 6개의 질문씩 총 12개의 질문,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었다(Duckworth et al., 2007). 이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몇 가지 질문을 제외한 짧은 그릿 측정 도구(Grit-S)를 개발하였고, 이 짧은 그릿 측정 도구가 기존의 도구(Grit-O)보다 각 상황에서의 성취에 대한 예측 타당성이 높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인내와 열정 각각의 요소가 예측을 더 잘하는 부분이 있음을 밝혔는데, 인내는 성적, 교외 활동, 청소년들의 TV 시청 시간 등과 연관이 있었다. 한편 열정은 직업 변화, 대회 결승 진출자를 더 잘 예측하였다(Duckworth & Quinn, 2009). 성적에 대한 인내가 열정보다 예측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이후 학업 성취와 관련한 연구 결과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다. 최근의 그릿 측정 도구는 수정을 거쳐 10가지 질문을 포함한다. 전체 영역에 답한 후 10으로 나누면 자신의 그릿 점수가 되고, 질문 가운데 홀수에 해당하는 질문은 열정을, 짝수에 해당하는 질문은 인내를 측정하는 질문이며, 각 해당 영역의 점수를 더한 후 5로 나누면 자신의 요소별 점수가 된다. 질문에 응답할 때 주의 사항은 각 질문 항목들에 너무 깊게 생각하여 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판단의 기준을 대부분의 일반적인 사람들에 두어야 하고 주변의 동료, 친구, 가족들과 비교하여 자신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 그 이유는 집단의 성격에 따라 자신을 상대적으로 높게 혹은 낮게 측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Duckworth, 2016: 54-56).
참고문헌
김철휘 (2015). 이원론적 열정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운동행동 예측.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김하연 (2013). 나바에츠(D. Narvaez)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노영석 (2016). 일반계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문공주, 함은혜 (2016).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45-455.
박수원, 신종호 (201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급에 따른 목표설정의 자율성과 목표몰입: 목표내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4), 25-54.
박은, 김교헌 (2015).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사회과학연구, 26(1), 227-250.
손경원 (2016). 인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윤리교육연구, 39, 97-133.
손희전 (2013). 청년층의 BIG5 성격 특성. The HRD Review, 16(4), 212-227.
안관영, 이병직 (2002). 집단주의와 성취욕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및 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1(5), 1311-1334.
안도희, 신민 (2015).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 비교. 영재교육연구, 25(4), 607-628.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 (2015).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 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22(10), 367-385.
이상일 (2016). 토마스 아퀴나스의 용기의 주요한 행위로서 ‘인내’에 관한 연구. 철학논총, 84, 315-336.
이수경 (2016). 성인 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Grit)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이수란 (2015).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이슬비, 배은희, 이수란 (2015). Grit 수준에 따른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응 및 회상 차이.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8), 334-334.
이자형 (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인지적 능력 결정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1(4), 205-233.
이정림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박사학위 논문. 안동대학교, 안동. 임병덕 (2013). 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인내: 키에르케고르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25(3), 1-17.
조난심 (2013). 학교 인격교육의 재음미. 교육철학연구, 35(2), 93-117.
주영주, 김동심 (2016). 영재학생의 그릿(꾸준한 노력, 지속적 관심), 교사지원, 부모지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영재교육만족도에 대한 예측력 검증. 특수교육, 15(1), 29-49.
최미경 (2016).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남고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투지(Grit)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75-10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7.12.19
  • 저작시기201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0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