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말여초의 설화와 전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나말여초 설화와 傳奇의 발생 배경
2. 說話와 傳奇의 구분
3. 작품으로 본 傳奇 작품
(1)「최치원(崔致遠)」
(2)「김현감호(金現感虎)」
(3)「조신(調信)」
4. 나말여초 傳奇문학의 의의

본문내용

에 대해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나말여초의 전기문학의 의의는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여전히 일각에서는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초기 소설의 시작으로 보는 견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전해지는 나말여초의 작품들에서 전기적 요소가 발견되고 있다. 나말여초를 소설의 발생 시기로 보는 것은 『금오신화(金鰲新話)』에서 최초로 소설적 형태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 세기 전 이미 존재했던 소설의 요소들이 그 바탕이 되어 『금오신화(金鰲新話)』를 탄생시켰다는 논리의 밑바탕이 되는 것이다. 이는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등장 배경에도 타당성을 더해주는 것이다. 이 시기 우리 문학의 발달이 단순히 중국 것의 수용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주장에도 반론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이다. 「최치원(崔致遠)」의 전기적인 요소가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지 구체적인 것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작품들의 전기적 요소를 검토함으로써 우리의 소설 발생시기를 재정립했다는 것은 커다란 의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임형택(1984), 「羅末麗初의 傳奇文學」,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박희병(1997),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韓國傳奇小說의 美學』, 돌베게.
조동일(1997), 『한국문학통사 1(제 3판)』, 지식산업사.
김현양 외(1996), 譯註 殊異傳逸文, 박이정.
조수학(2001), 재구성 수이전, 국학자료원.
조윤제(1984), 「설화문학고」, 『설화 소설의 연구』, 정음사.
조윤제(1963), 『韓國文學史』, 탐구당.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8.1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