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실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고찰
1. 가사노동의 개념정의
2. 가족기능의 변화
3. 가사노동의 분류
4. 가사노동과 여성의 지위
5.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6.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남편과 주부의 일상적 가사노동참여의 빈도분석
3. 남편과 부인의 자녀 돌보기 참여 빈도
4. 개인 환경 특성이 가사노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5. 남편과 부인간 가사노동 분담 실태
6. 부인의 성역할 태도가 남편의 가사노동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편 가사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점수가 높은 그룹(16-12점) 42%중 36%가 부부 공동으로 가사노동을 수행했으며, 점수가 낮은 그룹(11-0점) 58%중 8%만이 부부 공동으로 가사노동 담당한 것으로 볼 때, 주부의 평등주의적 성 역할 관념이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사노동 분담에서 어느 배우자의 성역할태도가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 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부인의 성역할 태도보다 남편의 성역할 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조미환, 1996). 그러나 남편의 가사노동 수행에 더 많은 참여를 요구하기 위해선 우선 평등주의적인 여성의 성 의식이 필요하다고 보며, 연구 결과도 본인의 입장과 일치한다.
Ⅴ. 결론 및 과제
대다수 남성들이 가사노동이나 양육, 노인부양 등의 ‘집안일’은 당연히 여성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자신의 영역이 아닌 ‘집안일’을 조금이라도 하는 것은 ‘특별히’ 아내를 사랑하고, 돕는 일이 된다. 그것이 당연한 ‘분담’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대단한 희생이라도 하듯 의기양양하거나 ‘머슴’이라고 엄살을 부릴 수 있다.
집안일에 대한 남성들의 시혜적인 입장, 여성의 일을 남성이 돕는다는 것, 여성이 해야 마땅한 집안일을 돕는 남자는 ‘머슴’이라는 것, 그러니 여성의 일을 묵묵히 도와줄 ‘머슴’을 구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는, 나름대로 여성주의적인(?) 충고가 가능한 것이다.
조사 대상이 인천지역으로 제한되지만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일상적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남편이 '일주일에 한 번'에서 '하루에 한 번 이상' 수행하는 것으로는 청소 35.6%, 설거지 28.8%, 음식준비 25.4%, 쓰레기 버리기 22.0%, 시장보기 20.3%, 다림질하기 17.0%, 세탁 13.6% 순이었고, 부인의 경우 80%이상이 거의 매일 음식준비와 설거지를 담당하고 있었다. 따라서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남성들은 세탁이나 다림질 음식준비와 같은 여성형 과업에의 참여가 낮고(신소영, 1996) 청소와 설거지에 가장 높은 참여 빈도를 보임으로써,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가사노동의 분담보다는 부인이 수행하는 가사노동의 조력자 역할을 담당한다(유희숙, 1999)고 볼 수 있다.
둘째, 자녀 돌보기 영역 중 자녀와 놀아 주기 영역에서 남편들이 가장 높은 참여 빈도를 보임으로 남편들은 비교적 중성적이고 여가적 성격의 가사노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령에 있어 20대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 빈도가 가장 높았고, 40대가 가장 낮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성 의식의 개방화 경향이 크다 할 수 있다.
넷째, 대졸이상의 높은 교육수준의 남편들이 그렇지 않은 남편들 보다 다소 열심히 가사노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 가사노동 참여빈도 측정 시 대졸이상인 남편들이 중.고졸 남편들보다 약간 높게(9%) '가사노동에 전혀 참여치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수준 등 개인환경특성만으로는 남편의 가사노동참여를 설명하기에 한계를 느낀다.
다섯째, 직업에 있어 관리.전문직종의 사람이 가사노동참여 빈도가 높다.
여섯째, 부인의 직업상태는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취업주부의 남편은 비취업주부의 남편에 비하여 배 정도의 가사노동에 참여한다.
일곱째, 결혼지속 년 수가 짧을수록 그렇지 않은 부부보다 가사노동참여 빈도가 높다. 이는 가족주기에 따라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요구가 달라짐을 반영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가사노동에 있어 가장 높은 참여를 보여주는 기혼 남성은 전문관리직 고학력의 젊은 20대 남성으로 결혼 지속 연 수가 5년 이내인 맞벌이 주부의 남편으로 정리된다.
여덟째, 주부의 성 역할 태도에 따라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차이가 있다. 평등주의적 성 역할 태도가 높은 주부의 남편이 가사노동에 더 많이 참여한다. 따라서 근대적인 성 의식은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공동 참여를 촉진한다.
미래의 가족 형태는 산업사회의 대표적 핵가족 형태가 역기능적인 가족형태로 지적되면서 과거의 상이한 부부역할 수행보다는 역할의 공유, 동등한 의사결정, 평등한 성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부취업형, 역할공유형, 역할전환형 가족으로 변화할 것이다(김미혜 외 7인, 1997: 153). 따라서 현재 30% 수준에 머물고 있는 남편의 가사노동참여가 사회적 인식 전환과 학습을 통해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해야겠다. 주부들 또한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요구를 당당한 권리로 받아들여 남편들의 가사노동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가정 내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송혜림,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실태, 생활과학논문집 제 2권, 1호, pp. 103~115, 울산대학교
이미숙(1994), 맞벌이 부부의 가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임인숙(1997), 성역할과 부부권력관계의 재구성-재미교포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 31집(겨울호), pp. 817-844
김외숙(1984). 도시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김외숙(1986). 가사노동 분담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5).
문숙재.곽인숙.김순미.홍성희.윤숙현(1996). 새로 보는 가정경영. 학지사.
박준옥(1993).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가사역할 분담과 유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소영(1996). 계층별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희숙(1999).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와 결혼만족도.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미환(1996).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참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앙일보(2001). '이혼녀·총각 커플' 크게 늘었다. 2001년 4월 23일자 40면.
Cowan, R.(1983). 김성희·장윤희·김은정·박상혜·안수미 공역(1997). 과학기술과 가사노동. 학지사.
Goodnow, J. J. & Bowes, J. M.(1994). 문숙재.김혜연.조성은.김연정.윤소영.양정선 공역(1996). 남성, 여성 그리고 평등한 노동. 한울아카데미.
  • 가격2,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12.0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