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단청의 사상적 배경][단청의 특징][단청의 유래][단청의 시대적 변천][단청의 목적][사찰][건축][채색][궁궐]단청의 사상적 배경, 단청의 특징, 단청의 유래, 단청의 시대적 변천, 단청의 목적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청][단청의 사상적 배경][단청의 특징][단청의 유래][단청의 시대적 변천][단청의 목적][사찰][건축][채색][궁궐]단청의 사상적 배경, 단청의 특징, 단청의 유래, 단청의 시대적 변천, 단청의 목적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단청의 사상적 배경

Ⅲ. 단청의 특징
1. 사찰건축의 단청
2. 궁전 건축의 단청
3. 유교건축의 단청

Ⅳ. 단청의 유래

Ⅴ. 단청의 시대적 변천

Ⅵ. 단청의 목적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수 있다. 태조 6년에는 후량(後粱)의 사신 윤질(尹質)이 오백나한(五百羅漢) 화상(畵像)을 바치니 해주(海州) 숭산사(嵩山寺)에 두게 하였고 성종(成宗) 2년에는 송(宋)에서 대묘당도(大廟堂圖), 사직당도(社稷堂圖), 제기도(祭器圖) 등이 들어왔으며, 문종 30년에는 최사훈(崔思訓)을 송에 보내어 상국사(相國寺)의 벽면 그림을 모사(模寫)시켜 개성 흥왕사(興王寺) 내벽(內壁)에 그리게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의 단청은 현존 유구를 통해 볼 때 주로 녹색, 청색의 차가운 색을 조화시키고 묵선으로 구륵체 기법을 사용하여 아라베스크계 당초문을 단조로우면서도 우아한 격조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고려 불화 중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영풍군 부석사 조사당의 벽화가 있으며 제석, 범천, 사천왕의 6폭그림이 벽화보존곽 내에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벽화는 프레스코로 그린 것이며 배경은 진한 녹색계의 안료로 칠해져 있으며 홍(紅), 녹(綠), 백(白), 다(茶), 금채색들을 볼 수 있다. 고려 불화의 색채는 홍색계통과 금색 또는 청색계의 밝고 화려한 색채가 주류를 이루었던 것 같다.
조선시대에는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의 특징들을 혼용하면서 권위건축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을 계기로 침체되었다가 중기 이후부터 다포양식이 더 성행하였다. 따라서 의장무늬와 색채의 화려함이 더해져 더욱 다양한 단청이 선보여졌다 하겠다. 조선 초기에는 역시 고려시대의 기법을 그대로 받아들였던 사실이 현존하는 초기 건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은 거의 전부가 임진왜란 뒤 인조대 이후에 재건된 것으로 단청의 유구가 풍부한 편이나 조선 초기에 이어지는 고격한 맛은 많이 감소되었고 다포계의 건물이 많아지면서 문양의 구성과 장식이 복잡하고 다채로운 색조의 대비가 극히 화려하게 처리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 문양들과 구성형식이 고도로 세련되고 빈틈없이 짜여져 색채의 사용이 매우 표현적이며 으리으리할 정도로 다채롭고 명랑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궁궐과 관아건축의 단청은 불교사찰과 약간 다른 권위의 상징과 웅장한 기품이 들어있는 문양과 색채를 주로 많이 썼으며 불교사찰에서 볼 수 있는 연화문양 등을 조심스럽게 사용하는 반면 파련화(波蓮花), 주화(朱花) 계통의 안온감과 보다 호화로운 문양과 색감을 수용하였던 것 같다.
사찰에서는 연화를 비롯하여 휘채색, 금단청 등 다채롭게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초기에는 고려대의 것을 계승시키면서 창의적인 단청술을 구사하다가 중기 이후부터 허례적인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형식화되며 후기에 들어와서는 복잡화되어 체계 있는 단청의 계통에서 벗어나는 감을 다분히 주고 있다. 유교건축 즉, 향교 등은 검소하고 겸양하며 그러면서도 웅미·건실한 의장이 특징이다. 주로 긋기 단청으로 고상하게 장식하고 성전의 기품을 나타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모로단청을 첨가하여 의례적인 정신을 강조하였다.
Ⅵ. 단청의 목적
첫째, 건축물의 영구보존을 위한 목적이며 둘째, 재질의 조악성을 은폐하기 위한 방법이며 셋째, 궁전 위풍과 또는 법당의 화엄 장엄을 위한 목적이며 넷째, 기념물인 성격으로서 전시, 기록을 위한 목적이다. 이상과 같은 몇 가지 단청의 발생 요건 가운데 건축물의 표면과 세부 구조물에 칠, 도장을 하는 것은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목적이 가장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며 아울러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효과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동양의 건축 양식이 주로 목조 가구식으로 발달되면서 군주의 권위와 신성을 과시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인력을 들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영되었던 것이므로 우선 그 영구적인 보존 문제가 당연히 강구되었을 것이다.
Ⅶ. 결론
우리의 생활공간의 모든 주변과 생활 용구, 기기, 일상 용품, 식품, 구축물, 건축물에 이르기 까지 모든 물건이나 면벽이 색채와 무늬 즉 문양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형태는 없다. 이 문양은 고대의 많은 벽화와 유물들의 그림 속에서도 무수히 발견 되는데 이 때부터 우리 인간과 문양의 원초적 연관은 성립되어 오늘에 이르기 까지 수만종의 문양이 전래되어 왔고 또 현대는 현대대로 새로운 문양과 무늬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참고문헌
곽동해(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김혜경·이지영·이혜성(2004), 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 회지 제 6권 제4호
강기인 외, 단청, 한국건축대계3, 보성각
임영주(1991), 단청, 대원사

키워드

단청,   사찰,   건축,   채색,   궁궐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