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문화][의복생활][중국][일본][멕시코][한국][북한]중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일본의 의복생활(의복문화), 멕시코의 의복생활(의복문화), 한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북한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복문화][의복생활][중국][일본][멕시코][한국][북한]중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일본의 의복생활(의복문화), 멕시코의 의복생활(의복문화), 한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북한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Ⅱ. 일본의 의복생활(의복문화)
1. 종류
1) 나가기
2) 하오리
3) 하카마
4) 유카타
5) 단젠
6) 히후
2. 특징

Ⅲ. 멕시코의 의복생활(의복문화)

Ⅳ. 한국의 의복생활(의복문화)
1. 조상들의 의생활 역사
2. 삼국시대 전후기 의생활
3. 의생활의 작은 혁명 ꡐ목면ꡑ,ꡐ머리장식ꡑ
4. 날씨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조상들의 의생활
5. 부녀자들의 의생활
6. 혼례 때 전통복장

Ⅴ. 북한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가 게재되기까지 하였다. 또 북한은 1987년 북일 합작의 \'너와나 미용연구회\'와 화장품 공장을 설립해 다량의 화장품도 생산하고 있는데, 아직은 기초화장품이나 메이크업 제품 중심이고 색조화장품의 생산·유통은 제한되어 있다고 한다. 미용사 출신의 한 탈북 여성에 따르면 1990년대 들어 여성들이 \'삼각머리\', \'채양머리\', \'오사리머리\' 등 다양한 헤어스타일도 선보이고 있다고 한다. 물론 생계가 어려운 일반여성들은 머리에 신경을 못 써 6개월에 한번 정도 미용실에 들러 커트나 퍼머를 하는 정도라고 한다. 이러한 옷차림이나 머리모양 변화의 결정적 계기는 1989년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몰려든 1만5000여 명이나 된 외국인들의 세련되고 활달한 옷차림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주민들의 옷차림이 1980년대 들어 화려하고 다양한 양복·양장차림으로 변화하고 유행도 타는 양상을 보이는 것 같지만 이는 주로 평양 등 대도시 특권층들에 해당되는 것이며, 일반 주민들은 대체로 잠바나 스웨터, 인민복, 작업복차림으로 일반화돼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북한당국은 체제단속의 일환으로 \'김일성민족\'다운 옷차림을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 초반까지 권유되었던 색깔 있는 옷차림에서 다시 단색 위주의 옷차림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시도인 듯하다.
노동신문에서 \"옷차림에는 민족성, 애국심 그리고 인민들의 강인한 성품들이 잘 나타난다. 모든 인민들은 김일성민족의 우수성을 만방에 떨칠 수 있는 우아하면서 소박한 옷, 조용하고 점잖으면서도 쾌할하고 활동적인 옷을 입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르주아사상의 침투를 우려하여 \'세계청년학생축전\'을 계기로 허용되었던 다양한 머리모양도 철저하게 단속하여 여성들의 경우 퍼머를 해도 되지만 뒤머리를 길게 하거나 풀어헤치는 스타일은 안되며, 남자고등중학생은 앞머리가 2~3cm를, 대학생의 경우 3~4cm를 넘어서는 안 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어겼다가 \'불량청소년 그루빠\'에 단속된 청소년은 3~6개월씩 \'노동단련대\'에서 교화훈련을 받게 된다. 1990년대 중반기부터 의류공급이 중단되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식량과 마찬가지로 의류 역시 배급제로 계층에 따라 차별적으로 공급되었는데, 그 실태는 다음과 같다.
중앙공급대상인 당·정간부들에게는 기성복이나 양복지가 공급되고 최상위 간부급에게는 고급모직물이 지급되지만 하위로 내려갈수록 반모직, 대마직 등 질의 차이가 나게 공급되었다. 중앙공급대상자는 지정된 상점에서 양복, 모직물 심지어 모피까지 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일반 공급대상인 노동자들에게는 \'노동용 물자\'로서 \'주체직물\'이라 부르는 포플린, 광목, 스프 등의 직물과 작업복이 염가 또는 무상으로 공급됐다. 그러나 사무원, 부양가족, 농민들에게는 인민반을 통하여 공급카드를 발급함으로써 각자 돈을 주고 구매하도록 되어 있지만, 대개 차례가 돌아오지 않아 국영상점이나 직매점보다 암시장에서 구입하여 소비했다. 아예 기본 일상복 배급자체가 중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본의복 외에 털모자, 면장갑, 셔츠, 블라우스, 스타킹, 운동화 등과 같은 보조의복들은 공급대상 품목이 아닌 자유구매품이기 때문에 개인이 구입해야 했는데, 경제난 이후는 물론 그 이전부터 주민들은 대부분 이를 암시장에서 몇 배의 가격을 주고 사서 썼다고 한다.
참고문헌
◎ 김정호, 우리 옷 2000년 이야기, 글누리, 2007
◎ 백영자·유효순, 서양의 복식문화, 도서출판 경춘사, 1998
◎ 백영자, 한국의 복식문화, 경춘사, 2000
◎ 유효순, 복식문화사, 신광출판사, 2000
◎ 유송옥, 복식문화, 교문사
◎ 조진애, 근세서양복식, 경춘사, 2002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