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과 생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기이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상대관적 질서관, 실학자 홍대용의 사회개혁적 정책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과 생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기이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상대관적 질서관, 실학자 홍대용의 사회개혁적 정책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

Ⅱ.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생애

Ⅲ.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Ⅳ.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기이론

Ⅴ.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상대관적 질서관

Ⅵ.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사회개혁적 정책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기예(技藝)를 겨루도록 하여 상과 벌을 밝히되, 개별로 그 재능을 시험하기도 하고 또는 단체로 그 진법을 연습시키기도 한다. 성에서 훈련하기도 하고 또는 들에서도 연습하기도 하며, 병기를 수리하고 군사를 장려하는데 항상 경보(警報)가 내린 듯이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인권평등과 상대주의적 기능관을 바탕으로 모든 백성을 교육시키도록 하는 국민개육(國民皆育)과 각자에게 알맞은 직업적 역할을 줄 것을 주장하였다.
『면내에 8세 이상의 자제들을 다 모아서 가르쳐야 한다. 우수한 자는 차례로 뽑아 태학으로 보낸다. 대개 인품에는 고하(高下)가 있고 재질에 장·단점이 있다. 그 고하에 따라 단점을 버리고 장점을 쓰면 천하에 전혀 못 쓰고 버릴 재질이란 없다. 면(面)에서 가르치는 데는 그 뜻이 높고 재질이 많은 사람은 위로 올려 조정에서 쓰도록 하고, 그 재질이 둔하고 용렬한 사람은 아래로 돌려 야(野)에서 쓰도록 하며, 그 생각이 창의적이고 솜씨가 재빠른 사람은 공업으로 돌리고, 이(利)에 밝고 재화를 좋아하는 사람은 상업으로 돌리며, 그 꾀를 좋아하고 용맹이 있는 사람은 무반(武班)으로 돌리며, 소경은 점쟁이로, 궁형(宮形)당한 사람은 문지기로 돌리고, 벙어리 귀머거리 앉은뱅이까지도 각각 모두 일자리를 마련해 주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담헌은 사람들에게 품성의 고하, 재질의 장단이 있으므로, 관료, 공인, 상인 또는 군인 등 각자의 능력과 기능에 맞는 적소에 배치하여 모두 생산적인 근로에 참여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 담헌은 자주적 국제질서관을 지녔었기 때문에, 국가안위를 위한 국가보위의식도 남달리 강하였던 것 같다.
『국도(國都)를 나누어 구부(九部)로 만든다. 부에는 각각 장(長)이 있는데, 장은 장군(將軍)이 겸직한다. 대장(隊長)은 9명의 병사를 통솔한다. 8명은 무기를 맡고, 1명을 짐싣는 말 1필을 맡는다. 대(隊)안에 의복 양식 병기와 나무하고 물긷는 일을 맡도록 한다. 1대는 모두 10명으로 구성한다. 기총(旗摠)은 9명의 대장을 통솔하며, 8대는 외부에 주둔하고, 1대는 내부에 주둔하여 기총을 호위하며, 1기(旗)는 모두 100명으로 구성한다. 교위(校尉)는 9명의 기총을 통솔한다. 8기는 외부에 주둔하고, 1기는 내부에 주둔하며, 수하잡색(手下雜色)은 교위를 합쳐서 100으로 한다. 1교(校)를 모두 1,000명으로 구성한다. 장군(將軍)은 9명의 교위를 통솔한다. 8교는 외부에, 1교는 내부에 주둔하며, 수하잡색은 장군을 포함하여 1,000명으로 한다. 1명의 장군은 모두 10,000명으로 구성한다. 대장군은 9명의 장군을 통솔한다. 8장군은 외부에, 1장군은 내부에 주둔하며, 수하잡색은 대장군과 합쳐 10,000명으로 하고 1만명을 넘기도 한다. 대장군은 모두 100,000명으로 구성한다. 경(京)은 9명의 대장군을 통솔한다. 8명은 각각 그 도(道)에 두고 1명은 왕도(王都)에 둔다. 왕도 아래 9부에 소속된 낭좌(郎佐) 이예(吏) 효위(驍衛) 호분 환시(宦侍) 잡반(雜班) 여군(餘軍)의 무리가 모두 100,000명으로 구성되는 데 9도를 합치면 100만명이 된다. 도백(道伯)이 대장군, 군수가 장군, 현감이 교위, 사장(司長)이 기총, 면임(面任)이 대장이 된다』
참고문헌
신득렬, 교육 사상가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4
신용하, 조선후기 실학파의 사회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97
임재운. 교육의 역사화 사상, 문음사
위대한 교육 사상가들Ⅱ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교육과학사, 1999
주칠성, 실학파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1996
한국사상가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1996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