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학서][상한론][내경][중국 의학서 상한론 15자항][중국 의학서 상한론 내용][제가학설]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 제가학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의학서][상한론][내경][중국 의학서 상한론 15자항][중국 의학서 상한론 내용][제가학설]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중국 의학서 상한론 제가학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 의학서 상한론과 내경

Ⅱ.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15자항

Ⅲ.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내용
1. 인체구조와 생리
1) 장부
2) 경락·경혈·침구
3) 영위
2. 진단개념
1) 음양
2) 표리·내외
3) 한열

Ⅳ. 중국 의학서 상한론의 제가학설
1. 경락설
2. 장부설
3. 기화설
4. 부위설
5. 육경지면설
6. 단계설
7. 생리계통설
8. 육병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써 보면 그는 삼음삼양 자체를 경맥으로 보지만 그 육경의 주요 내용 및 병증과의 관계는 육부위로부터 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일본의 희다촌이 주장하는 설이 있는데, 그는 병위와 팔강변증개념을 결합하여 육경을 해석한다. 그는 본주에서 말하는 삼음삼양이란 병위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사가 표에 있으면서 열실한 것은 태양이고 사가 반표리에 있으면서 열실한 것은 소양이고, 사가 위에 들어가 있으면서 열실한 것이 양명이고 사가 표에 있으면서 허한한 것은 소음이며 반표리에 있으면서 허한한 것은 궐음이고 위에 들어가 있으면서 허한한 것은 태음이다.라고 하였다. 또 혹자는 아예 태양은 항배, 양명은 흉복, 소양은 흉협, 태음은 복부, 소음은 제하, 궐음은 소복 및 흉협 등을 주관한다고 분명하게 육경부위설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개념 모두 육경병증을 정확히 해석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으며 특히 희다촌의 경우는 장부경락 등의 기본 이론이 생략되어 있고 변증도 부정확한 면이 많다.
5. 육경지면설
이 설의 주창자는 가금이며 부위설보다 한층 더 세밀하게 여섯구역의 지면을 나누어 육경에 배대하는 입장이다. 그는 경락설을 배척하고 구체적으로 인체를 육분하였는데, 예를 들면 요이상은 삼양지면이고 요이하는 삼음지면이며 안으로는 심흉 밖으로는 전정으로부터 액로 뒤로는 견배 아래로는 발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안으로 방광에 합하는 곳이 태양의 지면이다.라고 하여 태양을 설명하고 아울러 개합추 학설을 인용하여 태양병증을 해석하고 있다. 또한 육경의 개념은 상한병 뿐만 아니라 내상잡병을 증치하는데 있어서까지도 제강이 된다고 주장하며 상한방제학에 있어서도 육경이론을 가지고 방, 증 및 병기를 결합시켜 방의를 해석함으로써 독특하고도 일관된 이론체계를 남겨 의의를 인정받고 있다.
6. 단계설
설을 서의학의 영향으로 비교적 근래에 제기된 것으로 호우매, 구양기 등이 주창자이나 이들은 육경이 상한병의 발전과정과 유형을 나누는 기준 또는 표지가 된다고 보고 병의 경과를 보통 잠복기, 전구기, 진행기, 극진기, 계류기, 감퇴기, 회복기로 나눌 때 태양, 양명, 소양의 전삼기는 전구, 진행, 극진기와 가깝고 태음, 소음, 궐음의 후삼기는 극진, 계류, 감퇴, 회복기와 비슷하다고 설명한다. 나아가 구는 여기에 표중리의 삼부위와 장부병기를 결합하여 단계설을 보충하긷 하지만 근본적으로 육경의 전변이 시간적 선후에 따라 고정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만큼 결함을 지니고 있다.
7. 생리계통설
이 설의 주창자는 황죽제로 특히 중경학설 연구에 조예가 깊은데 삼음삼양을 서의학의 생리계통응로 해석할 것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태양이란 신체의 표부, 구각을 나타내는 술어이고, 양명은 구에서 이음에 이르기까지의 수곡도로인 육부 부위를 나타내는 술어이고, 소양은 구각의 안쪽과 장위의 바깥 그리고 오장의 막원과 삼초부위를 나타내는 술어이고 태음은 영양계통의 술어이고 소음은 혈액순환계통의 술어이며 궐음은 정신계통의 술어라고 하는 것 등이다. 결국 이것은 종래의 부위설에 서의학적 개념을 가미한 데 불과하지만 중서의학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일가를 이룸으로써 중국의 남방의사들에게 상당한 지지를 얻고 있다.
8. 육병설
이것은 극히 최근 명시된 것으로 삼음삼양의 명칭은 단순히 병을 분류하는 개념일 뿐 다른 뜻은 없으며 이 병은 하나의 구체적 병명이 아니라 외감병의 기본적인 병리변화와 체질적 인자 및 발병특징 등은 총괄내포하는 개념이라고 하여 병의 개념을 중시한다. 따라서 삼음삼양병은 외감병의 여섯 가지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이며 각 병은 표리의 한열 허실 변화는 장부경락의 병변 및 체질인자들과 관계되고 나아가 병의 예후 및 치칙까지 도출해 낼 수 있는 제강이 된다. 이 육병설에서 말하는 병은 각기 《상한론》에서 제강증으로 제시한 증후들인데 실제로 육경을 증후군으로 보는 견해가 이미 서영태 등에 의해 제기되었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육경의 개념을 풀어서 말한 것이므로 경의 개념을 인정하지 않는 육병설과는 다른 점이 있으므로 특기하여 둔다.
참고문헌
* 김선호, (알면 재미있는)한의학 상식, 주민출판사, 1999
* 김성훈·김동희·김정효, 동의간호학, 정문각, 2000
* 동양의학 통권 제65호, 동양의학연구원, 1995
* 대총경절, 상한론해설, 창원사, 1976
* 무장춘·장등본, 내경사전, 인민위생출판사, 1990
* 전초진, 상한론문헌통고, 학원출판사, 1993
* 최승훈, 한의학 이야기, 푸른나무, 1997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