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를 넘어서‘ 읽고 나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읽고 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부 한민족 문화권의 디아스포라
1디아스포라의 개념적 범주와 우리 문학
2재미 한인 문학과 서로 다른 세대의 문학적 반응
3재일 조선 인문학과 중간자의 정체성 모색
4중국 조선족 문학의 형성과 작품 세계
5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의 형성과 작품 세계
6고려인 문학의 의의
7고려인 작품의 주제 양상

Ⅱ부 북한 문학의 새 인식
1북한 시에 나타난 6·25전쟁
2북한 시에 나타난 마산의거와 4·19혁명
3북한 대표 작품의 계급적 관점과 탈계급적 관점
4『주체문학론』이후 북한 문학의 방향성
5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 문학의 새 인식과 범주

본문내용

다.
『주체문학론』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영역은 아동 문학이다. 아동은 새 시대를 이끌어 갈 주역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동 문학에 대한 논의에서도 여지없이 내용과 기법 사이의 균열이 감지된다. 작가가 “아동문학을 우리 당의 정책과 우리 나라 어린이의 특성에 맞는 우리식 문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함으로써 계몽적 담론과 민족적 특수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기존의 관점과 차이가 없다.
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 문학의 새 인식과 범주
우리가 한국 문학의 영역 개념을 지나치게 경직시키는 것이 그다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는 조금 부드러운 인식 방식에 동의한다면 비록 창작의 강역이나 창작 주체, 사용된 언어 등에 결손 부분이 있어도 재외 한국 문학을 우리 문학의 한 특수한 영역으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데 너무 인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국 문학의 의미 개념과 영역을 보다 포괄적으로 확대하는 노력은 새로운 시대적 가치인 문화 통합의 길을 예비하고 확장할 것이다. 한국 문학을 협의의 개념으로 사용하거나 그 범주 안으로의 수용을 까다롭고 인색하게 점검하는 소아병적 인식을 청산하는 문제, 이것이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때이다.
한민족 문화권이라는 부피가 큰 이름 또는 개념과 관련된 이 절실한 요청은, 오늘날과 같이 인간의 의식이 다원화되고 파편화되며 민족 문화의 진로와 그 성취의 목표가 불투명해진 시대에, 우리가 문학의 이름으로 내거는 하나의 작은 등불이다. 이는 문학이 궁긍적으로 인간의 삶을 아름답고 풍요하고 보람있게 해야 한다는, 그 소박하면서도 귀한 소망을 위해서 길을 밝히는 불빛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23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