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신구][액세서리]장신구의 변화상, 장신구의 정의, 장신구의 기원과 장신구의 역사, 장신구의 종류에 관한 분석(장신구, 장신구의 변화상, 장신구의 정의, 장신구의 기원, 장신구의 역사, 장신구의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신구][액세서리]장신구의 변화상, 장신구의 정의, 장신구의 기원과 장신구의 역사, 장신구의 종류에 관한 분석(장신구, 장신구의 변화상, 장신구의 정의, 장신구의 기원, 장신구의 역사, 장신구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장신구의 변화상

Ⅱ. 장신구의 정의

Ⅲ. 장신구의 기원과 역사
1. 삼국시대 장신구
2. 통일신라시대 장신구
1) 관모(冠帽)
2) 소(梳)
3) 채(釵)
3. 고려시대 장신구
4. 조선시대 후기(19C) 장신구
5. 현대 장신구
1) 노리개
2) 반지
3) 비녀
4) 단추와 브로치
5) 신과 손가방

Ⅳ. 장신구의 종류
1. 귀고리
2. 반지
3. 노리개
4. 비녀
5. 산호용잠
6. 흑각죽잠
7. 목걸이
8. 브로치
9. 팔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으로 만든 줄에 마노, 라피스라즐리 따위의 보석을 매단 펜던트 등은 이집트,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등 거의 모든 문명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르네상스를 시초로 하여 서구 근세문명이 열리자 궁정복은 주로 가슴 위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목걸이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프랑스의 부르봉왕조나 영국의 엘리자베스, 빅토리아 왕조 때에는 왕실재산의 상징이 왕관과 목걸이의 질로 결정될 정도였다. 특히 양식 진주의 발달은 전 세계적으로 진주목걸이를 보급시켰으며 그 외에 수정 마노, 유리 ,산호 따위의 구슬을 꿰어 만든 목걸이도 오늘날까지 꽤 번성하고 있다. 진주목걸이는 보통 한 가운데에 어미진주라 불리는 가장 커다란 진주를 놓고 이음매 쪽으로 가면서 순서대로 작아지게 만드는데 이것을 보통 네클리스 혹은 \'그라튜에이션\'이라 부른다. 이에 비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크기의 진주를 나란히 꿰어 만든 목걸이를 \'초우커\' 혹은 \'세임사이즈\'라고 한다. 진주목걸이는 보통 한 줄만 감지만 2,3줄씩 겹겹이 감아 화려한 느낌을 한층 강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오스트레일이아의 백접조개 양식 , 타이티섬과 오끼나와의 흑접조개 양식이 발달하여 직경10미리나 되는 백접진주 혹은 흑진주 목걸이 등 과거엔 여왕이나 걸 수 있었던 호화로운 보석들이 상품으로 제작되기에 이르렀다. 펜던트는 가는 사슬로 목을 감고 중앙에 보석을 매달아 가슴한 복판에 늘어뜨리는 양식의 장식구이다. 진주,다이아몬드,자수정,오팔,토파즈,터키,비취,가네트 등이 펜던트의 중앙에 주로 사용되며 이때 한 개의 보석을 늘어뜨리는 깜찍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개중에는 가슴 한가운데 보석을 잔뜩 박아놓은 틀을 줄줄이 이어붙인 호화로운 것도 있다. 궁정의 정장차림에는 다이아몬드를 촘촘히 박은 티어러와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가 반짝이는 펜던트도 빼놓을 수 없다.
8. 브로치
브로치는 핀이라고도 하며 모피를 고정시키는 도구였는데 가슴을 노출 시키는 남방계 사람들이 목걸이를 사용했다면 브로치는 북방 스칸디나비아계에서 발전시킨 장신구이다. 그런데 모피에서 브로치가 천을 고정시키는 도구로 변하면서 그리스인과 로마인에게는 왼쪽 어깨의 천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신구로서 크고 둥근 금형이 사용되었던 것 같다. 한편 머리를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는 원통이나 원추형으로 끝이 바늘처럼 뾰족한 것과 포크 모양으로 갈라진 것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브로치에서 핀의 역할은 없어지고 판상의 장신구를 안전핀과 같은 부속품으로 정장에 달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현재는 브로치가 옷의 일부분에 부착하는 복식의 액센트 또는 포인트로서 원피스, 슈트, 스웨터 등에 잘 어울리는 것을 고르는 요령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복에 따라 소매, 흉부, 복부, 경우에 따라서는 모자에 이르기까지 대담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포티한 차림에는 모조보석, 플라스틱, 조화, 가죽, 도자기 등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토파즈 등 값나가는 보석을 박은 것이 좋다. 반지, 귀걸이의 장식 디자인은 \'점\'이나 \'점의 집합\'이고 목걸이는 \'선\'이 모티브인데 반해 브로치는 \'면\'의 디자인이므로 장식 디자인이나 세공인들이 솜씨를 발휘할 공간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9. 팔지
팔찌는 영어로 암레트 또는 브레이스리트라 하는데 그 어원은 라틴어에서 온 것이다. 석기 시대에는 돌 가운데를 둥글게 파내어 팔목에 끼는 돌 팔찌를 사용한 종족이 많았다. 고대 이집트인은 남녀 모두 구슬, 직물, 금, 은, 칠보로 만든 팔찌를 사용하였고 그리스, 로마 시대는 뱀 따위의 동물이 팔을 휘감는 듯한 디자인으로 금, 은, 동제가 사용되었다. 오늘날 유행하는 팔찌디자인은 진주를 꿰어 두·세겹 두르는 것에서 금, 은의 고리만으로 된 심플한 것까지 다양하다. 그리고 금과 백금의 틀 위에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비취 등을 박아 넣은 것도 있는데 참 브레이스리트라는 것은 참이라는, 매달아 놓은 장식을 사슬로 이어 다는 것으로 모티브는 춤추는 아이, 꽃바구니, 이니셜문자 등 다채롭다.
참고문헌
김영자 : 한국의 복식미, 민음사, 1992
김주자 : 무령왕능 출토 금은제 장신구에 나타나는 백제의 특징, 서울 홍익대학교
백영자 : 한국생활문화 100년-장신구의 변천, 도서출판 장원, 1995
이윤령 : 민속놀이를 소재로 한 장신구 표현연구, 서울 홍익대학교
장숙환 : 전통 장신구, 대운사
최준자 : 장신구의 세계, 예경출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