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이론과매체]오수벨, 가네, 브루너의 교수이론들의 비교설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교수설계이론
1) 교수설계의 새로운 접근
2) 구성주의적 교수설계
3) 교수설계의 전망
2. 오수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1) 유의미 학습 -구속성과 실사성
2) 유의미 학습에서의 인지과정
3) 오수벨의 학습과제의 제시방법
3. 가네(Gagne)의 수업이론
1) 지적 기능
2) 언어적 정보
3) 문제해결
4) 운동기능을 위한 수업설계
5) 태도
4. 가네의 수업이론의 재조명
5. 브루너(Bruner)의 발견학습이론
1) 수업이론의 성격
2) 브루너 수업이론의 주요 특징
3) 브루너의 교수이론과 과학교육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모든 지적 활동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다. 과학자가 자기 책상이나 실험실에서 하는 일, 문학평론가가 시를 읽으면서 하는 일은 누구든지 이와 비슷한 활동, 다시 말하면 모종의 이행 도달하려는 활동을 할 때 그 사람이 하는 일과 본질상 다름이 없다. 이런 활동들에서 차이는 하는 일의 종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적 활동의 수준에 있다는 것이다.
② 학습하는 행위
교과를 학습할 때는 세 가지 과정이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과정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학습의 둘째 과정은 〈변형〉의 과정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획득한 지식을 새로운 문제 사태에 들어맞도록 조직하는 과정이다. 학습의 셋째 과정은 〈평가〉의 과정, 즉 우리가 지식을 다룬 방법이 그 문제 사태에 비추어 적합한가를 점검하는 과정이다.
어떤 교과를 학습하든지 간에 학습은 보통 일련의 에피소드를 따라 진행되며 각각의 에피소드는 앞에서 말한 세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학습 에피소드는 길 수도 있고 짧을 수도 있으며 아이디어를 많이 담을 수도 있고 적게 담을 수도 있다. 우리가 교육과정에서 단원을 설정하는 것은 바로 이 학습 에피소드의 중요성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③ 나선형 교육과정
우리는 초등학교 교과의 선정 기준으로서, 그 교과는 가장 완벽한 수준으로 발전했을 때를 가상하면 어른이 알아야 하는 것인가 또는 아이 때에 그것을 배우면 보다 훌륭한 어른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이 애매하거나 부정적이면, 그 교과는 교육과정을 어지럽히는 굉음에 불과하다.
교육과정은 사회의 구성원들이 끊임없이 관심을 가질 가치가 있는 중요한 문제점, 원리 및 가치를 중심으로 조직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대다수의 교육과정은 적어도 그것이 계획될 당시에는, 그러한 원리에 입각하여 계획된다. 그러나 교육과정이 실행 될 때, 또는 교육과정이 성장하고 변호함에 따라 그것은 원래의 원리에서 점점 떨어져서 볼품 사납게 전락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3) 브루너의 교수이론과 과학교육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에 걸쳐 미국에서 일어난 과학교육 개혁운동과 맞물려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과학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의 과학교육 개혁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과학교육과정은 과학의 본질에 입각하여 질적으로 우수하고 지적 성취를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따라서 지식의 구조와 발견학습을 강조한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그들의 개혁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결국은 새로운 개혁운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 해주는 역할을 한 셈이다.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그 당시 생활중심 교육사상에 바탕을 둔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싹튼 학문 중심 교육사상의 지배적 이론이었는데, 학문중심 교육사상은 학문의 진수 즉, 그 학문을 이루는 지식의 구조와 그 지식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교육 사상은 당시의 과학교육 개혁 운동에 꾸준히 영향을 미쳐서, 이 기간 동안에 개발된 과학교육과정은 한결 같이 기본 과학개념과 그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나타내는 개념체계를 중시하고, 발견 혹은 탐구를 통한 과학 개념의 학습을 강조하였다. 그 예로 초등 과학 교육과정인 ESS와 SAPA(Science - A Process Approach), 중학 과학 교육과정인 CBA(Chemical Bond Approach)화학, BSCS(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생물 등을 들 수 있다.
브루너의 이론에 바탕을 둔 학문 중심 교육사상은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에도 큰 영향을 주어서, 1973년에 이루어진 제 3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는 종래와는 전혀 다르게 기본개념과 개념체계를 중시하고, 발견 혹은 탐구 중심의 학습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 영향은 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Ⅲ. 결 론
최근의 교수(수업)에 관한 연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향이 있다.
첫째, 근래에 제시되는 교수이론들은 근본적으로 개별학습을 전제하고 있다. 이것은 수업이론에 있어서 개별화의 원리가 강조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둘째, 학습과제 또는 교육내용과 관련된 수업 방법에 관심이 높다. 어떤 수업 목표, 어떤 교육내용의 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 무관이론 보다 내용 상관이론의 연구가 많은 관심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특성도 함께 고려하여 학습자 특성·학습과제·처치 상호작용 모형(TTTI : Traits·Task·Treatment Interaction)도 중요시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교육평가 등을 하나의 체제 속에 통합하여 수업과정과 절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려는 이른바 체제적 접근(systems approach)을 위한 연구에 관심이 높다.
넷째, 교육공학적 매체, 특히 컴퓨터를 활용하는 수업 체제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업하는 방법은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의 대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많은 교수이론이나 수업모형이 연구·개발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교수이론이나 수업모형을 실제 수업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실제 수업 상황은 여러 가지 변인들이 복잡하게 그리고 역동적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업은 예술이다' 라는 말처럼, 실제 수업에서는 교사의 고도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요구된다. 교수이론은 이러한 교사들의 노력에 밑거름이 될 뿐이다.
참고문헌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 시대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서울 : 문음사.
김언주 (1998), "인지주의 학습 이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 하우동설.
교육심리학의 이해 /신명희 외 공저 신명희 학지사 2000
J.S. Bruner의 敎科構造理論에 관한 硏究 / 金恩姬 著.: 숙명여자대학교 1980
박성익,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 교육과학사, 1997

추천자료

  • 가격3,6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3.2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