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의 정의와 구분 및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4절기의 정의와 구분 및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4절기의 정의

24절기의 구분

24절기의 특징

본문내용

서리가 되려는 직전이다. 옛 중국사람은 한로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눠 ①기러기가 초대받는 듯 모여들고 ②참새가 줄어들고 조개가 나돌며 ③국화꽃이 노랗게 핀다는 표현을 하고 있다. 이 시기는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 등의 여름새와 기러기 등의 겨울새의 교체가 잘 이루어지며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다.
상강(霜降)
입기일(入基日)은 양력 10월 23일경인데 이로부터 입동전날까지 약 15일 동안이 상강이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10。에서 상강에 든다. 태음력으로는 9월 중기이므로 상강은 반드시 음력 9월에 들게 된다. 이 시기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므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첫서리가 내리며 첫얼음도 언다. 산에서 단풍이 아름답게 물들고 국화의 향기가 그윽한 늦가을의 계절이다. 옛 사람은 이 기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①승냥이가 산짐승을 잡고 ②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며 ③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에 숨는다고 하였다.
입동(立冬)
입기일(入基日)은 11월 7일경이다. 상강(霜降)후 약 15일, 소설(小雪)전 약 15일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225。일 때 입동이 들고, 음력으로 10월 절기이다. 이날부터 겨울이라는 뜻에서 입동이라 부르고, 동양에서는 입동 이후 3개월을 겨울이라고 한다. 늦가을을 지나 낙엽이 쌓이고 찬바람이 살 속에 스며든다. 김장 시기는 입동전후 1주일간이 적당하다고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지만 이 근래에는 김장철이 늦어져 가고 있다. 옛 중국사람은 입동기간을 5일씩 3후(候)를 정하여, ①물이 비로소 얼고 ②땅이 처음으로 얼어붙으며 ③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하였다.
소설(小雪)
양력 11월 22, 23일부터 12월 6, 7일까지의 기간이다. 태양은 소설입기일(入基日)에 황경(黃經) 240。의 황도상에 오게 된다. 그리고 소설은 10월 중기이므로 음력 10월에 들게 된다. 평균기온은 5℃ 이하로 내려가고 첫추위가 닥친다. "초순의 홀바지기 하순의 솜자지로 변한다."는 속담처럼 기온이 급강하하는 계절이며 가정에서는 김장이 한창이다. 이 시기에는 첫겨울의 증후가 보이는데 옛사람은 이 기간을 5일씩 3후(候)로 구분하여 ①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②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③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대설(大雪)
태양이 황경(黃經) 255。에 도달한 날을 대설입기일(入基日)이라고 한다. 현행 태양력에서 매년 12월 7일 또는 8일이고 태음력으로는 10월 중기, 소설을 지난 반달 후에 있게 된다. 이 시기에 눈이 많이 쌓인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을 붙였는데 이 24절기는 원래 중국의 화북지방의 기상에서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러나 눈이 많이 쌓이는 것은 장소와 시기에 따라 다르므로 꼭 이 시기에 적설량이 많다고는 볼 수 없다. 중국에서는 대설기간 동안을 다시 5일씩 3후(候)로 나눠서 자연현상으로 세분하였는데 ①한달새가 울지 않고 ②범이 교미하여 새끼치며 ③여지가 돋아난다고 하였다. 춘하추동의 4계절의 구분은 동양에서는 입동이후 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까지를 겨울이라고 간주하지만 서양에서는 추분이후 대설까지를 가을로 보고 있다. 이로 보아 서양역법에 따르면 대설 후 반달 지난 다음, 즉 동지부터 겨울이 되는 셈이다.
동지(冬至)
24절기의 22번째 절기, 대설 다음의 음력 동짓달, 양력으로는 12월 22, 23일경이 되며 태양이 적도 이남 23.5°의 동지선, 황경(黃經) 270°에 도달하는 시각이다. 태양이 천구상으로는 황도의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하지점과는 정반대에 위치한다. 동양의 태음태양력법에서 역의 기산점으로 주요한 의미를 지녔던 동지는 북반구에서는 태양이 가장 남쪽에 이르는 남지일이 되고 태양의 정오 남중고도는 1년중 가장 낮아 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그 반대이다. 그러나 이로부터 태양은 하루하루 북으로 올라와, 옛날에는 이를 태양이 복원한다 하여 동짓날을 축일로 삼았으며 특히 태양신을 숭상하던 페르시아의 미드라교에서는 동지를 태양탄생일로 정해서 태양의 부활을 축하하였는데 크리스마스도 4세기 후반 로마에서 성행하였던 이 미드라교의 동지제에서 연유한 것이다.
결 론
인간이 역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이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즉 농사를 짓기 위하여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달의 변화는 잘 나타내 주지만 태양의 움직임은 잘 나타내 주지 않는다. 계절의 변화는 태양의 운동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음력 날짜와 계절의 변화는 잘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음력에서는 계절의 변화, 즉 태양의 운동을 표시하여 주는 24절기를 도입하여 같이 사용한다. 따라서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24절기로 표시하여 주기 때문에 태음태양력(우리가 흔히 음력이라 말하는 것은 원래 '태음태양력'의 준말이다 여기서 '음'은 '달'을 뜻하고 '양'은 태양을 뜻한다)이라고 한다. 즉 달(태음)과 태양의 운동을 모두 고려하여 주는 역법이란 뜻이다.
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사이와 19∼23일사이에 온다.
이들 24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주지만 우리 나라의 기후가 정확하게 들어 맞는 것은 아니다. 24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춰 붙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늘날과 같이 생태계가 엄청나게 달라진 상황에서는 더욱이 들어맞기 어렵다.
※기타
참고문헌
http://www.naver.com : '24절기'컨텐츠 검색, 지식검색
http://www1.knrda.go.kr/jinhae/gelki.htm : 농업 24절기
http://www.burimhong.pe.kr : 전통자료방, 24절기에 대한 상식
http://blog.naver.com/empereur : 24절기의 이해

키워드

24절기,   양력,   음력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0.1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